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출범한 에콰도르 기예르모 라소(Gillermo Lasso) 정부는 'More Ecuador in the World, and More of the World in Ecuador'라는 구호로 무역규모 확대를 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의 우선 국정과제로 '세계 10대 무역강국과의 FTA 체결'을 선정하고 현 대통령 임기 중(2025년 5월까지) 최대한 많은 국가 및 경제블록과 FTA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에콰도르, FTA 추진 현황
2022년 12월 기준, 에콰도르는 유럽연합(EU), 영국, 유럽자유무역연합(EFTA)와 이미 무역협정을 체결했고, 한국, 멕시코, 중국, 미국, 코스타리카 등과는 협상을 진행중에 있다. 특히, 한국과의 무역협정은 아시아 국가와는 최초의 FTA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또, 멕시코와의 FTA 체결을 통해서는 세계 8번째 규모의 경제블럭인 태평양동맹(PA)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다른 회원국과는 협상을 완료했고 멕시코와 개별 FTA만 마무리하면 태평양동맹의 정회원 국가 지위를 획득할 수 있다. 현재 태평양동맹 정회원 국가인 칠레, 페루, 콜롬비아 및 멕시코 4개국의 경제 규모는 중남미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40% 수준인 2조 달러에 달한다.
<에콰도르가 추진 중인 FTA 현황>
순번 |
협정명 |
대상국가 |
진행 내용 |
비고 |
1 |
에콰도르-멕시코 FTA |
멕시코 및 태평양동맹(PA) 회원국 |
에콰도르산 새우, 바나나를 제외한 기타 품목 및 세부사항 협상완료 |
태평양동맹 정식 회원국 지위 획득 위해, 회원국인 칠레, 페루, 콜롬비아, 멕시코와 개별 협상 필요, 현재 멕시코와의 FTA 체결만 남음 |
2 |
한국-에콰도르 SECA |
한국 |
8차 협상 완료 |
2022.11.25. 8차 협상 완료 |
3 |
에콰도르-중국 FTA |
중국 |
2차 협상 완료 |
2022.8.2. 2차 협상 완료 |
4 |
에콰도르-캐나다 FTA |
캐나다 |
FTA 협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한 킥오프 미팅 실시 |
2022.4.8. 화상회의 실시, 2022.12.1. 에콰도르 상무관 오타와에서 개시 |
5 |
에콰도르-코스타리카 FTA |
코스타리카 |
3차 협상 완료, 협상 체결까지 약 85% 진행 |
2022.11.4. 3차 협상 완료 |
6 |
에콰도르-미국 간 무역 및 투자 협상(TIC) |
미국 |
지적재산권, 농업, 무역관세, 노동, 환경, 디지털무역 및 투자 분야 협상 진행 |
2022.2.16. 1차 협상 완료 |
[자료: KOTRA 키토 무역관 종합]
새우, 바나나 등 에콰도르 대표 생산품 수출 확대에 총력
에콰도르의 연간 수출 규모는 200억~250억 달러 수준이며 주요 수출품목은 원유, 새우, 바나나, 화훼, 구리 등 1차 산업 제품이 주류를 이룬다. 기예르모 라소 현 정부는 에콰도르가 경쟁력을 보유한 제품의 수출을 확대하는 것이 경제를 성장시키는 가장 빠른 방법이라고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주요 무역상대국과 FTA 체결을 서두르고 있다.
