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한컵
내 강의실
내 멘토링
포인트
설정
로그아웃
나가기
저장안함
창업정보
아이템 & 프로젝트
팀
피플
창업교육
창업툴
게시판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닫기
로그인
구독 모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회원 구독 기능은 구독 모듈이 설치후 이용 가능합니다.
확인
자세히
Kotra
작성글
댓글
추천한 글
[쿠바] 달러 부족에 따른 위기 지속
방금
ㅇ 쿠바의 최근 다중 위기의 증상은 국가의 외환 부족에 기인함 - 식량(빵, 쌀), 액화가스, 휘발유, 기초의약품, 대중교통 부족 현상이 지속 중임 - 국영석유회사는 최근 액화가스 수입 부족으로 판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함 - 수입연료 부족으로 발전기 가동에 문제가 있으며 전국 많은 지역에서 매일 20시간 이상의 정전이 지속 중임 ㅇ 전문가들은 쿠바의 외환부족이 국가의 산업생산 붕괴 때문이라고 진단함 - UN에 따르면 쿠바는 산업붕괴로 국가 소비에 필요한 재화의 80%를 수입에 의존 중 - 최근 주요 외화수입원인 관광객 유치, 해외가족송금, 해외의사파견, 설탕생산, 제약바이오, 니켈수출 실적이 감소 중임 ㅇ 전문가들은 현 상황 관련, 미국 제재에 따른 피해를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쿠바 내부적인 요인을 지적함 - 미국 아메리칸 대학교 리카르도 토레스 교수는 지난 10년간 쿠바 호텔의 객실률이 매우 낮음에도 "대규모 호텔 건설"에 국가의 예산을 투입하는 실기를 범했다고 지적함 ㅇ 2025년 쿠바 경제는 작년과 비슷하거나 더 나쁠 것으로 전망됨 - 쿠바 GDP는 아직 코로나 직전인 2019년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 원문기사 링크 : 스페인통신사 EFE (https://efe.com/mundo/2025-03-07/cuba-crisis-divisas-estado/) 원문 출처 : 코트라
[슬로베니아] 방산업체 Valhalla Turrets, Rheinmetall과 무기 생산 확대 협의
방금
□ [슬로베니아] 방산업체 Valhalla Turrets, Rheinmetall과 무기 생산 확대 협의 ㅇ 독일 Rheinmetall 및 국영 Slovenian Sovereign Holding과 협력 논의 - EU의 방위산업 자립 강화 노력에 맞춰 무기 생산 확대 협의 진행 - Valhalla Turrets CEO Miloš Milosavljević, TV Slovenija 방송에서 관련 논의 확인 - 슬로베니아 정부가 참여하면 신뢰도가 크게 높아질 것이라며 국가지원 필요성 강조 ㅇ 방산업체 통합 가능성 - Milosavljević, "슬로베니아 최대 방산기업이 될 가능성" 언급 - Slovenian Sovereign Holding(SSH)은 관련 논의에 대한 언급 회피, 법적 이유로 국가 투자 관련 정보 공개 불가 입장 ㅇ 국방부, Valhalla Turrets와 4,500만 유로 계약 체결 - 슬로베니아군 장갑차에 탑재될 원격조종 무기 스테이션 12기 공급 계약 - Rheinmetall과 협력해 진행 ㅇ Valhalla Turrets 개요 - 2019년 설립, 슬로베니아 내 신흥 방산업체로 급성장 - 국방부의 방산 연구개발(R&D) 지원 정책의 혜택을 받으며 성장 - 주요 제품: Loki(경량 원격조종 무기 스테이션), Mangart(대형 장갑차용 강화형 무기 스테이션) □ [슬로베니아] 국방비 지출 목표 조기 달성 추진 ㅇ 기존 2030년까지 GDP 대비 2% 국방비 목표 앞당길 계획 - Robert Golob 총리, 3월 6일 EU 정상회의 참석 전 "목표 달성을 앞당겨야 한다"고 언급 - 구체적인 예산 증가 일정은 밝히지 않았으며, 6월 헤이그 NATO 정상회의 이전에 지출 확대 시나리오 마련 예정 ㅇ 국방비 지출 현황 및 전망(슬로베니아 국방부 추산) - 2025년 국방비 GDP 대비 1.5%, 2026년 국방비 GDP 대비 1.6% - 기존 계획보다 빠르게 2% 목표 도달 검토 ㅇ 국방력 강화 전략: 이중 용도(dual-use) 역량 투자 중점 - Golob 총리, 무기 구매보다 국내 및 EU 방산산업 기반 강화 필요성 강조 - 민간·군사적 활용이 가능한 이중 용도 장비 투자 확대 계획 - EU 재정 규제 완화 가능성 환영하며 독일의 장기적 예산 규제 완화 제안 지지 ㅇ 정치권 반응 - 야당: 2% 목표 조기 달성뿐만 아니라 추가 증액 필요 주장 - 연립 여당: 국방비 증액 필요성 공감하나 의견 조율 필요 - 연립 소수당 Left는 원칙적으로 무기 구매 확대에 반대하지만, 민간·군사적 활용이 가능한 이중 용도 장비 투자에는 긍정적 입장 *기사원문 링크 - The Slovenia Times (2025.03.07) - The Slovenia Times (2025.03.06) 원문 출처 : 코트라
[크로아티아] 리예카, 새 경기장 건설 추진… 호텔·고층 건물 포함된 대규모 프로젝트
방금
□ [크로아티아] 리예카, 새 경기장 건설 추진… 호텔·고층 건물 포함된 대규모 프로젝트 ㅇ 리예카 시, Kantrida 지역에 새로운 경기장 건설 논의 - NK Rijeka와 팬들의 오랜 숙원 사업 - 시 재정만으로는 해결 어려워 민간 투자자와 공공-민간 파트너십(PPP) 모델 추진 ㅇ 프로젝트 개요 - 12,000석 규모의 경기장 - 4층 규모의 호텔 (약 200개 객실) - 3개의 고층 건물 (최고층 35층, 높이 116m) - 경기장 및 부대 시설이 연중 운영되며 자체 수익 창출 가능 ㅇ 공공 및 민간 자본 조달 방안 - 거주용 고층 건물 수익을 통해 프로젝트 자금 조달 - 경기장은 공공 또는 민간 자본으로 건설 가능하나 민간 투자의 공공 이익과 균형 필요 ㅇ 시민 의견 수렴 절차 진행 중 - Kvarner 연합, 경기장 건설 촉구 및 서명 운동 시작 - 지역 주민 대상 투표 또는 지방 주민투표 시행 가능성 검토 - 일부 시민들은 경기장 건설에는 찬성하나 고층 건물 건설에는 반대 ㅇ 프로젝트 배경 - 2023년 12월 경기장 프로젝트 구상 발표 - 국제 컨소시엄이 제안, FC Rijeka의 회장 Damir Mišković 참여 *기사원문 링크 : Croatia could get a new stadium: 12,000 seats, a four-storey hotel with about 200 rooms and three skyscrapers... - Poslovni dnevnik (2025.03.06) 원문 출처 : 코트라
[케냐] 루토 대통령, '루토-라일라 협약' 지지를 위한 나이로비 순회 착수
방금
