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장쑤성 통계국은 <2022년 장쑤성 국가 경제 및 사회 발전 통계 공보>를 발표했다. 2022년 장쑤성 GDP는 12조2875억6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한 12조 위안을 기록했다. 이 중 1차 산업의 증가치는 4959억4000만 위안으로 3.1% 증가했고, 2차 산업의 증가치는 5조5888억7000만 위안으로 3.7% 증가했으며, 3차 산업의 증가치는 6조2027억5000만 위안으로 1.9% 증가했다. 2022년 1,2,3차 산업 구조의 비율은 각각 4%, 45.5%, 50.5%이다. 1인당 GDP는 14만4390위안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2022년 장쑤성 1,2,3차 산업 구조>
(단위: 억 위안)
[자료: 장쑤성 통계국 검색일자]
한편 2022년 말 기준 장쑤성 인구는 8515만 명으로 2021년 말에 비해 10만으로 0.1% 증가했다. 남성 인구 4320만 명, 여성 인구 4195만 명이며 0-14세 인구 1205만 명, 15-64세 인구 5788만 명, 65세 이상 인구 1522만 명이다. 2022년 인구 출생률은 0.5%, 인구 사망률은 0.7%이다. 인구 자연 성장률은 0.2% 감소했다. 새로운 도시화 건설 속도가 빨라져 2022년 말 상주인구의 도시화율은 74.4%로 2021년 말보다 0.5% 높아졌다.
<2018~2022년 장쑤성 연말 상주인구 통계>
(단위: 만 명)
[자료: 화징산업연구원(華經產業研究院) 검색일자]
소비자 물가는 전년 대비 2.2% 상승했다. 도시와 농촌은 각각 2.1%, 2.3% 상승했으며, 주요 품목별로는, 식품·담배·술류 2.6%, 의류 1.2%, 주거류 0.9%, 생활용품 및 서비스류 2.0%, 교통통신류 4.9%, 교육·문화·오락류 1.6%, 의료·보건류 1.9%, 기타용품 및 서비스류 1.8% 상승을 기록했다.
<2022년 장쑤성 소비자 물가 지수(2021년 100 기준)>
지표 |
장쑤성 |
도시 |
농촌 |
주민소비가격 |
102.2 |
102.1 |
102.3 |
식품, 담배, 술 |
102.6 |
102.6 |
102.5 |
의류 |
101.2 |
101.4 |
100.4 |
거주지 |
100.9 |
100.8 |
101.2 |
생활용품 및 서비스 |
102.0 |
102.0 |
102.2 |
교통 통신 |
104.9 |
104.9 |
104.7 |
교육문화오락 |
101.6 |
101.5 |
101.7 |
의료보건 |
101.9 |
101.9 |
101.8 |
기타용품 및 서비스 |
101.8 |
101.6 |
102.4 |
[자료: 장쑤성 통계국 검색일자]
2022년 말 기준 장쑤성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4만9862위안으로 전년 대비 5.0% 증가했다. 도시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6만178위안으로 4.2% 증가했고 농촌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2만8486위안으로 6.3% 증가했다. 1인당 소비 지출은 3만2848위안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다.
<2022년 장쑤성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
(단위: 위안)
[자료: 장쑤성 통계국 검색일자]
2022년 말 기준 장쑤성 규모 이상(영업수입 2000만 위안 이상) 공업의 증가치는 전년 대비 5.1% 증가했다. 첨단기술과 장비제조업의 증가치는 전년 대비 각각 10.8%, 8.5% 증가했으며, 규모 이상 공업 총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4.0%, 52.6%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전자 6.3%, 의약 11.0%, 자동차 14.8%, 전기 16.3%, 특수장비 6.0% 등 선진 제조업 부문이 증가했다. 신에너지, 신형재료, 차세대 정보 기술 관련 제품의 생산량이 비교적 빠른데 이중 신에너지 자동차 93.2%, 리튬이온전지 23.4%, 태양전지 36.2%, 산업로봇 64.6%, 탄소섬유 및 복합재료 49.5%, 스마트폰 64.5%, 서버 생산량은 114.3% 증가했다.
