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한컵
내 강의실
내 멘토링
포인트
설정
로그아웃
나가기
저장안함
창업정보
아이템 & 프로젝트
팀
피플
창업교육
창업툴
게시판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닫기
로그인
구독 모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회원 구독 기능은 구독 모듈이 설치후 이용 가능합니다.
확인
자세히
재원
작성글
댓글
추천한 글
03_LG하우시스 디자인씽킹워크샵 [동영상]
4년 전
앞서 학습한 IDEO의 디자인씽킹을 기반으로 한 LG하우시스의 디자인씽킹워크샵 영상입니다. 고객을 위한 사고가 아닌, 고객으로부터 사고하라! 디자인씽킹에 대해 이해해보세요.
06_인터뷰를 통한 가설 검증 [동영상]
4년 전
Emmett Shear , Justin.tv 와 Twitch의 창업자, CEO 이번 강의는 인터뷰를 통하여 여러분들의 가설을 검증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공부할 것입니다. 저번 강의가 인터뷰를 진행하는 내용에 대한 유의점들이라면, 이번 강의는 어떻게 인터뷰를 진행하는 지에 대한 강의입니다. 여러분들 중 특히 제품을 만드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은 사업을 도전하시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그러한 분들은 반드시 이번 강의를 통해 방법을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스타트업에서 남들이 가보지 않는 곳을 개척하는 것은 매우 가치 있는 일이지만, 그 길의 끝이 낭떠러지인 길을 가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그 길이 맞는지 틀리는지 알기 위해서는 오직 지속적인 가설검증을 시도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 Ask Yourself "쓸만한 제품이 만들어지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때, 사용자 인터뷰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이 컨텐츠는 현재 유튜브에 게시된 강의 전체중 일부를 편집한 것입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CBYhVcO4WgI&list=PL5q_lef6zVkaTY_cT1k7qFNF2TidHCe-1&index=1
04_스타트업에서 사용자 인터뷰시 유의할 점 [동영상]
4년 전
Emmett Shear , Justin.tv 와 Twitch의 창업자, CEO 이번 단계에서는 여러분은 자신들의 아이디어 혹은 제품에 대한 가설을 목표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가설을 검증하는 단계입니다. 이러한 검증단계는 필수적으로 소비자에 대한 인터뷰가 필요하죠. 부디 고객들이 보이는 어떤 현상으로만 판단하지 말고 반드시 인터뷰를 진행해 보세요. 많은 마케팅책에서 언급하듯이 소비자들은 그들의 원하는 것에 대하여 열광하지만, 그만큼 자신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어떠한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스스로도 잘 모를 때가 많습니다. 이번 강의를 듣고 소비자들의 내면에 있는 근원적인 Needs들을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가설들을 검증해보세요. ※ Ask Yourself "인터뷰를 진행할 때, 소비자들에게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는가?" "고객들이 가지고 있는 실제 Needs와 우리의 가설은 일치하는가?" ※이 컨텐츠는 현재 유튜브에 게시된 강의 전체중 일부를 편집한 것입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CBYhVcO4WgI&list=PL5q_lef6zVkaTY_cT1k7qFNF2TidHCe-1&index=1
잘나가는 스타트업이 망하는 이유 [동영상]
4년 전
Emma Butin, 이스라엘 스타트업 컨설턴트 공동창업자와 사전에 선을 그어야만 합니다. 중간에 회사를 나가게 되면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하여 정당하게 권리를 요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회사 설립 이전에 공동창업자들 사이에 적절한 선을 긋는 것과 공동창업자끼리 합의안을 작성하는 것은 사업을 시작하기에 앞서 처리해야 할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아이디어의 어느 부분이 기술이고, 어느 부분이 수익모델인지 명확하게 규정해야 합니다. 이것이 아이디어의 구체적인 방향을 결정짓기 때문입니다." 동영상의 자세한 스크립트는 출처를 확인하세요! 출처 : IT동아/강일용/2013-10-10 http://it.donga.com/16141/ ※Emma의 여섯 번째 메시지 도원결의(桃園結義): 뜻이 맞는 사람끼리 한 목적을 위해 같이 행동할 것을 약속한다는 뜻. Emma는 공동창업자끼리 한 목적을 위해 함께 일하기로 약속하면서, 공동창업자 합의안을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공동창업자 합의안에는 회사를 세울 때까지 함께 일한다는 내용이 들어있는 것이 좋다. 예의 주시: 어떤 일이든지 집중하여 자세히 살핌을 이르는 말. Emma는 사업 파트너를 선택하는 데 있어 듀 딜리전스(Due diligence)를 강조한다. 듀 딜리전스의 본래 의미는 투자의 모든 측면을 철저히 분석하는 것이지만, 스타트업 업계에서는 파트너를 찾을 때 그 사람의 배경, 평판 등 모든 부분을 종합적으로 사전 조사해 진정 신뢰할 수 있는 사람/기업과 파트너십을 맺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4가지’ 있는 이런 팀 만들면 페이팔처럼 성공이 따라온다