ㅇ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이 오늘(3.10.)부터 야당 원로 정치인 라일라 오딩가와의 협력 협약 체결을 알리고 지지 요청을 위한 집회 개최 및 주요 인사 면담 착수 - 나이로비 중심, 일주일간 순회 예정 - 카무쿤지 기술직업대학(Kamukunji Technical and Vocational College) 개교 선포를 시작으로 도로, 병원, 교육 등에 관련한 다양한 프로젝트 발표 예정 - 자신이 속한 통합민주동맹(UDA) 및 오딩가의 오렌지민주운동(ODM) 소속의 선출직 및 지역 지도자들과도 면담 추진 * 관련기사 링크: https://nation.africa/kenya/news/politics/ruto-raila-deal-president-tour-of-nairobi-to-popularise-pact-4958074 ** 일부 기사는 회원가입/구독 후 전문이 보일 수 있음 원문 출처 : 코트라
[이집트] 2025년 1월 자동차 판매량 22% 감소, 전년 대비 증가
방금
□ 2025년 1월 자동차 판매량 22% 감소, 전년 대비 증가 ○ 자동차 마케팅 정보위원회(Automotive Marketing Information Council, AMIC), 2025년 1월 자동차 판매량 전월 대비 22% 감소 발표 - 2025년 1월 자동차 판매량 10,100대로, 2024년 12월(13,000대) 대비 하락 - 2024년 10월부터 이어진 4개월간의 회복세 종료 ○ 승용차·버스 판매 감소, 트럭 판매 증가 - 승용차 판매량 7,600대로 전월 대비 28.4% 감소 - 버스 판매량 698대로 전월 대비 26.7% 감소 - 트럭 판매량 1,800대로 전월 대비 29.2% 증가 ○ 2025년 1월 자동차 판매량 전년 대비 61.4% 증가 - 2024년 1월 대비 승용차(58.2%), 버스(33.7%), 트럭(93.2%) 판매 증가 - 2024년 연간 자동차 판매량 10만 2,200대로, 전년 대비 13.2% 성장 - 외환 부족으로 인한 공급 문제 및 가격 상승 이후 시장 회복세 반영 * 기사원문: Auto sales slip in January by 22% month-on-month, but remains higher than January 2024 (Egypt today ’25.3.09) 원문 출처 : 코트라
[이집트] 이집트, 다미에타항에 5억 달러 규모의 해저 케이블 공장 설립 양해각서(MoU) 체결
방금
□ 이집트, 다미에타항에 5억 달러 규모의 해저 케이블 공장 설립 양해각서(MoU) 체결 ○ 이집트 해상·육상운송지주회사(Holding Company for Maritime and Land Transport), 엘스웨디 일렉트릭(Elsewedy Electric)과 다미에타항 산업단지 내 해저 케이블 공장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 총 5억 달러 규모 투자, 공장 부지 50만㎡ 규모 - 180m 높이의 케이블 제조 타워 포함 - 지역 최초이자 전 세계 여섯 번째 해저 케이블 공장 - 생산량 100% 수출 예정, 이집트의 해저 케이블 공급 역량 강화 - 중동·유럽·아프리카 지역을 대상으로 한 해저 케이블 수출 허브 역할 기대 ○ 다미에타항 600만㎡ 규모 산업·물류단지 개발 계획 포함 - 해당 개발 계획은 식품 가공, 자동차, 석유화학 등 다양한 산업을 유치할 것으로 전망됨. * 기사원문: Egypt signs MoU with Elsewedy Electric for $500M Subsea Cable Factory at Damietta Port (Egypt today ’25.3.09) 원문 출처 : 코트라
[이집트] IMF 이집트 EFF 대출 프로그램 4차 리뷰 핵심
방금
□ IMF 이집트 EFF 대출 프로그램 4차 검토 핵심 전망 ○ IMF, 3월 10일 이집트 규모 확대금융기구(Extended Fund Facility, EFF) 대출 프로그램 4차 검토 논의 - 2024년 4월 이집트 정부 요청에 따라 대출 규모 30억 달러에서 80억 달러로 증액 요청한 후 처음 진행 - 검토 완료 시 12억 달러 규모의 자금 수령 예정, 프로그램은 2026년 9월 종료 ○ 4차 검토에 따른 주요 정책 - 이집트는 대내외 경제 여건을 고려한 중기 재정 목표 조정 요청하여, 1차 재정수지 흑자는 2025/2026 회계연도에 GDP 대비 4%(기존 목표보다 0.5% 감소), 2026/2027 회계연도에는 5%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GDP 대비 세수 비율 2% 증가 목표(향후 2년간) - 민영화 프로그램 가속화 및 외국인 투자 유치 확대 - 유연한 환율제도 지속 시행 및 긴축 통화정책 유지 ○ IMF, 13억 달러 규모 RSF 대출 승인 여부 검토 예정 - IMF 회의에서 이집트의 RSF 대출 신청 논의 * RSF는 회복 지속 가능성 제도(Resilience and Sustainability Facility)이며 기후 변화 및 팬데믹 대응을 위한 정책 개혁 지원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 - 프로그램 최소 기간 18개월 적용 * 기사원문: What to expect from IMF 4th review of Egypt EFF loan programme (Ahram Online ’25.3.09) 원문 출처 : 코트라
최근 빠른 성장을 보이는 중국 간쑤성 경제 동향
방금
실크로드 중심지로 알려진 간쑤성은 중국 중원과 서북지역을 잇는 관문으로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유럽을 잇는 육상 교통 통로이자 ‘일대일로’, 서부대개발, 실크로드 경제벨트의 중요한 거점이기도 하다. 간쑤성은 서북 내륙에 위치하여 풍부한 광물 및 에너지 자원을 바탕으로 석유 화학, 비철금속, 전력 및 석탄 등 1,2차 산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구축하였다. 최근 몇 년간 간쑤성은 10대 생태 산업 개발, 산업 전환 및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며 질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자료: 간쑤성인민정부 공식 홈페이지] 간쑤성 경제발전 현황 2024 년 간쑤성 GDP는 1조3000억 위안으로 중국 31개 성, 직할시 및 자치구 중 27 위를 차지했고 중국 평균보다 높은 5.8 %의 성장률을 보였다. (단위: 억 위안,%) [자료: 간쑤성 국민 경제 및 사회 발전 통계 보고서] (단위: 억 위안,%) [자료: 간쑤성 국민 경제 및 사회 발전 통계 보고서] 간쑤성 3대 경제개발구 2023년 간쑤성 공업 부가가치는 3,389.6 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7.6% 증가했다. 