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ernal_image

- 쉽게 찾을 수 있고 긴 대기줄 없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편의점, 거리 곳곳에서 마주칠 수 있어 -

- 코로나19 발발 이후 앱·온라인 등을 통한 편의점, 슈퍼마켓 상품 등 배송 및 구매대행 서비스 증가해 -




멕시코 내 다양한 편의점 브랜드 

자료: 각 편의점 홈페이지


쉽게 찾을 수 있고 긴 대기줄 없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편의점은 멕시코 거리 곳곳에서 마주칠 수 있다. 소비자의 인접 편의성을 추구하는 트렌드로 대형 슈퍼마켓 기업도 소규모 마트를 개점하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멕시코도 한국과 비슷하게 앱을 통한 배달서비스가 잘 발달돼 있다. 모바일을 통해 각종 식료품, 공산품 등의 제품과 음식 등을 집까지 편리하게 배송받을 수 있다.


전반 시장동향


멕시코 편의점 매출은 최근 5년간 지속 성장해 2019년에는 84억6200만 달러에 달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4년에서 2019년 사이 주요 편의점 브랜드의 투자 및 확장으로 39%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편, 2019년 가장 빠르게 성장한 식료품 분야 소매 유통채널로 알려졌다.  

 

편의점 시장 규모 및 성장률(2014-2019년)

자료: Euromonitor


유로모니터 전망에 의하면, 코로나19의 경제적 타격으로 2020년 총 판매량은 2017년과 유사한 수준의 규모로 13%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2021년까지 12%의 회복이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2024년에는 총 판매액이 109억54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편의점 시장 규모 및 성장률 전망(2019-2024년)


자료: Euromonitor


주요 기업 동향 


멕시코 편의점 시장 경쟁 범위는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 비교적 넓지 않은 편이며, 주요 3개 브랜드가 편의점 시장의 약 93%를 차지하고있다.


멕시코 주요 편의점 브랜드

브랜드 

OXXO 

7-Eleven 

Circle K 

로고 

 

 

 

기업명 

Fomento Económico Mexicano SAB de CV

Seven & I Holdings Co Ltd 

Alimentation Couche-Tard Inc 

본사국가 

멕시코 

일본 

캐나다 

멕시코 내

점포 수(개) 

18,000 

1,835 

1,155 

자료: Tiendas de conveniencia, OXXO, 7-Eleven, Circle K 


Euromonitor에 따르면 OXXO, 7-Eleven 및 Circle K가 주요 브랜드이며 이 중 OXXO는 10년 이상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브랜드이다. OXXO 매장은 1978년 Fomento Economico Mexicano, S.A.B. de C.V. (Femsa)의 맥주 브랜드(Cervecería Cuauhtémoc)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생겼으며 초반에는 매장에서 맥주, 스낵, 담배만 주로 판매했다. 매장은 몬테레이에서 시작해 멕시코 전역으로 확장됐고 현재 중남미에서 가장 큰 편의점 체인이다. 현재 2019년에도 지속 확장해 1000개 이상이 개점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유소 편의점, 인스턴트 식품 관련 포장 및 혁신 등에 주력하고 있다. 


멕시코 내 편의점 브랜드 점유율 (2015-2019년) 

(단위: %)

브랜드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OXXO 

74.5

75.9

77.1

78.5

79.1

7-Eleven 

11.0 

10.6 

10.1 

9.2 

9.0 

Circle K 

0.9 

0.8 

4.6 

4.8 

4.9 

Others 

13.6 

12.7 

8.2 

7.5 

7.0 

자료: Euromonitor 


이외에도 멕시코 전국 각지에 7% 다양한 지역 브랜드들이 산재해 있다.