<에콰도르 10대 수출품목>
(단위: 천 달러)
순위 |
HS Code |
품목명 |
2019 |
2020 |
2021 |
2022(상반기) |
1 |
2709 |
석유와 역청유(원유) |
7,731,163 |
4,684,794 |
7,278,164 |
5,333,059 |
2 |
0306 |
새우 |
3,901,559 |
3,834,782 |
5,331,052 |
3,795,777 |
3 |
0803 |
바나나 |
3,310,588 |
3,682,436 |
3,500,321 |
1,711,178 |
4 |
2710 |
석유와 역청유 |
946,086 |
536,540 |
1,331,144 |
896,564 |
5 |
2603 |
구리 및 정광 |
31,624 |
177,473 |
490,126 |
765,942 |
6 |
1604 |
가공·저장 생선 |
1,187,324 |
1,171,009 |
1,262,516 |
673,518 |
7 |
0603 |
절화와 꽃봉오리 |
879,779 |
827,142 |
927,276 |
509,076 |
8 |
7108 |
금 |
194,162 |
378,490 |
572,623 |
370,409 |
9 |
1801 |
카카오 |
657,272 |
816,392 |
819,457 |
338,436 |
10 |
2616 |
귀금속 광물 |
98,850 |
361,060 |
591,136 |
315,572 |
총계 |
23,329,379 |
20,226,534 |
26,280,618 |
16,865,088 |
[자료: Global Trade Atlas]
에콰도르의 최대 무역 상대국은 미국이다. 2021년 기준 에콰도르 총 수출의 24%, 수입의 22%가 미국과의 거래이다. 에콰도르는 미국과 2022년 2월 16일 에콰도르-미국 간 무역 및 투자 협상(TIC)을 시작했다. 그 다음 무역상대국인 중국과도 2022년 8월2일 2차 협상까지 마쳤다. 특히 새우, 바나나 등이 미국, 중국 같이 큰시장에 무관세 혹은 낮은 관세로 진입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에콰도르 국가별 수출현황>
(단위: 천 달러)
순위 |
국가 |
2019 |
2020 |
2021 |
순위 |
국가 |
2022(상반기) |
1 |
미국 |
6,691,283 |
4,739,364 |
6,355,992 |
1 |
미국 |
4,519,444 |
2 |
파나마 |
1,918,549 |
2,431,353 |
3,969,542 |
2 |
중국 |
3,044,305 |
3 |
중국 |
2,896,831 |
3,193705 |
3,644,911 |
3 |
파나마 |
2,421,732 |
4 |
칠레 |
1,485,060 |
808,822 |
1,120,473 |
4 |
칠레 |
665,227 |
5 |
러시아 |
879,670 |
919,618 |
999,796 |
5 |
페루 |
476,176 |
6 |
콜롬비아 |
854,966 |
789,300 |
851,880 |
6 |
인도 |
465,362 |
7 |
스페인 |
639,124 |
534,865 |
731,982 |
7 |
러시아 |
463,304 |
8 |
네덜란드 |
571,502 |
565,615 |
684,869 |
8 |
콜롬비아 |
455,069 |
9 |
인도 |
136,758 |
162,943 |
658,255 |
9 |
스페인 |
431,252 |
10 |
페루 |
951,961 |
419,137 |
618,657 |
10 |
네덜란드 |
328,174 |
총계 |
22,329,379 |
20,226,534 |
26,280,618 |
총계 |
16,865,088 |
[자료: Global Trade Atlas]
에콰도르는 정유시설 부족으로 원유를 수출하고 휘발유, 경유 등 정제유를 수입하고 있다. 정제유를 제외한다면 에콰도르 최대 수입 품목은 자동차이다. 자동차의 에콰도르 수입관세는 배기량 1500cc 기준 40%이다. 에콰도르 FTA 협상 상대국들의 주요 관심사도 자동차 수입관세 부분이다. 2017년 에콰도르와 FTA를 체결한 EU는 40%인 자동차 관세를 매년 단계적으로 인하해 2025년 완전 철폐하기로 했다. 따라서 2023년 유럽산 자동차의 에콰도르 수입관세는 5%로 낮아진다. 이 인하폭은 이후 타국가와의 FTA 협상에서도 기준이 되고 있다.