중점 산업별로 보면 석유화학, 유색금속, 전력, 석탄, 식품 공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5%, 15.9%, 1.0%, 4.1%, 5.5% 증가했으며 각각 전체 공업 부가가치의 32.6%, 18.6%, 10.4%, 9.4%, 8.6%를 차지했다. 2024 년 1-3분기 간쑤성 공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12.0% 증가했으며 이 중 광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9.8% 증가했고,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13.7% 증가했다. 2021년 10월, 간쑤성은 을 발표하며 간쑤성 3대 경제권 산업의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 도시 개요 란저우-바이인 경제권(兰州—白银经济圈) 란저우(兰州), 바이인(白银), 딩시(定西) 및 린샤저우(临夏州) 석유화학 공업 및 유색금속 제련 산업 발전, 신기능∙첨단 신소재 산업기지 구축, 제조업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비즈니스 및 금융 서비스 산업을 적극적으로 발전시키고, 현대서비스 산업의 발전 수준 향상 하시 회랑 경제 구역(河西走廊经济区) 지우취안(酒泉), 지아유관(嘉峪关), 장예(张掖), 진창(金昌), 우웨이(武威) 국가 신에너지 산업 기지 구축, 신소재 및 신에너지 산업 발전 추진, 특색적, 고효율적인 농업을 적극적으로 발전시키고, 문화 및 관광 산업을 공동으로 강화하고, 디지털 경제 발전을 가속화하고, 선진산업 시스템 구축 陇东南经济区 롱동난 경제구역 칭양(庆阳), 핑량(平凉), 톈수이(天水), 롱난(陇南) 및 간난저우(甘南州) IT, 장비 제조, 스마트 광전기, 데이터 정보, 현대 중의학 및 기타 첨단 산업 중점 단지를 중심으로 룽둥 남부에 현대 산업 클러스터 조성 [자료: ,, 및 ] 간쑤성 주요 산업 및 기업 간쑤성은 석유, 천연가스, 유색금속, 희귀금속 등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한 중국의 중요한 에너지∙원자재 산업 기지로, 풍부한 광물에너지 자원을 바탕으로 석유화학, 유색금속, 전력 산업이 발달했다. ① 석유화학 간쑤성에는 동서 20km, 남북 40km 규모의 옥문(玉門)유전이 위치해있고, 칭양시에는 중국 최대 셰일 오일 시범구(연 생산량 50만 톤)인 장칭 유전(长庆油田)이 위치해있다. 2023년 간쑤성 원유 생산량은 850만 톤을 초과했으며, 석유화학 산업은 간쑤성 산업 총 생산액의 18%를 차지한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석유∙천연가스 채굴을 기반으로 정밀 화학 및 신재생 에너지 소재 산업으로 발달하고 있다. 란저우석화(兰州石化)를 중심으로 한 정제 화학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옥문, 칭양(庆阳)의 유전을 기반으로 CCUS(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응용을 추진하여 녹색 저탄소 산업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② 유색금속 간쑤성은 니켈, 구리 등 다양한 광물자원이 풍부하다. 진촨(金川)광산이 위치한 간쑤성 진창시(金昌市)는 중국 최대의 니켈 생산지로 이 외 백금, 금 동 등이 생산되고 있다. 간쑤성의 유색금속 산업은 풍부한 니켈, 구리, 알루미늄 자원을 바탕으로 "채광-제련-가공"의 전 산업 밸류체인을 형성하였다. 2023년 총 생산액이 2,000억 위안을 돌파하였고 이는 간쑤성 전체 산업 총액의 15%를 차지하였다. 진촨(金川)그룹(세계 니켈 기업 제3위)과 바이인(白银) 유색금속(구리 제련 기업)은 산업의 고급화 전환을 주도하고 있으며, 동력 배터리 소재(삼원 전구체)와 항공우주 분야 티타늄 합금 소재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③ 전력산업 간쑤성에는 또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력생산, 에너지 저장 산업도 발전하였다. 간쑤성은 주로 양수 발전을 기반으로 위치 에너지 저장(ESS)을 하고 있으며 수력 발전과 신재생 에너지을 함께 활용하여 전력망의 안정성을 최적화하고 있다. 대표적 프로젝트는 현재 건설 중인 “장예 양수발전소”(张掖抽水蓄能电站)이다. 해당 발전소의 총 설치 용량은 140만 KWh(킬로와트)이며, 설계 연간 발전량은 16억8000만 KWh∙h(킬로와트시)로, 향후 가동시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와 함께 간쑤지역의 에너지 공급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처럼 석유화학, 유색금속, 전력산업이 발달한 간쑤성에는 란저우 석유화학(兰州石化), JISCO(酒钢集团), 바이인 유색금속(白银有色), 창칭 유전(长庆油田) 등 대표 기업이 있다. 기업명 산업분야 규모 소재지 란저우 석유화학(兰州石化) PetroChina Lanzhou Petrochemical Company (https://gansu.gscn.com.cn/) 석유화학 연간 원유 가공량 1050만톤 간쑤성 란저우시 지스코 그룹(酒钢集团) JISCO (https://www.jiugang.com/) 강철,유색금속,전력에너지, 장비제조,현대농업 연간 철강 생산량1105만톤 간쑤성 자우관시 바이인 유색금속(白银有色) BNMC (www.bynmc.com) 유색금속(구리, 납, 아연) 연간 구리, 납, 아연 제련 600,000톤 간쑤성 바이인시 진촨그룹(金川集团) JINCHUAN GROUP (http://www.jnmc.com/) 유색금속 니켈 연간 생산량 중국3위, 구리 생산량 중국 4위 간쑤성 진촨시 티엔쉐이화티엔과기(天水华天科技) HT-TECH 반도체 연간 집적 회로 패키징 30억 개 간쑤성 톈수이시 간쑤건설그룹(甘肃建投集团) GANSU CONSTRUCTION INVESTMENT (http://www.gsjtw.cc/) 건축 ENR 세계 상위 250대 국제 계약업체 간쑤성 란저우시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시안무역관 정리 ] 대외무역 및 수출입 간쑤성은 대외 무역 의존도가 낮고 교역량도 비교적 적은 편이다. 2024년 간쑤성 수출입 규모는 615.4억 위안, 전년 대비 25.2% 증가하였으며 성장률이 중국에서 제1위 차지하였다. 