멕시코 내 기타 편의점 브랜드 

 Abastecimientos PITS

Super Q

Go Mart 

Kiosko 

 

 

 

 

Extra 

El Asturiano  

Super City 

Tiendas Neto 

 

 

 

 

자료: Tiendas de conveniencia


최근 동향 


다른 나라의 경우도 마찬가지겠지만 멕시코 편의점도 여타 하이퍼마켓이나 슈퍼마켓에 비해 소비자 트렌드 반응 속도가 빠른 편이다. 전국 주유소와 연계해 편의점 진입, 수입 제품 판매, 은행과 제휴해 직불카드 발행 등을 통해 소비자 요구에 충족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위해 트렌드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편의점을 통한 인접성 외에도 새로운 전략으로 소비자가 집에서 편하게 모바일 앱을 통해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슈퍼에서 구매할 수 있는 각종 제품, 식당 음식을 배달 주문할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이런 전략은 앱 사용 소비자들을 더욱 끌어들이고 있다.


멕시코 대표 배달앱

명칭 및 로고

정보 

앱 화면 

Rappi 

Rappi는 각종 식품, 슈퍼마켓, 의류, 약국, 수리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편의점 물건 배송이 가능하며,

세븐일레븐 브랜드만 가능

 

Uber Eats

 

UberEats는 최근 편의점 제품 배송 서비스를 추가했으며, Circle-K 브랜드만 가능 

 

Wabi 

배송지 근처 편의점이나 식료품점 상품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앱. 코로나19 발발 이후 4월부터

 배송 서비스 시작 

 

자료: Rappi, UberEats, Wabi


전망 및 시사점


멕시코 온라인을 통해 마트에서 주문하는 경우 당일 3~4시간 이내 배송을 받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전문 배달앱을 통해서 마트, 편의점 등의 상품을 주문하면 1시간 이내로 집까지 배송받을 수 있다. 한편, 온라인 쇼핑 사용 수준은 멕시코 보건비상 사태 이후 5월에만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로 인한 외부활동 제한 및 현장 방문 기피현상으로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를 활용한 소비패턴이 급증해 배달문화, 구매대항 등의 서비스가 증가했다. 멕시코 온라인마켓 플레이스 구매 규모는 2020년 말까지 6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편의점, 슈퍼마켓, 백화점 등 리테일러 연합인 멕시코 유통마켓 및 백화점 협회(ANTAD) 빈센테 야네즈(Vicente Yáñez)에 따르면,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매장 매출은 2014년 이후 최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재 온라인 판매가 슈퍼마켓, 백화점 등 매장 등 소매부문 판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이 인터뷰한 업계 종사자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거리두기와 재택근무 등으로 직접 매장을 찾는 손님은 줄었으나 앱을 통한 배송주문 증가가 매출에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북미 Euromonitor International에 따르면, "멕시코에서 소비자 확보에 중요한 요소는 편의성, 가격, 쇼핑 경험, 근접성이며 멕시코 소비자의 40%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편의점에서 식료품과 생필품을 구매한다고 답했다. 멕시코 소비자도 가정이나 직장의 인접 편의성과 시간절약이 매우 중요한 요소인 만큼 소규모 편의점, 편의점형 마트 그리고 이러한 마트의 온라인 배송 트렌드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멕시코 내 편의점 확산, 소형 마트 개점, 식료품 및 생필품 앱 배송 판매 증가 등의 트렌드에 맞게 한국 제품의 판매도 이러한 유통 채널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소비 트렌드에 맞춰 멕시코 내 활발히 사용되는 앱, 판매 웹사이트 등 온라인 마켓 플랫폼을 통해 진출을 공략해야할 것이다. 또한 마스크, 진단키트, 손소독제 등도 앱을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한류를 활용해 미용기기, 화장품 등 생활소비재 및 한국산 즉석 조리 식품, 과자류 등 포장 식품 등 다양한 제품군의 판매채널로 온라인마켓플레이스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자료: Euromonitor, Tiendas de Conveniencia, Oxxo, 7-Eleven, Circle-K, Emprende Aprendiendo, Femsa, America-Retail,Store Check, Wisum, Grupo Taurus, Retailers, ANTAD, Nintendo Soup 등 KOTRA 멕시코시키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