4년 전
페이팔 공동창업자 레브친이 밝힌 창업팀 구성의 성공비결은 무엇일까요? 여러분의 창업팀에도 적용해 보세요. 페이팔 공동 창업자이자 어펌 CEO인 맥스 레브친이 밝힌 비결 함께 도전할 수 있겠다는 믿음 자신이 맡은 영역에 대한 실력 공통된 기반에 바탕 둔 다양성 시장을 바꿀 수 있다는 자신감 ----------------------------------------------------------------------------------------- ‘페이팔 마피아(Paypal Mafia).’ 2007년 미국 경제잡지 포춘은 인터넷 결제서비스 회사인 페이팔에서 맺은 인연으로 끈끈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부(富)를 쌓은 인물들을 이렇게 표현했다. 천재 엔지니어, 사업 경험이 많은 관리자, 과감한 투자가들이 페이팔이란 이름 아래 만나 성공을 맛봤고 지금도 다양한 곳에서 그 성공 경험을 이어가고 있다. 공동창업자 레브친이 밝힌 비결 ① 함께 도전할 수 있겠다는 믿음 ② 자신이 맡은 영역에 대한 실력 ③ 공통된 기반에 바탕 둔 다양성 ④ 시장을 바꿀 수 있다는 자신감 로버트 서튼 스탠퍼드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끊임없이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있는 페이팔 마피아를 두고 “신세대 부자에게 성공의 상징은 부동산이 아닌 능력”이라고 평가했다. 젊은 창업자들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 여전히 잘나가는 기업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성공으로 여긴다는 얘기다. 페이팔 마피아의 대표적인 인물인 피터 틸 팰런티어 창업자는 이런 페이팔 마피아의 숫자를 약 220명 가량으로 추산한다. 그는 페이팔 마피아를 “사회를 바꿀 영향력을 가진 아이디어를 낳기 위해 역할을 분담하는 전문가들이 협력하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페이팔의 초기 기술적 배경을 제시한 천재 엔지니어 맥스 레브친(Max Revchin·41)을 e메일로 만나 페이팔 마피아가 조직될 수 있었던 비결을 들어봤다. 2002년 7월 나스닥에 상장된 페이팔은 5개월 후 이베이에 매각됐다. 2004년 당시 레브친이 보유한 페이팔 지분 2.3%의 가치는 3400만 달러 정도였다. 이베이 인수 후 6개월이 채 안돼 레브친은 페이팔을 떠나 또다시 창업에 나섰다. ① 자베드 카림(유튜브 공동창업, Y벤처스 파트너) ② 제레미 스토플먼 (옐프 공동창업) ③ 앤드루 매 코맥 (발라벤처스 파트너) ④ 프레말 샤 (키바 회장) ⑤ 루크 노섹 (파운더스펀드 공동창업) ⑥ 켄 하워리 (파운더스펀드 공동창업) ⑦ 데이비드 삭스 (제네피츠·야머 CEO) ⑧ 피터 틸 (팰런티어 테크놀로지·클래리엄캐피털 회장) ⑨ 키스 라보이스 (코슬라벤처스 파트너) ⑩ 리드 호프먼 (링크트인 창업자) ⑪ 맥스 레브친 (어펌 CEO) ⑫ 로엘로프 보사 (세콰이어캐피털 파트너) ⑬ 러셀 시몬스 (옐프 공동창업) Q. 2004년 슬라이드닷컴(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을 설립했다. 페이팔의 경험이 슬라이드닷컴을 창업하는 데 어떤 도움을 줬나. A. 20대의 젊은 나이에 성공한 무리에 끼었다는 것은 행운이었다. 페이팔이 성공하며 자신감과 든든한 네트워크를 얻었다. 피터 틸이 펀딩을, 키스 라보이스는 비즈니스 모델을 정립하는 것을 도와줬다. Q. 자신감이 창업에 어떤 도움을 줬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달라. A. 완벽하지 않은 아이디어라도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됐다. 아이디어는 창업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다. 완벽한 아이디어 자체가 성공의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좋은 팀이 있다면 완벽하지 않은 아이디어라도 성공할 수 있다. 2004년 슬라이드닷컴 창업과 동시에 투자도 했다. 레브친의 29번째 생일을 맞아 페이팔 동료 16명이 한자리에 모였을 때다. 이들은 대화를 하던 중 ‘좋은 치과의사를 찾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를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이때 옐프(Yelp)의 콘셉트를 머릿속에 그리고 있었던 러셀 시몬스와 제레미 스토펠만은 그들이 준비하는 평판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설명했다. 레브친은 그 다음날 이들에게 100만 달러를 투자했다. 현재 레브친이 보유한 옐프 지분 10%는 약 3억 달러로 추산된다. Q. 