그 중 수입액은 488.2억 위안으로 32.7% 증가하였고 금속 광석,광사(矿砂) 등 원자재 수입이 64.2% 증가해 전체 수입액의 71.9%를 차지하였다. 총 수출액은 127.2억 위안으로 2.8% 증가하였고 “일대일로”연선 국가에 대한 수출액이 473.9억 위안으로 전체 수출액의 77%를 차지하였다. (단위: 천 불,%) 순위 국가명 2023년 2024년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1 홍콩 305,686 -30.7 183,969 -39.8 2 미국 147,343 -16.0 168,831 14.6 3 대만 78,236 12.7 94,501 20.8 4 우즈베키스탄 105,221 2,091.0 92,026 -12.5 5 한국 107,721 20.4 88,061 -18.3 6 카자흐스탄 76,485 221.6 81,078 6.0 7 콩고 민주공화국 50,441 178.5 74,752 48.2 8 베트남 72,684 0.5 71,181 -2.1 9 아랍에미리트 연합 14,705 -82.5 54,105 267.9 10 러시아 72,138 18.3 53,676 -25.6 [자료: 한국무역협회] (단위: 천 불,%) 순위 국가명 2023년 2024년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1 카자흐스탄 1,696,132 -16.8 1,876,962 10.7 2 페루 185,272 262.3 752,509 306.2 3 호주 316,411 -46.8 621,517 96.4 4 인도네시아 702,731 36.7 525,899 -25.2 5 칠레 131,452 -41.0 456,969 247.6 6 러시아 382,509 13.6 358,051 -6.4 7 몽골 310,507 -26.9 301,403 -2.9 8 콩고 민주공화국 224,595 -65.8 289,235 28.8 9 브라질 34,662 -71.6 176,810 410.1 10 미국 25,622 -5.0 154,449 502.8 [자료: 한국무역협회] (단위: U$ 천, %) 순위 품목 (HSCODE) 품목명 2023 2024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1 854239 기타 집적회로 13031 -29.6 19287 48 2 848620 반도체 장비 0 -100 2791 0 3 854231 시스템반도체 5325 -64.5 2158 -59.5 4 848630 부분품(컴퓨터) 0 0 1466 0 5 390120 폴리에틸렌 4970 29.4 1212 -75.6 6 854290 반도체 부분품 278 -78.8 1166 319.8 7 846310 드로우벤치 0 0 627 0 8 700319 시트 유리 1308 0 602 -53.9 9 854232 메모리반도체 6 -100 475 7948.6 10 903180 로드셀, 초음파 두께 측정기 0 0 351 0 [자료: 한국무역협회] 시사점 중국 내에서도 비교적 낙후되었던 간쑤성은 최근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간쑤성 GDP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주요 경제지표의 성장률이 중국 성ㆍ시 중 선두권을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도 간쑤성은 개혁 개방을 지속적으로 확대시키고, 경제구조와 산업구조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대외 교역 규모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간쑤성은 원유, 천연가스, 니켈, 구리 등 광물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자연환경이 우수해 신재생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다. 우리 기업들도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간쑤성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간쑤성 진출을 시도할 수 있다. 자료: 간쑤성인민정부 공식 홈페이지, 한국무역협회, , , , ,,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시안무역관 종합 취합 원문 출처 : 코트라
중국, 새해에도 '이구환신(以旧换新)' 통해 내수 진작 나선다
방금
지난 1월 8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와 재정부는 (이하 )를 발표해 2024년 3월부터 시행해 온 이구환신 정책을 2025년에도 연장 시행할 것이라고 했다. 2025년 이구환신 정책은 작년 대비 설비 교체 지원 범위를 확대하고, 노후 차량 폐차 및 교체 지원 기준을 국4(国四, 국가 제4단계 배기가스 배출기준)까지 확대했다. 또한, 가전제품 교체 지원 범위를 8종에서 12종으로 늘렸으며, 휴대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 스마트 제품을 지원 대상으로 신규 지정했다. < 2025년 대규모 설비 교체 및 소비재 이구환신 지원 확대에 관한 통지 원문> [자료: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세부 내용 에너지 장비, 교통운수 등 전통적인 분야뿐만 아니라 전자정보, 안전생산, 시설농업 분야까지 설비 교체 지원 범위가 확대되었다. 첨단기술 산업인 칩 제조 장비의 업그레이드, 생산 안전 보호 시설 보강, 농업 현대화를 위한 스마트 관개(灌溉) 및 온도 제어 장비 도입 등도 설비 교체 지원 대상에 해당된다. 기업은 설비 교체 시 산업 특성에 따라 보조금 및 대출 이자 할인을 신청할 수 있어 자금 부담을 줄이고 첨단화, 스마트화, 친환경화 생산의 가속 발전에 집중할 수 있다. 