<2022년 장쑤성 주요 공업제품 생산량 현황>
제품명 |
계량단위 |
생산량 |
증감률(%) |
실 |
만 톤 |
302.1 |
-15.3 |
천 |
억 메터 |
48.7 |
-11.3 |
화학섬유 |
만 톤 |
1,632.0 |
0.6 |
담배 |
억 개비 |
1,054.3 |
0.4 |
스마트폰 |
만 대 |
5,090.5 |
49.5 |
컬러 TV |
만 대 |
737.4 |
-1.7 |
- 스마트 TV |
만 대 |
490.2 |
8.9 |
가정용 냉장고 |
만 대 |
1,215.5 |
-9.6 |
방 에어컨 |
만 대 |
537.5 |
-10.8 |
조강 |
만 톤 |
11,905.0 |
-2.6 |
강재 |
만 톤 |
14,882.2 |
-5.3 |
비철금속 10종 |
만 톤 |
91.3 |
3.9 |
시멘트 |
만 톤 |
14,206.3 |
-8.5 |
황산 |
만 톤 |
283.7 |
-14.4 |
소다 |
만 톤 |
373.9 |
-21.1 |
에틸렌 |
만 톤 |
390.2 |
6.5 |
비료 |
만 톤 |
161.6 |
-7.1 |
자동차 |
만 대 |
94.4 |
10.9 |
- 승용차 |
만 대 |
32.9 |
-3.4 |
- 신에너지차 |
만 대 |
44.8 |
93.2 |
태양 전지 |
만 킬로미터 |
10,907.9 |
36.2 |
광섬유 |
만 킬로미터 |
17,944.0 |
27.5 |
광케이블 |
만 심 킬로미터 |
8,659.5 |
-3.3 |
마이크로 컴퓨터 |
만 대 |
3,330.5 |
-39.1 |
집적 회로 |
억 개 |
1,004.4 |
-15.3 |
서버 |
만 대 |
2.9 |
114.3 |
산업용 로봇 |
만 대(세트) |
7.1 |
11.3 |
[자료: 장쑤성 통계국 검색일자]
한편 장쑤성의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산업별로 보면 1차 산업 투자는 19.6% 감소했고 2차 산업 투자는 9.0% 증가했다. 이 중 공업 투자는 9.0% 증가했으며 3차 산업 투자는 2021년과 동일하다.
투자 부문별로 살펴보면, 하이테크 산업에 대한 투자는 전년 대비 9.2% 증가했다. 주요 업종 중 연구개발 및 설계 서비스 23.5%, 전자상거래 서비스 업종 관련 투자가 20.1% 증가했다. 제조업 투자는 전기기계 및 기자재 제조 25.4%, 컴퓨터 통신 및 기타 전자 장비 12.0%, 통용 설비 제조는 9.7% 증가했다. 서비스업 투자 중 금융업 33.0%, 보건 및 사회봉사 29.4%, 문화·체육·오락산업은 24.5% 증가했다.
2022년 장쑤성 사회소비품 소매 총액은 4조2752억1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0.1% 증가했다. 소비 유형별로 보면, 상품 소매 판매가 3조8676억2000만 위안으로 1.1% 증가했고 외식업 수입은 4조775억9000만 위안으로 8.4% 감소했다. 2022년 규모 이상(영업소득 2,000만위안 이상의 도매판매처, 영업소득 500만 위안 이상의 소매판매처) 상품의 소매액은 자동차류 2.8%, 석유류 7.5%, 중서약품류 15.9%, 음료류 5.1%, 담배·주류 4.6%, 금·은·보석류 6.3%, 화장품류 3.1%, 문화사무용품류 8.8%, 통신기기류 5.1% 증가했다.
장쑤성 신흥산업에서의(신에너지차, 스마트홈 관련, 친환경에너지 등) 소비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년 대비 2022년 한도 이상 상품 소매액은 스마트폰 118.2%, 에너지효율 1,2등급 상품 75.3%, 스마트가전·음향기기류 129.4%, 신에너지 자동차는 164.4% 증가했다. 2022년 실물 상품의 온라인 소매 소매액은 1조782억8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7.0% 증가했으며 사회소비품 소매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2%이다.
2022년 장쑤성 수출입 총액은 5조4454억9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 중 수출은 3조4815억7000만 위안으로 7.5% 증가했고 수입은 1조9639억2000만 위안으로 0.4% 증가했다. 무역 방식으로 보면, 일반 무역의 수출입 총액은 3조1257억1000만 위안으로 7.1% 증가했고 전체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7.4%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 품목별로 보면, 전기기계제품과 첨단기술제품의 수출액은 각각 7.1%, 7.2% 증가했다.
<2022년 장쑤성 수출입 현황>
(단위: 억 위안, %)
|
수출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총액 |
34,815.7 |
7.5 |
19,639.2 |
0.4 |
일반무역 |
20,464.7 |
9.2 |
10,792.4 |
3.4 |
가공무역 |
10,875.1 |
8.7 |
6,032.9 |
-6.5 |
전기기계제품 |
23,045.8 |
7.1 |
10,826.9 |
-2.1 |
첨단기술제품 |
12,074.0 |
7.2 |
7,823.4 |
-1.6 |
국유 기업 |
2,781.4 |
9.8 |
2,230.3 |
4.2 |
외자 기업 |
16,035.7 |
2.9 |
11,321.7 |
-3.9 |
민영 기업 |
15,641.9 |
12.2 |
5,804.9 |
9.7 |
[자료: 장쑤성 통계국 검색일자]
주요 국가별로 살펴보면, EU, 일본에 대한 수출은 각각 14.1%, 4.2% 증가했고 인도, 러시아, 아시아에 대한 수출은 각각 29.7%, 4.2%, 16.1% 증가했다. 한국을 향한 수출은 16.6% 증가했고, 수입은 2.5% 감소했다.
