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한컵
내 강의실
내 멘토링
포인트
설정
로그아웃
나가기
저장안함
창업정보
아이템 & 프로젝트
팀
피플
창업교육
창업툴
게시판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닫기
로그인
구독 모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회원 구독 기능은 구독 모듈이 설치후 이용 가능합니다.
확인
자세히
Kotra
작성글
댓글
추천한 글
[크로아티아] Janaf, Omišalj 터미널 확장에 6,220만 유로 투자
방금
□ [크로아티아] Janaf, Omišalj 터미널 확장에 6,220만 유로 투자 ㅇ 국영 석유 및 가스 운송 기업 Janaf, Omišalj 터미널 저장 용량 확대 프로젝트 추진 - 기존 저장소 부지 확장하여 원유 저장 탱크 6기(각 8만㎥), 석유 제품 저장 탱크 1기(2만㎥) 신설 계획 - 전체 터미널 저장 용량 148만㎥에서 증가 예정, 에너지 공급 안정성과 보안 강화 목적 - 2024년 여름 전략 프로젝트 목록에 포함, 환경 보호 및 녹색 전환부 승인을 거쳐 정부 공식 승인 대기 - 2025년 초 착공 목표, 3월 13일 Omišalj 지역 주민 대상 프로젝트 공개 발표 예정 - 3월 말까지 공청회 진행 후 본격적인 추진 여부 결정 ㅇ 기존 인프라 활용 및 기술적 연결 - 기존 원유 수송 및 저장 시스템과 새로운 탱크 연결, 원유 및 석유 제품의 효율적 이송 가능 - 오염 방지 및 환경 보호 시스템 강화, 지역 사회 의견 반영 예정 ㅇ Omišalj 지역 사회 및 지방정부 입장 - 과거 LNG 터미널 건설에 대한 지역 반발과 달리, 이번 프로젝트는 공간 계획에 부합하여 긍정적으로 평가 - 정부 차원의 철저한 환경 영향 모니터링 및 감독 필요 강조 ㅇ 프로젝트 진행 후 자체 자금으로 투자 예정 - Janaf, 필요 요건 충족 시 기업 자체 자금으로 프로젝트 실행 계획 *기사원문 링크 : Janaf increases the capacity of the terminal in Omišalj, invests 62.2 million euros - Poslovni dnevnik (2025.03.04) 원문 출처 : 코트라
[이집트] 이집트 정부, 2025/2026 회계연도 교통 투자 계획 논의… 알렉산드리아 메트로 프로젝트 점검
방금
□ 이집트 정부, 2025/2026 회계연도 교통 투자 계획 논의… 알렉산드리아 메트로 프로젝트 점검 ○ 기획경제개발국제협력부 장관 라니아 알마샤트(Rania Al-Mashat)와 교통부 장관 카멜 알와지르(Kamel Al-Wazir), 2025/2026 회계연도 교통 투자 계획 검토 - 정부 개발 전략의 우선 과제로 녹색 경제 전환의 중요성 강조 - 2025/2026 회계연도까지 공공 투자에서 친환경 프로젝트 비중을 55%까지 확대 계획 ○ 알렉산드리아 메트로 프로젝트 진행 상황 점검 - 유럽투자은행(European Investment Bank, EIB), 유럽부흥개발은행(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EBRD), 프랑스개발청(French Development Agency, AFD) 등 개발 협력 기관과 프로젝트 현황 논의 - 1단계 노선(21.7km)은 아부키르역~미스르역 구간으로, 6.5km는 지상 구간, 15.2km는 고가 구간으로 구성 - 운행 속도 100km/h로 증가, 승객 수송 능력 최대 60,000명/시간으로 확대 예정 * 기사원문: Al-Wazir, Al-Mashat discuss Egypt’s transport investment plan, Alexandria Metro project (Daily News Egypt ’25.2.26) 원문 출처 : 코트라
[이집트] 이집트, 13개 석유·가스 탐사 구역 입찰 마감… 7억 달러 투자 유치
방금
□ 이집트, 13개 석유·가스 탐사 구역 입찰 마감… 7억 달러 투자 유치 ○ 이집트 석유광물자원부, 13개 석유·가스 탐사 및 생산 구역 입찰 마감 - 총 7억 달러 이상의 투자가 예상되며, 신규 발견 시 투자 규모 두 배 증가 가능 - 이번 입찰은 지중해 4개 구역과 내륙 9개 구역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지중해에서는 탐사 면적이 23% 증가하고, 내륙에서는 성숙 유전(mature field) 내 4개 구역의 재개발 및 지질학적 잠재력이 높은 5개 탐사 구역에서 탐사 활동 확대를 목표로 함. ○ 신속한 평가 절차 진행 예정 - Egyptian Natural Gas Holding Company (EGAS) 및 Egyptian General Petroleum Corporation (EGPC)는 두 달 내, General Petroleum Company는 한 달 내 입찰 결과 발표 예정 * 기사원문: Egypt closes bidding on 13 oil, gas exploration areas, attracting $700m in investments (Daily News Egypt ’25.2.26) 원문 출처 : 코트라