분류 세부내용 기존 확대 산업, 에너지 장비, 에너지 전력, 교통운수, 물류, 환경 기반시설, 교육, 문화관광, 의료, 노후 엘리베이터 전자정보, 안전생산, 시설농업 - 기업이 설비 업그레이드를 위해 대출 신청 시, 1.5%에 해당되는 금액을 이자 보조금 형식으로 지원하는 기존 정책을 유지하고 초장기(超长期) 특별 국채 자금을 2024년의 1,500억 위안보다 확대 투입해 이자 지원 자금 강화 예정 - 산업별로 재고 설비에 대한 평가 진단 업무를 진행하고 설비 교체 목표와 방안 수립 - 노후 운항 선박 교체 사업 강화 - 노후 화물차 및 농기계의 교체 지원 범위를 확대해 화물차의 교체 지원 기준을 국4로 확대하고 농기계 관련 ①파오양기(抛秧机, 모를 던져서 심는 기계)를 범위에 포함시켜 이앙기(插秧机)와 똑같이 정책 지원, ②채면기(采棉机) 교체 지원금을 6만 위안에서 8만 위안으로 인상, ③현장 작업 검사 단말기, 식물 보호 드론, 곡물 건조기, 색상 분류기 및 곡물 분쇄기를 보조금 지원 범위에 포함, ④이외에 각 지방 정부에서 자체적으로 정책 지원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농기계 유형을 6개에서 12개로 확대 - 신에너지 도시 버스 및 동력 배터리 교체 지원금을 6만 위안에서 8만 위안으로 인상 [자료: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KOTRA 칭다오무역관 정리] 내용 중, 소비재 이구환신 지원 정책에 따르면 소비자는 자동차 및 가전제품 구매 시 품목에 따라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으로 정부 보조금 및 금융 기관이 제공하는 저금리 할부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는 구매 비용을 줄여 소비 수요를 자극함으로 대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한 대응 방침이다. 구분 품목 세부내용 자동차 폐차 및 구매 내연기관차 - [폐차 기준] 배기가스 배출기준을 국3에서 국4로 확대 - [폐차 대상] 2024년 대비 자동차 등록일을 1년씩 연장 ①2012년 6월 30일 전에 등록한 가솔린 차 ②2014년 6월 30일 전에 등록한 디젤 및 기타 내연기관차 ③2018년 12월 31일 전에 등록한 전기차 배기량 2.0L 이하의 내연기관차 구매 시 1만 5,000위안 보조금 지원 전기차 중국 에 포함된 전기차 구매 시 2만 위안 보조금 지원 교체 및 구매 내연기관차 - 旧자동차 보유 기간 규정 2025년 1월 8일 전까지 본인 명의로 등록된 자동차를 타인에게 양도 및 등록하고 신차 구매 시 보조금 지원 내연기관차 구매 시 최대 1만 3,000위안 보조금 지원 전기차 전기차 구매 시 최대 1만 5,000위안 보조금 지원 가전제품 기존 (8종) 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컴퓨터, 온수기, 가스레인지, 후드 - 2등급 에너지 효율 제품은 판매가격의 15% 지원 - 1등급 에너지 효율 제품은 판매가격의 20% 지원 - 제품 품목별 1대당 1회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며(에어컨 제품 최대 3대), 제품당 보조금은 최대 2,000위안 지원 - 2024년에 이미 보조금 혜택을 받은 소비자는 2025년에도 유사한 가전제품 구매가능 신규 추가(4종) 전자레인지, 정수기, 식기세척기, 전기밥솥 스마트 제품 2025년 신규(3종) 휴대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 판매가격 6,000위안 이하의 제품 대상 보조금 지원 - 판매가격의 15% 지원 - 1인당, 제품 품목별로 1대에 최대 500위안 지원 [자료: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KOTRA 칭다오무역관 정리] 이구환신 정책 시행에 따른 경제 효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2024년 이구환신 정책에 의해 진행한 설비 교체 프로젝트는 4,600건을 초과했다고 한다. 프로젝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화물차 55만 6,000대, 신에너지 도시 버스 및 동력 배터리 7만 2,000대, 농기계 95만 대를 교체 지원하고, 엘리베이터 4만 1,000대, 교육·문화·관광·의료 분야 설비 26만 8,000대를 교체 지원했으며, 중점산업 분야의 설비 교체 총량은 2,000만 대를 넘어 2024년 설비 구매 관련 투자가 전년 대비 15.7% 증가했다. 2024년 소비재 이구환신 정책에 힘입어 자동차, 가전제품, 전기 자전거 등 소비재의 매출액은 1조 307억 위안으로 사상 최고치에 달해 전년 대비 12.3% 증가했다. 이중 자동차는 680만 대를 교체해 매출액 9,200억 위안을 돌파하고, 2024년 이구환인 정책 대상인 8종의 가전제품의 판매량은 6,200만 대로 2,700억 위안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폐차 회수량은 846만 대로 작년 대비 64% 증가하고, 폐가전제품의 회수량은 63만 톤으로 해체 수량은 작년 대비 20% 증가해 자원 회수 재활용에 따른 녹색 발전의 효과적인 성과를 보였다. 1월 8일, 산둥성 인민정부가 뉴스브리핑을 통해 발표한 2024년 이구환신 정책 시행 결과에 따르면 자동차의 폐차 및 구매 수는 49만 2,000대(중국 전체의 17%)로 전국 1위를 차지하고 교체 및 구매 수는 27만 1,000대에 달했으며, 가전제품은 412만대를 교체 지원해 2024년 소비재 매출액은 1,270억 위안 이상으로 작년 동기 대비 6.9% 증가했다. 이구환신 정책 효과는 올해도 이어져, 2025년 시행 이후 2월 19일까지 전국 자동차 폐차 및 교체 수는 16만 9,000대에 달하고, 12종의 주요 가전제품 이구환신 정책에 참여한 소비자 397만 명이 총 487만 대 이상의 가전 제품을 구매했으며 2,671만 명 이상의 소비자가 올해 신규로 확대한 스마트 제품(휴대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구매 보조금을 신청해 2025년에도 중국 소비시장의 활성화를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시사점 중국 재정부 경제건설사(财政部 经济建设司) 사장 푸진링(符金陵)은 2025년 소비재 이구환신 자금으로 810억 위안을 각 지방 정부의 정책 실시 자금으로 배정했으며, 배정 기준은 2024년 소비재 이구환신 정책 집행 상황 및 업무 성과에 따른다고 했다. 또한 구체적인 연간 재정 보조금 액수는 3월 초 양회에서 발표할 예정임을 언급했다. 이에 대해, 중국인허증권(中国银河证券) 수석 장디(张迪)는 보조금 810억 위안은 주로 2월까지 사용되며 연간 보조금은 약 5,000억 위안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차이신연구원(财信研究院) 부원장 우차오밍(伍超明)은 외부 환경 변화로 인한 불리한 영향이 지속되고 중국 경제가 여전히 어려움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제약 조건에서 거시 정책은 더욱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다고 했으며, 소비 진작 정책의 효과로 인해 2025년 소비재 매출이 4%~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자료: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산둥성인민정부(山东省人民政府), 양스신문(央视新闻), 경제완보(经济晚报), 환추왕(环球网), 금융계(金融界), 21세기경제보도(21世纪经济报道) 및 KOTRA 칭다오무역관 자료 종합 원문 출처 : 코트라