이런 자금 조달의 기회 때문에 페이팔 마피아의 결속력이 생기는 건가. A. 서로 도와야한다는 의무나 정기 모임은 없다. 다만 기업가 정신으로 똘똘 뭉쳐서 여전히 새로운 도전을 계속했고, 서로에게 지속적인 자극을 줬기 때문에 연락을 이어간다.(stay connected). Q. 페이팔 마피아의 힘은 어디서 나오나. A. 신뢰에서 나온다. 서로를 신뢰한다는 뜻은 안전하거나 확실해서 투자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 사람을 위해) 위험을 감수할 용의가 있다는 뜻이다. 신뢰가 성공의 보증수표는 아니다. Q. 신뢰할만한 팀을 어떻게 구성했나. A. 실력은 기본이다. 한 멤버를 보면 전체 팀의 수준을 평가하는 데 무리가 없을 정도로 실력이 있어야 한다. 페이팔 창업 당시 틸은 나에게 내가 아는 가장 똑똑한 사람들의 이름을 말해보라고 했다. 나는 30명 이름을 적었고, 그 중 24명이 함께 일하게 됐다. 이 중 10명이 스탠퍼드 대학 동문이다. 공유할 수 있는 배경이 있어야 신뢰를 구축할 수 있다. Q. 실리콘밸리를 규정짓는 특성 중 하나는 다양성이다. 여러 가지 배경을 공유할 수 있는 팀이 이상적이지 않을까. A. 다양성이라고 해서 무조건 다른 의견을 내는 것이 아니라 공통된 기반(common ground)이 있어야 한다. 믿고 있는 방향을 향해 다 같이 달리기만 해도 부족한데, 그 방향에 대해 자꾸 논의를 하면 힘들다. 방향에 공감하지 못한다면 그 구성원이 떠나는 것이 맞다. 이베이에 매각한 뒤 레브친이 페이팔을 떠났던 이유도 이런 ‘다양성’에 부딪혔기 때문이다. 시스템소프트웨어(OS)로 ‘윈도NT’을 사용해야한다는 그룹과 ‘유닉스’ 시스템을 사용해야한다는 그룹이 심하게 대립했다. 일론 머스크는 윈도파, 레브친은 유닉스파였다. 결국 틸이 사임하고 이후 머스크가 페이팔의 새로운 CEO로 취임했다. 전 페이팔 COO이자 야머의 창업자 데이비드 삭스는 “결국 페이팔은 이베이에 매각됐고, 각 멤버가 흩어졌기에 또 다른 기회들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라며 페이팔 마피아의 원동력이 ‘흩어짐(Diaspora)’에서 나왔다고 본다. 실제로 우크라이나 태생의 유대인 레브친에게 흩어짐은 어떤 의미일까. 지난달 26일 레브친이 백악관에 보낸 편지(Email from Max Levchin: The next great immigrant inventor)한 통이 공개됐다. “나는 1975년 구 소련의 우크라이나 키예프에서 태어났다. 열두 살 되던 해인 1986년 집에서 100㎞도 떨어지지 않은 체르노빌 발전소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정부의 연구기관에서 물리학자로 일했던 어머니는 사고의 심각성을 즉각 알아차렸다. 우리는 즉시 우크라이나를 탈출했다. 겨우 미국으로 건너갔지만 거의 빈털터리였다. 우크라이나에서 탈출할 수 있었던 것도, 프로그래밍의 기회를 얻은 것도 모두 교육의 힘이었다.” 레브친은 ‘내가 시장을 바꿀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준 미국의 교육이 페이팔 마피아를 조직할 수 있었던 배경이라고 설명한다. 『자유의 미래(The Future of Freedom)』의 저자 파리드 자카리아도 이에 동의한다. 그는 미국의 저력이 유연하고 능력을 중시하는 시스템에 있다고 말한다. 미국인 특유의 낙관적인 생각과 자신에 대한 믿음은 기존 질서에 도전하게 하고 실패할 때에도 빨리 일어설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헬조선’으로 대표되는 좌절과 자기비하가 아니라, 스스로 잘한다고 여기는 자신감이 창업이라는 리스크에 주저 없이 도전하게 만든다는 얘기다. 임채연 기자 yamfler@joongang.co.kr ※자세한 내용은 포브스코리아 9월호 참조 [출처: 중앙일보] ‘4가지’ 있는 이런 팀 만들면 페이팔처럼 성공이 따라온다 http://news.joins.com/article/20554825
스타트업이 취해야 할 전술 [동영상]
4년 전
폴 그레이엄이 말하는 스타트업이 취해야 할 전술은 무엇인가에 대한 강연입니다. "시작을 작게 하는 것은 자신을 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처음부터 너무 큰 야심을 가지는 것은 좋은 것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목표가 클수록 실현하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마련이고, 전망하는 미래가 현시점에서 멀수록 틀릴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큰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본인이 확신하고 실제로도 통하는 작은 것에서 출발하여 한발짝 앞으로 전진할 기회가 오면 그 기회를 붙잡아 도약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폴 그레이엄(Paul Graham)-프로그래머이자 벤처기업투자가로, 야후스토어가 된 비아웹을 공동 창업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초기 투자 자금을 운용하는 회사인 와이콤비네이터(Y Combinator)를 공동창업하기도 했으며(2005), 가장 최근에는 해커 뉴스(Hacker News)를 론칭했습니다.] ※ Ask Yourself "나의 아이디어는 작은 것부터 고쳐나갈 수 있는 것인가?" "또한 적절한 시기에 확장이 가능한 아이디어인가?"
