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對세르비아 수출, 전년대비 12.9% 감소한 2억 3천 만 불 기록
2019년을 제외하고 지난 7년간 성장세를 이어 온 우리나라의 對세르비아 수출이 지난해 처음으로 전년대비 12.9% 감소한 2억 3천 만 불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對세르비아 수입의 경우, 전년대비 13.8% 감소한 1억 8천 만 불을 기록해 5천 2백만불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의 對세르비아 연도별 교역 추이>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수출 |
금액 |
73 |
94 |
96 |
153 |
142 |
207 |
268 |
233 |
증감률 |
15.5 |
28.8 |
1.5 |
60.2 |
-7.6 |
45.9 |
29.5 |
-12.9 |
|
수입 |
금액 |
116 |
44 |
65 |
61 |
241 |
168 |
210 |
181 |
증감률 |
15.1 |
-62.3 |
48.1 |
-5.8 |
295.1 |
-30.3 |
25.3 |
-13.8 |
|
총교역액 |
189 |
138 |
161 |
214 |
383 |
375 |
478 |
414 |
|
무역수지 |
-43 |
50 |
31 |
92 |
-99 |
39 |
58 |
52 |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전기자동차, 운반하역기계, 타이어, 화장품, 냉연간판 등 수출 호조
지난해 우리나라의 對세르비아 수출의 경우, 주요 수출품목인 반도체,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건전지 및 축전지, 수동부품, 문구, 전력용기기 등은 감소했으나 인쇄회로, 전기자동차, 운반하역기계, 케이블, 타이어, 화장품, 용접기, 냉연간판 등은 수출 호조세를 보였다.
<한국의 對세르비아 주요 수출품목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순번 |
코드 |
품목명 |
2021년 |
2022년 |
||
수출금액 |
수출 증감률 |
수출 금액 |
수출 증감률 |
|||
|
|
총계 |
268 |
29.5 |
233 |
-12.9 |
1 |
834 |
기구부품 |
43 |
-3.7 |
47 |
8.7 |
2 |
831 |
반도체 |
52 |
61.0 |
32 |
-39.0 |
3 |
836 |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
34 |
36.6 |
23 |
-31.7 |
4 |
741 |
자동차 |
16 |
108.1 |
21 |
33.4 |
5 |
835 |
건전지및축전지 |
13 |
54.2 |
12 |
-9.8 |
6 |
849 |
기타중전기기 |
6 |
93.5 |
8 |
43.5 |
7 |
833 |
수동부품 |
13 |
25.2 |
8 |
-39.1 |
8 |
842 |
산업용 전기기기 |
7 |
29.5 |
7 |
-1.6 |
9 |
515 |
문구 및 완구 |
7 |
24.9 |
7 |
-6.6 |
10 |
841 |
전력용기기 |
8 |
119.6 |
6 |
-17.7 |
11 |
712 |
운반하역기계 |
4 |
65.3 |
6 |
65.3 |
12 |
310 |
플라스틱 제품 |
7 |
28.3 |
6 |
-20.2 |
13 |
713 |
공기조절기및냉난방기 |
3 |
121.1 |
5 |
115.8 |
14 |
320 |
고무제품 |
3 |
48.5 |
4 |
38.3 |
15 |
790 |
기타기계류 |
9 |
1.1 |
4 |
-52.6 |
16 |
814 |
전자응용기기 |
5 |
-19.8 |
4 |
-11.6 |
17 |
725 |
건설광산기계 |
4 |
38.6 |
3 |
-13.6 |
18 |
752 |
공구 |
3 |
16.7 |
3 |
-12.5 |
19 |
815 |
계측제어분석기 |
6 |
46.8 |
3 |
-52.0 |
20 |
227 |
비누치약및화장품 |
2 |
32.1 |
2 |
11.6 |
21 |
726 |
압연기용접기및주조설비 |
0 |
-65.3 |
2 |
660.2 |
22 |
226 |
농약및의약품 |
2 |
5.2 |
2 |
-13.4 |
23 |
742 |
자동차부품 |
3 |
-39.4 |
2 |
-27.9 |
24 |
439 |
기타직물 |
2 |
43.4 |
2 |
-23.8 |
25 |
529 |
기타 생활용품 |
1 |
548.9 |
1 |
103.9 |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신변잡화, 의료용기기, 아연광, 의류, 농산가공품 등 수입 호조
우리나라의 對세르비아 수입의 경우, 최대 수입품목인 옥수수 등 곡실류의 경우 전년대비 24% 감소했으나 신변잡화, 의료용기기, 아연광, 의류, 농산가공품 등을 중심으로 수입 호조세를 보였다.
<한국의 對세르비아 주요 수입품목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순번 |
코드 |
품목명 |
2021년 |
2022년 |
||
수입 금액 |
수입 증감률 |
수입금액 |
수입 증감률 |
|||
|
|
총계 |
210 |
25.3 |
181 |
-13.8 |
1 |
011 |
곡실류 |
138 |
22.3 |
105 |
-24.0 |
2 |
119 |
기타금속광물 |
38 |
77.3 |
29 |
-24.3 |
3 |
511 |
신변잡화 |
3 |
52.3 |
10 |
211.3 |
4 |
733 |
의료용기기 |
2 |
7,489.5 |
9 |
242.6 |
5 |
116 |
아연광 |
6 |
0.0 |
6 |
2.9 |
6 |
441 |
의류 |
2 |
31.6 |
4 |
103.7 |
7 |
711 |
원동기및펌프 |
2 |
24.6 |
3 |
34.1 |
8 |
833 |
수동부품 |
1 |
50.9 |
2 |
148.8 |
9 |
815 |
계측제어분석기 |
2 |
88.0 |
2 |
-2.3 |
10 |
016 |
농산가공품 |
2 |
7.3 |
2 |
26.6 |
11 |
831 |
반도체 |
0 |
1,564.2 |
1 |
4,643.7 |
12 |
243 |
유리제품 |
1 |
95.7 |
1 |
-9.6 |
13 |
742 |
자동차부품 |
1 |
17.8 |
1 |
-5.9 |
14 |
449 |
기타섬유제품 |
2 |
14,268.5 |
1 |
-64.4 |
15 |
842 |
산업용 전기기기 |
1 |
11.2 |
1 |
13.9 |
16 |
014 |
식물성 재료 |
1 |
322.8 |
1 |
2.4 |
17 |
015 |
기호식품 |
0 |
114.9 |
1 |
32.3 |
18 |
310 |
플라스틱 제품 |
0 |
137.4 |
0 |
21.8 |
19 |
320 |
고무제품 |
0 |
4.3 |
0 |
-7.7 |
20 |
841 |
전력용기기 |
0 |
-8.2 |
0 |
170.8 |
21 |
839 |
기타전자부품 |
0 |
-39.1 |
0 |
672.4 |
22 |
031 |
목재류 |
1 |
5.8 |
0 |
-45.3 |
23 |
226 |
농약및의약품 |
0 |
56.2 |
0 |
-10.2 |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시사점
지난해 우리나라의 對세르비아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은 세르비아의 최대 교역대상지역인 유럽연합(EU)의 경기 둔화에 따른 유럽연합 수출용 중간재 수입 수요 감소와 세르비아의 인플레 급등에 따른 가계 소비 감소세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금년 우리나라의 對세르비아 수출은 건설인프라 관련 중장비 및 부품, 전기자동차, 바이오 의약품, 의료기기, 농기계, 화장품, 공기청정기, 환경관련 기자재 등을 중심으로 호조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세르비아 중앙은행, VIP Daily, 무역관 자료 종합
원문링크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70&pNttSn=20007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