중국 중부 경제의 전략적 핵심지 후베이성의 2024년 경제 현황 및 2025년 전망
방금
GDP 6조 위안, 14.5 계획 목표 1년 앞당겨 달성 2024년, 외부 압력은 커지고 내부 어려움은 늘어나는 상황에 직면하여, 후베이성은 경제 발전의 양적, 질적 성장을 동시에 추진하며, 연간 GDP는 6조 13억 위안(약 8,429억 달러)을 달성하여 전년 대비 5.8% 성장하였으며, '14.5' 계획 목표를 1년 앞당겨 달성하였다. [출처: 후베이성 통계국] 전국적으로 볼 때, 31개 성 중에서 2024년 후베이성의 GDP는 전국 7위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GDP 성장률은 전국 평균 수준보다 0.8%p 높아 주요 경제 지역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출처 : 지방통계청] 후베이성 내 주요 도시의 경제 발전 상황을 보면, 2024년 성도인 우한시의 GDP는 2조 1,106억 위안으로 중부 지역 도시 중 1위를 고수하고 있다. 다른 도시 중에 이창시(宜昌市)의 GDP는 6,191억 위안, 샹양시(襄阳市)의 GDP는 6,102억 위안을 달성하였다. 주요 경제지표 달성 현황 (1) 산업별 성장률 산업별 전체성 중 1차 산업은 3.1%(5,462억 위안), 2차 산업은 6.4%(2조 574억 위안), 3차 산업은 5.9%(3조 977억 위안) 증가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2차 및 3차 산업의 성장률은 각각 전국 평균보다 1.1%p, 0.9%p 높다. (2) 공업 부가가치 2024년, 전 성의 산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7.7% 증가하여 전국 평균 수준인 1.9%를 상회했다. 그 중 첨단 기술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22.7% 성장하여 후베이성의 전체 산업 성장률인 15.0%보다 빠르게 성장하였다. 주요 산업별 생산량 증가율은 ▲ 스마트폰(66.5%), ▲ 전자 부품(52.8%), ▲ 칩(18.3%), ▲ 리튬이온 배터리(50.5%)이다. 광전자, 자동차 제조, 바이오헬스 등 3대 산업의 부가가치가 1조 위안에 진입했으며, 고급 장비 제조, 스마트 교통 등 1,000억 위안의 부가가치를 달성 산업이 19개에 달한다. (3) 고정자산 투자액 2024년, 후베이성의 고정 자산 투자는 전년 대비 6.5% 증가하여 전국 평균 수준인 3.3%를 상회했다. 산업별로는 1차 산업 투자가 2.8%, 2차 산업 투자가 14.7%, 3차 산업 투자가 2.1% 증가했다. 분야별로는 인프라 투자는 9.8% 증가했고, 제조업 투자는 15.4% 증가했으며, 부동산 개발 투자는 5.9% 감소했다. (4)수출입 2024년, 후베이성의 수출입 총액은 7,058억 위안(992억 달러)으로 전년 대비 9.6% 증가했으며, 이는 전국 평균 수준인 4.6% 보다 높은 수치이다. 그 중 수출은 4,863억 위안(683억 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했으며 수입은 2,195억 4,000만 위안(308억 6,000만 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 국가(지역) 별로 보면, 후베이성과 상위 10개 무역 국가(지역) 간의 무역액이 거의 50%를 차지한다. * 미국 1위(9.8%), 말레이시아 2위(7.0%), 홍콩 3위(4.9%), 한국 9위(3.5%) 순위 무역국 무역총액(천 달러) 점유율(%) 1 미국 9,812,091 9.8 2 말레이시아 6,981,504 7.0 3 홍콩 4,917,057 4.9 4 대만 4,471,268 4.5 5 일본 4,194,968 4.2 6 브라질 3,997,243 4.0 7 인도 3,922,700 3.9 8 인도네시아 3,576,902 3.6 9 한국 3,475,119 3.5 10 호주 3,326,347 3.3 합계 48,675,199 48.8 [출처:Global Trade Atlas(2025.2. 12.)] 수출 제품을 보면, 후베이성의 기계 및 전기 제품 수출이 18.1% 증가하여 수출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53.7%)이 2023년에 비해 2.6% 증가했다. 휴대폰, 집적회로 등의 제품 수출 증가율이 모두 30%를 초과했으며, 자동차 및 부품 수출은 약 400억 위안, 태블릿 디스플레이 모듈과 리튬 배터리 수출액은 약 100억 위안에 달했다. 수입 제품을 보면, 40%가 기계 및 전기 제품이다. 전자 부품 수입은 31.3%, 컴퓨터 및 부품 수입은 11.1% 증가했다. 안정적인 산업 생산은 원자재 수입 수요도 증가시켰으며, 철광석과 구리 의 수입량 증가폭은 모두 10% 이상이다. 한편 소비재 수입은 11.3% 증가했으며 그 중 육류, 말린 과일 및 신선 과일, 수산물 수입이 크게 증가했다. (5) 소비 2024년, 후베이성의 사회 소비품 소매 총액은 2조 5,27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했으며, 전국 평균 수준인 1.6%보다 높다. 소비재 '이구환신'(중고 교체) 정책의 추진으로 스마트 녹색 상품 소비가 빠르게 증가했다 * ▲컴퓨터 및 주변 기기(37.3%), ▲신에너지 자동차(42.0%), ▲스마트 가전제품(5.4%), ▲ 스마트폰(24.1%). 한편, 현지 정부는 '론칭 경제'를 적극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1호점 경제 자금 지원 기준'을 발표했다. 2024년, 우한시에서는 400개 이상의 다양한 첫 매장을 새로 오픈, 전년 대비 73.8% 증가했으며, 글로벌 브랜드의 첫 매장 비율은 전년 대비 9% 증가했다. . [출처: 江汉之声] (6) 외국인직접투자(FDI) 2024년, 후베이성의 신규 외국인 직접 투자(FDI) 실제 사용 투자 금액은 18억 3,300만 달러(1- 11월)로, 전년 동기 대비 28.3% 감소했다. 2024년, 우한 전역에 새로 설립된 외국인 투자 기업은 407개로, 전년 대비 7.7% 증가했다. 