아이디어는 그냥 아이디어일 뿐이다.
4년 전
창업가를 성공의 길로 안내해줄 진정한 아이디어는 무엇인지에 대한 권도균 대표의 글입니다. "사업은 고객과 시장의 목소리에서 출발해야 한다. 잘 모를수록 만만해보이는 반면 그 분야에 오래 일해서 정통할수록 아이디어는 멋지지만 실현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다. 실천이 없고 집중되지 못한 아이디어는 그냥 아이디어일 뿐인 것이다. 오랫동안 집중해 충분히 숙성되면 진짜 유레카가 나오게 된다. 그리고 그것이야 말로 그냥 아이디어가 아닌 당신만의 마법의 아이디어가 되어줄 것이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s://www.facebook.com/douglasguenpage/posts/1683074341971921] ※ Ask Yourself "나는 아이디어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고, 그 아이디어에 몰두해 보았는가?"
미쳤다는건 칭찬이다. - Linda Rottenberg [동영상]
4년 전
Linda Rottenberg, Endeavor(기업가 정신을 개척하는 사회적기업)의 공동창업자 겸 CEO, 뉴욕타임즈 베스트 셀러, Crazy Is a Compliment: The Power of Zigging When Everyone Else Zags 의 저자 (한국판 - 미쳤다는건 칭찬이다, 린다 로텐버그 지음, 주선영 옮김)
가치창출에 대한 오해 [동영상]
4년 전
Peter Thiel, Paypal 설립자, Palantir Technologies 설립자, Founders Fund 설립자 이번 강의는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통하여 실제로 얻을 수 있는 가치에 대한 것을 미국 항공산업과 구글의 비교를 통하여 알려주는 강의입니다. 창업자들의 아이디어가 만들어낸 가치와 실제로 얻을 수 있는 가치는 독립변수입니다. 따라서 스스로의 아이디어가 만들어낼 가치와 실제로 얻을 수 있는 가치들을 판단해 보고, 이 아이디어가 사업성이 있는지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 Ask Yourself "나의 아이디어를 통해 실제 얻을 수 있는 가치는 얼마인가?" ※이 컨텐츠는 현재 유튜브에 게시된 강의 전체중 일부를 편집한 것입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CBYhVcO4WgI&list=PL5q_lef6zVkaTY_cT1k7qFNF2TidHCe-1&index=1
왜 지금 이 아이디어인가? [동영상]
4년 전
Sam Altman, Y Combinator 회장 이번 강의는 빌 그로스의 '스타트업 성공의 가장 중요한 요소' 강의와 일맥 상통하는 내용을 담은 강의입니다. 바로 아이디어의 타이밍에 대한 내용입니다. 또한 시장의 성장성에대하여 생각하는 것에 대한 강의입니다. ※ Ask Yourself "나의 아이디어는 작지만 빠르게 성장할 만한 시장에 들어갈 수 있는가?" "나의 아이디어는 왜 반드시 지금 해야 하는가?" 이번 강의를 통해 스스로의 아이디어에 대한 당위성을 고민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 컨텐츠는 현재 유튜브에 게시된 강의 전체중 일부를 편집한 것입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CBYhVcO4WgI&list=PL5q_lef6zVkaTY_cT1k7qFNF2TidHCe-1&index=1
12
13
14
15
16
이달의 일정
Admin
Members
DEV
K스타트업
창업진흥원
기업마당
회사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