<에콰도르 10대 수출품목>
(단위: 천 달러)
순위 |
HS Code |
품목명 |
2019 |
2020 |
2021 |
2022(상반기) |
1 |
2710 |
정제유 |
2,317,431 |
1,474,766 |
2,500,267 |
2,144,275 |
2 |
2707 |
고온 콜타르의 증류물 |
1,634,007 |
946,396 |
1,597,797 |
1,262,630 |
3 |
8703 |
승용차 |
1,011,821 |
546,603 |
881,756 |
575,288 |
4 |
2304 |
오일-케이크 |
442,332 |
476,509 |
730,465 |
484,026 |
5 |
2711 |
석유가스와 탄화가스 |
385,564 |
359,631 |
701,521 |
436,406 |
6 |
3004 |
의약품 |
716,220 |
738,806 |
851,009 |
430,234 |
7 |
8704 |
화물차 |
442,369 |
311,014 |
491,591 |
334,700 |
8 |
8517 |
전화기 |
543,217 |
565,866 |
617,924 |
305,332 |
9 |
1001 |
밀과 메슬린 |
315,481 |
325,229 |
499,021 |
274,903 |
10 |
2309 |
동물 사료 |
290,308 |
242,518 |
331,595 |
198,960 |
총계 |
22,393,117 |
17,781,493 |
25,725,274 |
16,236,165 |
[자료: Global Trade Atlas]
에콰도르의 주요 수입상대국은 중국, 미국, 콜롬비아, 한국, 브라질 등이다. 에콰도르 정부는 이미 국내 산업에 필요한 원자재나 부품 등은 무관세나 5% 정도의 낮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자동차, 전자제품 등 몇몇 품목에 대해서는 이전 정권이 국내 조립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고관세 정책을 취한 바 있다. 현 정권도 이런 고관세 품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FTA 체결국에만 관세인하 혜택을 주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에콰도르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천 달러)
순위 |
국가 |
2019 |
2020 |
2021 |
순위 |
국가 |
2022(상반기) |
1 |
중국 |
4,496,520 |
3,947,269 |
6,040,378 |
1 |
미국 |
3,972,721 |
2 |
미국 |
4,612,890 |
3,959,114 |
5,663,827 |
2 |
중국 |
3,432,562 |
3 |
콜롬비아 |
1,779,175 |
1,477,577 |
1,787,197 |
3 |
콜롬비아 |
978,807 |
4 |
브라질 |
959,509 |
662,990 |
994,904 |
4 |
한국 |
807,320 |
5 |
한국 |
564,151 |
399,262 |
917,419 |
5 |
브라질 |
696,303 |
6 |
페루 |
752,531 |
599,950 |
862,228 |
6 |
페루 |
547,232 |
7 |
멕시코 |
761,934 |
590,759 |
715,640 |
7 |
캐나다 |
516,790 |
8 |
스페인 |
617,195 |
477,927 |
609,544 |
8 |
아르헨티나 |
450,318 |
9 |
일본 |
677,427 |
378,556 |
583,530 |
9 |
스페인 |
400,776 |
10 |
독일 |
534,100 |
485,163 |
578,549 |
10 |
멕시코 |
390,261 |
총계 |
22,393,117 |
17,781,493 |
25,725,274 |
총계 |
16,236,165 |
[자료: Global Trade Atlas]
시사점
자동차 시장은 에콰도르 FTA 협상 상대국들의 주요 관심사이며, 자동차 관세는 최대 민감 사안이다. 에콰도르 자동차 시장의 원산지별 점유율을 보면 유럽산 자동차가 에콰도르-EU FTA로 점유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18년 6%대이던 점유율이 2022년 상반기 12%대로 올랐고 내년에는 더 상승할 전망이다. 또, 중국산 자동차는 자체 가격경쟁력을 무기로 FTA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31%대까지 점유율을 확보했다.
<에콰도르 자동차 시장 원산지별 점유율 추이>
구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상반기) |
중국산 |
16.0 |
13.5 |
20.0 |
26.4 |
31.7 |
31.0 |
유럽산 |
7.0 |
6.4 |
6.2 |
9.1 |
7.0 |
12.1 |
한국산 |
21.0 |
13.6 |
12.2 |
7.5 |
7.2 |
6.8 |
일본산 |
10.0 |
6.2 |
6.8 |
5.8 |
4.7 |
4.2 |
[자료: Global Trade Atlas]
반면, 한국산 자동차의 에콰도르 시장점유율은 매년 하락하고 있어 한국-에콰도르 무역협정의 조속한 타결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리고 에콰도르는 중국, 멕시코 등과의 FTA 협상을 진행 중에 있기 때문에 향후 에콰도르 시장에서 FTA 체결국 간 치열한 점유율 경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우리 자동차 및 가전 기업들은 한국 공장, 유럽이나 멕시코 등 해외 생산기지 중 어디에서 생산된 제품을 에콰도르로 보내는 것이 이익이 되는지를 고려한 수출 전략이 필요하다.
자료: 한국무역협회, GTA, Pudeleco, 현지일간지(El Comercio, El Universo, Primicias, El Telegrafo, El Productor, Expreso), KOTRA 키토 무역관 자료 종합
원문링크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70&pNttSn=19924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