[이집트] 국제통화기금(IMF), 이집트 대출 협정 4차 검토 3월 10일로 예정
방금
□ 국제통화기금(IMF), 이집트 대출 협정 4차 검토 3월 10일로 예정 ○ IMF 집행이사회(Executive Board), 80억 달러 규모 확대금융기구(Extended Fund Facility, EFF) 대출 프로그램 4차 검토 논의 - 4차 검토 승인 시, 이집트는 12억 달러의 추가 자금 수령 예정 - 이번 검토는 이집트 정부가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 대출 규모를 30억 달러에서 80억 달러로 증액 요청한 후 처음 진행 ○ IMF, 이집트의 경제 개혁 추진 현황 평가 - IMF, 이집트 정부가 거시경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주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적 긴장으로 인한 수에즈 운하 수입 급감에도 개혁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 * 기사원문: IMF schedules Egypt loan deal 4th review for 10 March (Ahram online ’25.2.28) 원문 출처 : 코트라
[이집트] 이집트, 아인 소크나 통합구역에 8천만 유로 규모 에어 리퀴드(Air Liquide) 공장 개소
방금
□ 이집트, 아인 소크나 통합구역에 8천만 유로 규모 에어 리퀴드(Air Liquide) 공장 개소 ○ 무스타파 마드불리(Mostafa Madbouly) 이집트 총리, 수에즈 운하 경제구역(SCZone) 내 아인 소크나 통합구역에서 의료 및 산업용 가스 생산을 위한 에어 리퀴드(Air Liquide) 공장 공식 개소 - 공장은 25,000㎡ 규모로, 8천만 유로가 투자되었으며 액화 산소, 질소, 아르곤 생산을 전문으로 함 - 2024년 5월 시범 운영 완료 후, 2024년 8월 완전 운영 시작 - 일일 생산량: 산소 770톤, 질소 370톤, 아르곤 30톤 ○ 향후 공장 확장 계획 발표, 태양광 산업 핵심 부품 생산 예정 - 다음 개발 단계에서 태양전지 제조에 필수적인 웨이퍼 칩(wafer chip) 생산 예정 - 연간 1GW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며, 이집트 내 유일한 웨이퍼 칩 생산 기업으로 성장할 예정 - 웨이퍼 칩 현지 생산을 통해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산업 역량 강화 및 재생에너지 부문 성장 기대 * 기사원문: Egypt inaugurates €80M Air Liquide Factory in Ain Sokhna Integrated Zone (Egypt today ’25.2.27) 원문 출처 : 코트라
[이집트] 이집트 교통부, 유럽 수출 확대를 위한 Ro-Ro 운송선 활용 촉구
방금
□ 이집트 교통부, 유럽 수출 확대를 위한 Ro-Ro 운송선 활용 촉구 ○ 이집트, 다미에타항(Damietta Port)과 이탈리아 트리에스테항(Trieste Port) 간 Ro-Ro 운송선 개시 - 이집트 정부는 유럽 및 글로벌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 및 국가 경제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다미에타 항구와 이탈리아 트리에스테 항구 간 Ro-Ro(roll-on/roll-off) 운송선을 신설하고, 첫 운항은 2024년 11월 28일 진행되었음. - Ro-Ro 운송선은 냉장 및 건식 트럭을 활용하여 부패하기 쉬운 농산물, 채소 및 다양한 이집트 제품을 이탈리아 및 유럽 전역 시장으로 운송하는 데 유리한 방식으로 평가받음. - 친환경 운송로로서 물류비 절감 및 운송시간 단축 효과가 기대되며, 이를 통해 이집트가 유럽-아프리카 간 물류 중심지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 ○ Ro-Ro 운송선 활용 기업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디지털 통합·세관 협력 강화 - Ro-Ro 운송선을 활용하는 기업에 대해 항만 이용료를 88% 인하(2만6,050달러 → 3,250달러)로 설정 - 다미에타 항만청, 이탈리아 항구 시스템에서 화물 유형, 무게 