<2022년 각국과 장쑤성의 무역 현황>
(단위: 억 위안, %)
국가 및 지역 |
수출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유럽 연합 |
6,291.1 |
14.1 |
2,033.2 |
-5.3 |
미국 |
5,913.7 |
-1.8 |
1,285.4 |
18.8 |
아시아 |
5,095.6 |
16.1 |
3,205.8 |
7.3 |
한국 |
2,418.2 |
16.6 |
3,260.9 |
-2.5 |
라틴아메리카 |
2,376.7 |
14.9 |
1,330.1 |
20.4 |
일본 |
2,247.7 |
4.2 |
2,104.2 |
-4.5 |
홍콩 |
1,845.7 |
-18.5 |
9.1 |
-38.8 |
인도 |
1,292.3 |
29.7 |
149.5 |
-29.8 |
대만 |
1,113.4 |
-5.9 |
2,744.2 |
-1.9 |
아프리카 |
1,051.6 |
6.3 |
405.1 |
22.3 |
러시아 |
538.5 |
4.2 |
274.3 |
51.5 |
[자료: 장쑤성 통계국 검색일자]
2022년 장쑤성의 실질 외국인투자가 305억 달러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으며 3303개의 신규 외국인투자기업이 설립됐다. 또한 중국은 850개의 신규 해외 투자 프로젝트에 96억70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합의했다. 2022년에는 전년 대비 37.2% 증가한 262개의 '일대일로(一帶一路)' 해외투자 프로젝트가 추가됐으며 중국의 투자액은 34억7000만 달러로 116.3% 증가했다.
시사점
중국 각지에 양회(兩會)가 잇달아 열리면서 중국 31개 성은 모두 2023년 경제성장목표를 발표했다. 그중 장쑤성의 2023년 경제성장목표는 약 5%로 광둥성, 산둥성, 저장성 등 경제 강성과 일치한다. 장쑤성 13개 도시의 2023년 경제성장률 목표도 모두 5% 이상으로 확정돼 쑤저우시, 난징시, 우시시, 전장시 등 쑤난(蘇南)의 4개 도시가 5%로 가장 낮고 화이안시, 롄윈강시는 7%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2022년 경제성장 목표와 비교하면 2023년 장쑤성 11개 도시의 경제성장 목표는 전반적으로 하향 조정된 반면 롄윈강시의 경우 유일하게 상향했으며 화이안시는 2022년과 동일하다.
<2022~2023년 장쑤성 13개 도시 경제성장목표>
(단위: %)
[자료: 펑파이신문(澎湃新聞) 검색일자]
2023년 장쑤성 정부업무보고에서 올해 핵심업무 중 하나로 주요 프로젝트 투자(정책지향 개발 금융상품 등) 확대를 언급했다. 정책지향 개발 금융상품의 투입은 주요 프로젝트의 자본금을 보충하고 상업금융기관과 사회자본이 프로젝트 건설 참여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 투자 확대, 고용 및 소비 촉진 등이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장쑤성에 진출하려는 기업들은 장쑤성 각 도시의 관련 경제 동향과 정책을 세심하게 살피는 것이 필수적이다.
<장쑤성 각 도시의 2023년 주요 프로젝트 투자 업무 배치>
우시 |
정부 투자 프로젝트 3개년 계획을 편성했으며 정책적·개발적 금융상품, 중장기 대출, 특별 채권 등을 충분히 활용토록 함. |
창저우 |
교통, 에너지, 물자원 관리, 환경 보호 및 새로운 인프라 프로젝트를 국가 및 성급 프로젝트 목록에 포함시킴. |
쑤저우 |
성시급 주요 프로젝트 건설, 정책적·개발적 금융상품 프로젝트, 기반 시설 공모 기금(REITS) 등 추진 |
난퉁 |
32개의 성급 주요 프로젝트와 211개의 시급 주요 프로젝트를 시행. 정부 투자와 정책 인센티브를 통해 투자 활성화되도록 지원할 계획임. |
타이저우 |
새로운 정부 투자 프로젝트에 대한 공동 검토 시스템을 구축하고 특별 채권 및 정책적·개발적 금융도구에 대한 경쟁을 강화함. 대규모 중앙 기업의 선두 민간 기업과 고품질 외국 기업과의 투자 협력을 심화하고 민간 투자를 제한하는 각종 장벽 제거에 중점. |
쑤첸 |
교통, 물자원 관리, 생태 환경 보호, 민생 및 기타 분야에 대한 투자를 계속 추진하고 220개의 핵심 중심 도시 건설 중점 추진. 주요 프로젝트 건설을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임. |
[자료: 현대컨설팅(現代咨詢) 검색일자]
자료: 펑파이신문(澎湃新聞), 현대컨설팅(現代咨詢), 화징산업연구원(華經產業研究院), 장쑤성 통계국, KOTRA 난징무역관 자료 종합
원문링크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70&pNttSn=20242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