ㅇ 임금인상 둔화 및 통화신용정책 경직으로 인한 민간소비 및 투자 위축 예상
ㅇ 국방비 등 종전 대비 늘어난 국가 지출로 국가재정 악화 우려… 이로 인한 세금 인상 가능성
ㅇ 러시아의 에너지 자원 수출 실적은 점차 회복될 전망
ㅇ 노동력 부족을 포함한 생산력의 한계는 장기적으로 GDP 성장에 악영향 줄 가능성 언급
[원문링크: https://tass.ru/ekonomika/22900741]
원문링크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70&pNttSn=2248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