총 310개의 세계 500대 기업이 우한에 투자했으며, 실제 외자 사용액은 중부 도시 중 1위를 유지하고 있다. (7) 세입 및 취업 2024년, 후베이성의 공공 예산 수입은 3,93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했다. 연간 후베이성 주민 소비자 물가(CPI)는 전년 대비 0.4% 상승했다. 연간 신규 고용은 93만 4,900명으로 전년 대비 6,100명 증가했으며, 실업률은 5.3%로 전년 대비 0.1% 감소했다. 2024년 후베이성 대 한국 무역 상황 글로벌 무역 환경과 중국 시장의 변화 속에서 2024년 한국-후베이 무역 총액은 34억 7,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3.7% 감소했다. 그중 한국의 후베이 수출은 14억 2,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했다. 주요 원인은 화학 제품(PE, PP, 필름 소재, 유기 착색제 등)의 수출액이 모두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지만, 무역액 기준 상위 두 개 품목인 집적회로와 반도체 생산 장비의 수출액은 지속 증가했다. 순위 제품명칭 2023년 2024년 성장률(%) 총계 1,510,264 1,428,370 -5.4 1 집적회로 446,375 497,299 11.4 2 반도체생산설비 229,906 251,957 9.6 3 촬영용화학제 81,181 91,432 12.6 4 벤젠 42,281 42,370 0.2 5 유기착색제 47,853 41,211 -13.9 6 폴리프로필렌(PP) 50,636 30,452 -39.9 7 막재료 40,095 26,320 -34.4 8 폴리에틸렌(PE) 38,072 24,421 -35.9 9 측정기기및설비 24,334 21,258 -12.6 10 공기청정설비 5,521 20,941 279.3 [출처:Global Trade Atlas(2025.2. 14.)] 후베이의 對한국 수출액은 20억 4,600만 달러로 동기 대비 18.6% 감소했다. 감소 품목에는 2023년 수출 규모가 컸던 제품들(예: 건축 석재, PCB 등)이었으며, 수출이 증가한 품목은 주로 저가 간이 통관 상품과 리튬 배터리로, 이는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무역의 빠른 발전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순위 제품명칭 2023년 2024년 성장률(%) 총계 2,514,927 2,046,749 -18.6 1 저가간이통관상품 33 155,610 470888.8 2 리튬전지 62,429 121,813 95.1 3 자동데이터처리장치 100,714 89,702 -10.9 4 무기화합물 146,541 53,328 -63.6 5 인쇄회로(PCB) 57,739 50,390 -12.7 6 합금강 62,510 48,581 -22.3 7 자동차부품 33,927 44,020 29.8 8 유기황화합물 44,228 40,246 -9.0 9 장난감, 모형 31,333 38,753 23.7 10 건축석재 210,358 38,581 -81.7 [출처:Global Trade Atlas(2025.2. 14.)] 2025년 후베이 경제 발전 전망 목표 고용 촉진, 민생 혜택, 안정화, 위험 방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후베이성 정부는 2025년 GDP 성장 목표를 6%로 설정했다. 전국적으로 볼 때, 이는 매우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목표이며, 중국 상위 10개 경제 대성 중에서 후베이의 2025년 GDP 성장 목표가 가장 높다. 지표 2024년성장률 2025년성장목표 GDP 5.8% 6.0% 규모이상의공업부가가치 7.7% 7.5% 고정자산투자 6.5% 7.0% 수출입규모 9.6% 7.0% 소비재소매총액 5.1% 7.0% CPI 0.4% 2.0% 1인당가처분소득 5.1% 6.0% [출처: 2025년 후베이성 정부업무보고, 후베이성 통계국] 이를 위해 2025년 후베이성 정부는 ▲ 전방위적인 내수 확대 ▲ 과학기술 혁신 ▲ 산업 혁신 ▲ 도시권 연계 발전 추진 ▲ 대외 개방 통로 건설 추진 ▲ 문화 관광 강성(省) 건설 ▲ 중부 지역 부상을 가속하는 중요 전략 거점 건설 등 계획하고 있다. (1) 전방위적인 내수 확대 - 공급과 수요 양측의 협력과 소비 투자 상호 촉진을 지속하여 내수가 성장을 이끄는 주요 동력이 되도록 한다. - 1,600개의 도시 재생 프로젝트와 600개의 의료/건강/교육 서비스 프로젝트 건설을 가속화한다. - 성도인 우한시는 200개의 편의점을 새로 열고, 300개 이상의 '1호점'을 새로 개장할 것이며, 첫 번째 시내 면세점을 개설할 것이다. - 소비재 '이구환신’(중고 교체)의 시행 범위를 확대하고 론칭 경제, 빙설 경제, 실버 경제와 같은 서비스 소비를 적극적으로 발전시킨다. - 디지털 진단 및 치료, 가정용 로봇, 차세대 저고도 비행기 등 제품의 연구 개발을 가속화한다. - 전시,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등 분야를 활용한 다양한 소비모델을 개발한다. (2) 과학 기술 혁신 - 국가 핵심 연구소의 확장 및 업그레이드를 촉진하고 유기농업, 탄소 포집/저장 및 활용(CCUS), 초저주파 토지 검사와 같은 주요 과학 기술 SOC 건설을 국가 계획에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 바이오 제조, AI 등 분야를 중심으로 첨단 혁신 기술의 돌파를 가속화한다. - 다양한 기술이전 및 인큐베이팅 플랫폼을 구축하여 기술 계약 거래액이 6,000억 위안을 돌파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2023년, 후베이성의 신형 연구개발 기관 총수는 477개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았으며, 국가급 인큐베이터 수는 84개로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많았다. (3) 산업 혁신 - 자동차, 철강, 화학 산업 전환을 심도 있게 추진하고, 상업 우주 항공, 저고도 경제 등 신흥 산업을 강화한다. - 고급 AI 칩, 합성생물, 뇌- 기계 인터페이스 등 미래 산업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화학 및 에너지, 농산물 가공 등 분야의 현대화를 통해 관련 산업규모가 1조 위안을 달성하도록 