등 트럭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전용 디지털 플랫폼 구축 - 이집트 및 이탈리아 세관 당국은 (UN Trade and Development, UNCTAD)에서 승인한 국제 표준 형식을 활용하여 건강 및 식품 안전 인증서 등의 문서 교환을 효율화 - RFID 기술을 적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도입하여 전자 봉인 확인 및 변조 감지 기능을 구현 * 기사원문: Egypt’s Transport Ministry calls for increased use of Ro-Ro shipping to boost exports to Europe (Daily News Egypt ’25.3.02) 원문 출처 : 코트라
[이집트] 이집트, 석유·가스 생산 증대를 위한 신규 투자 기회 공개
방금
□ 이집트, 석유·가스 생산 증대를 위한 신규 투자 기회 공개 ○ 이집트 석유광물자원부, 지중해·수에즈만·서부 사막 지역 신규 석유·가스 탐사 지역 투자 개방 - 이집트 정부는 석유·가스 부문의 탐사 및 생산 역량 강화를 위해 지중해 7개 미개발 지역과 수에즈만 및 서부 사막 6개 석유·가스 탐사 지역을 투자 대상으로 공개 - 해당 투자 기회는 이집트 업스트림 게이트웨이(Egypt Upstream Gateway, EUG)를 통해 제공되며, 입찰은 2025년 5월 4일까지 진행 ○ EUG 게이트웨이 활용한 디지털화 및 투자 환경 개선 - EUG는 투자자들에게 지질·지구물리학적 데이터와 고급 분석 도구를 제공하며, 투자 기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역할을 함. * 기사원문: Egypt unveils new oil, gas investment opportunities to boost production (Daily News Egypt ’25.3.03) 원문 출처 : 코트라
[미얀마] 중국, 미얀마에 현대의료 및 병원장비 생산투자 협의
방금
ㅇ 미얀마 보건부 장관은 중국 베이징의 홍판투자사(Beijing Hongfan Investment Co.,Ltd) 대표단과 지난 2월 27일 회의을 갖었는데, ㅇ 이 회의에서 미얀마에 적합한 현대의료(병원)장비 및 진단기기, 국내생산(장비 및 실험실 검사기기). 유통 및 투자 가능성에 관한 사항, 양국 간 의료서비스 협력, 중국산 현대의료 및 병원장비의 미얀마 소개방안 등을 논의했음 보도일자 : 2025.02.27. 자료원 : Myanmar Digital News 자료링크 : https://www.mdn.gov.mm/en/moh-union-minister-meets-beijing-hongfeng-investment-delegation 원문 출처 : 코트라
[이스라엘] 유럽 재무장 움직임 속 이스라엘 방산 기업 수혜 전망
방금
-유럽 국가들의 국방비 증액 및 재무장 움직임에 따라 이스라엘 방산 기업들의 수혜 예상됨 -트럼프의 NATO 발언과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내 자체 방위력 강화 증대 필요 -이스라엘 기업, 기술 이전 및 안정적인 공급 능력 등의 강점 활용하여 유럽 시장 점유 확대 기대. 미국 기업은 완제품 공급 -유럽은 이스라엘 방산 기업의 주요 시장 중 하나, 미국의 정책 변화로 장비 공급 중단에 대한 우려 증가 및 이스라엘 기업의 안정적 공급 높이 평가 *원문 기사 링크: https://en.globes.co.il/en/article-israeli-cos-seen-gaining-as-europe-rearms-1001503662#utm_source=RSS 원문 출처 : 코트라
[미얀마] 양곤, 플라스틱 폐기물 활용 디젤생산공장 건설 추진
방금
ㅇ U Thant Zin Tun 사업가는 양곤주, 딴린(Thanlyin)에서 플라스틱 폐기물로 디젤을 생산하는 공장을 건설 중이고, 테스트 단계는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음 ㅇ 이 프로젝트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미얀마의 지속적인 연료부족 문제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임. 프로젝트의 초기 투자액은 약 50억 짜트라고 함. 보도일자 : 2025.02.28. 자료원 : NP News 자료링크 : https://npnewsmm.com/news/67c166c07a9398195f740633 원문 출처 : 코트라
11
12
13
14
15
이달의 일정
Admin
Members
DEV
K스타트업
창업진흥원
기업마당
회사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