추진한다. - 규모 이상 산업 기업의 디지털 전환 10,000개 달성, 100개 이상의 첨단/무인 공장/디지털화 공장을 새로 건설하며, 디지털 경제 핵심 산업의 부가가치는 6,000억 위안을 돌파한다. (4) 도시권 연계 발전 추진 - 우한, 샹양, 이창 등 세 도시권의 협력 발전을 추진하며, 우한 신도시, 샹양 동진 신도시, 이창 동부 산업 신구 건설을 추진한다. - 우한의 광전자 기술, ‘우한- 샤오간- 쑤이저우- 샹양- 스옌'을 잇는 1조 위안 규모 자동차 산업, '이창- 징저우- 징먼'의 인산 화학공업, '징먼- 샹양- 이창- 스옌'의 녹색 순환 배터리 등 우수 산업 클러스터를 확장하고 강화한다. (5) 대외 개방 통로 건설 추진 - 후베이성은 육·해·공 세 실크로드의 교차점으로, '내국인 대우+네거티브 리스트 관리' 등 제도의 대외 개방을 적극 추진한다. - 국제 무역 통로의 개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철도/수상/공중 복합 운송 허브를 구축한다. 화후 국제 자유무역항공항과 중국-유럽 화물열차 화중 지역 집결센터 건설을 가속화하고, 후베이의 개방 기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킨다. - 내외 무역 일체화를 추진하고, '일대일로', '글로벌 사우스' 등 신흥 시장을 확장하며, 해외 창고 건설을 강화하고, 서비스 무역과 디지털 무역을 적극적으로 발전시킨다. *2024년 8월 27일, 후베이성 어저우시에(鄂州市) 위치한 아시아 최초의 전문 화물 공항인 화후 공항(EHU)은 매주 최대 280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어저우 ⇋ 인천 화물' 항공편을 개설했다. 이 항로의 운영은 한중 경제 및 무역 교류 중 항공 물류 분야를 확대하고, 한국 상품이 중국과 전 세계로 수출되는 데 더 많은 물류 편의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www.eznews.cn ] (6) 문화 관광 강성 건설 - 공공도서관, 문화 마당과 같은 새로운 공공 문화 공간을 구축하고 '15분 공공 문화 서비스권'을 조성한다. - 전 국민 체육 대회 시스템을 개선하고 제16회 전국 운동회 개최를 신청하여 운영한다. - 선농지아(神农架)- 우당산(武当山)- 산샤(三峡)' 등 10개의 프리미엄 관광 코스와 100개의 관광지를 조성한다. (7) 중부 지역의 부상을 위한 중요한 전략적 거점 건설을 가속화 2013년 국가 차원에서 후베이성 발전을 위한 위치는 '중부 지역 부상을 위해 노력하는 중요한 전략적 거점'으로 설정되었고, 2024년에는 '중부 지역 부상을 가속화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적 거점'으로 변경되었다. '노력'에서 '가속화' 로의 전환은 단순히 표현이 변한 것이 아니라 중부 발전이 기존의 '간절한 기대'에서 '현실적 과제'로 전환되었다는 것이다. - 이를 위해 향후 5년 동안 후베이성은 GDP 7조 위안과 8조 위안의 두 단계를 넘어 2030년까지 9조 위안에 도달하도록 노력할 것이며, 후베이의 빠른 부상을 통해 중부 지역 전체가 빠른 부상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의의 및 전망 데이터에 따르면 후베이 인구는 중부 지역의 16%에 불과하지만 GDP 기여도는 21%에 달한다. 2024년 후베이성의 GDP, 수출입, 소비, 산업 부가가치 등 주요 경제 지표의 성장률은 모두 전국보다 높고 중부 지역 평균을 앞서고 있다. 2025년, 후베이성은 6%의 야심 찬 성장 목표를 정하며 '중부 지역 부상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전략적 거점' 건설 과정에 있어 후베이성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 추진할 예정이다. . 전방위적인 내수 확대는 2025년 후베이성의 8개 중점 업무 중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성도인 우한시는 매년 '국제 소비 중심 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 자금'을 조성하여 다양한 상품 소매 및 서비스의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한국 기업은 건강, 녹색, 스마트 등 업그레이드된 소비재의 내륙시장 진출을 강화하고, 편의점/외식/의료 미용/스마트 교육/IP 경제/엔터테인먼트/시내 면세점 등 중부지역의 새로운 업종 발전에 주목해야 한다. 2024년, 후베이성 정부는 《새로운 질적 생산력을 위한 실시 의견》, 《미래 산업 발전 실행 방안(2024- 2026년)》, 《수소 에너지 산업 실행 방안(2024- 2027년)》, 《저고도 경제 발전 실행 방안(2024- 2027년)》 등 특별 산업 계획을 잇따라 발표했다. 2025년에는 후베이성의 전통 산업 전환 및 업그레이드, 디지털 경제 및 미래 산업 발전 과정이 더욱 가속화 될 것이며, 관련 기술 교류 협력 및 장비에 대한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기회로 인해 해당 분야에서 앞선 기술을 가진 한국 기업들은 다양한 사업 기회를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몇 년 동안 후베이는 내륙의 '신연안(新沿海)'가 되기 위해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육로와 해로를 연결하고 동쪽과 서쪽 양방향 지원을 위한 국제 물류 대통로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입체적인 교통망은 이미 규모를 갖추기 시작하였고, 한국 기업은 우한- 부산 컨테이너 직항로, 화후 공항(EHU) 어저우 ⇋ 인천 화물 노선, 중국- 유럽 화물열차(우한) 등 국제 공공 물류 서비스를 최대한 활용하여 중국 내륙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중국 내륙을 통해 유럽까지 확장하는 저비용, 다원화된 국제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출처: 《2025년 후베이성 정부 업무 보고》, 후베이성 통계국, 우한 세관, GTA, 중국민용항공망, 후베이일보, 징추망, 우한무역관 자체조사 등 원문 출처 : 코트라
8
9
10
11
12
이달의 일정
Admin
Members
DEV
K스타트업
창업진흥원
기업마당
회사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