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ernal_image

현대적인 빌딩, 호텔 및 대형 쇼핑몰 등의 증가로 상업용 에어컨 수요 증가 추세 -

가격 경쟁력, 현지 사후서비스 등이 시장 진출 성공 좌우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전기 접근성 증가, 경제성장,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 등 3가지 요인이 가정 및 기업에 대한 쾌적 냉방 접근성 및 필요성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케냐에서는 최근 4-5년간 신규 상업건물 및 대형 쇼핑몰, 호텔 등의 증가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케냐 에어컨 수요는 격년 주기로 증가 중

 

케냐에는 에어컨 제조업체가 없기 때문에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에어컨(HS 코드 8415) 수입 규모는2015년도 1956 달러로 2014년대비 20.4% 증가하였다가 2016년에는 1898 달러로 소폭하락 했다. 2017년에는 2528 달러로 33.2% 증가했다가 2018년에 2400 달러를 수입하며 다시 5.1% 하락하였다. 2019년에는 3216 달러 34% 증가하는 등 격년을 주기로 증가세를 보인다.

 

케냐 에어컨 시장규모 추이 (HS 코드8415 기준)

(단위: US$ 천)

external_image

자료: Global Trade Atlas

 

케냐에는 일반 가정용 에어컨(냉온방 제품 포함)보다는 상업용 에어컨의 수요가 높다. 이는 현대적인 빌딩 및 대형 쇼핑몰의 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상업용 에어컨의 수요를 더욱 견인하고 있는 건 케냐 호텔수의 증가에 있다. 특히 비즈니스 및 관광 목적의 여행자의 수요 증가함에 따라 나이로비 및 기타 주요 도시의 국제호텔 체인점이 늘고 있다.

 

아프리카 호텔 체인 개발 파이프라인 2020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케냐에 개발중인 호텔 수는 23개, 3588객실로 이중 65%가 공사 중에 있다.

 

Hotel Chain Development Pipelines in Africa

 

국가

호텔 수

객실 수(건축중인 객실 수)

1

이집트

54

17,163 (7,977)

2

나이지리아

48

7,809 (3,196

3

에티오피아

35

6,356 (3,276

4

모로코

35

5,530 (4,273)

5

카보베르데

18

5,307 (4,388)

6

남아공

26

4,092 (3,202)

7

케냐

23

3,588 (2,328)

자료: Hotel Chain Development Pipelines in Africa 2020

 

미국-중국-한국이 시장을 주도하는 중

 

최근 3년간 케냐의 에어컨((HS Code 8415) 수입액은 2017년에는 2528 달러, 2018년에 2400 달러, 2019년에는 3216 달러였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미국중국, 한국으로 2019 기준 미국은 1333 달러(41.5%), 중국은 867 달러(26.9%), 한국은 140만 달러(4.4%) 기록하였다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2018년 대비 11.6% 하락하였다. 미국에서 수입되는 대다수의 제품은 에어컨 제품의 부품(HS 코드841590)으로 미국 전체 수입액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케냐 에어컨 (HS Code 8415)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단위: US$ , %)

순위

국가

2017

2018

2019

19/'18
증감률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전체

25,281

100

24,003

100

32,164

100

34.0

1

미국

9,013

35.7

11,758

49.0

13,332

41.5

13.4

2

중국

7,250

28.7

4,185

17.4

8,665

26.9

107.1

3

대한민국

1,322

5.2

1,583

6.6

1,400

4.4

-11.6

4

태국

960

3.8

761

3.2

1,196

3.7

57.0

5

인도

1,147

4.5

669

2.8

1,034

3.2

54.7

6

불가리아

-

0

106

0.4

708

2.2

564.5

7

UAE

532

2.1

746

3.1

574

1.8

-23.0

8

영국

1,098

4.3

233

1.0

552

1.7

136.8

9

남아공

380

1.5

484

2.0

540

1.7

11.6

10

홍콩

103

0.4

90

0.4

521

1.6

479.8

자료: Global Trade Atlas

 

제품별 수입규모를 살펴보면 2019년 기준으로 에어컨 부품이 1529만 달러(47.5%)로 가장 많이 수입하였고 창문, 벽, 천장, 바닥 등에 고정되는 에어컨이 1065만 달러(33.1%) 두번째로 많이 수입하고 있다. 기존 설치된 에어컨의 수리 및 유지보수를 위해 에어컨 부품의 수입이 많다.

 

최근 3년간 제품별 수입 동향

(단위: US$ , %)

HS 코드

제품설명

2017

2018

2019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841590

부품

11,115

44.0

13,660

56.9

15,285

47.5

841510

창문, 벽, 천장, 바닥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것

11,144

44.1

7,012

29.2

10,652

33.1

841582

기타-냉각유닛을 결합한 것으로 한정

1,072

4.2

1,129

4.7

3,301

10.3

841581

기타-냉각유닛과 냉ㆍ열순환 반전용 밸브를 결합한 것

741

2.9

1,323

5.5

1,952

6.1

841583

기타-냉각유닛을 결합하지 않은 것

1,006

4.0

595

2.5

788

2.5

841520

자동차용

204

0.8

285

1.2

185

0.6

자료: Global Trade Atlas

  

주요 경쟁사는 중국산 OEM 제품

 

케냐에서 판매되고 있는 에어컨 브랜드에는LG, Samsung, Daikin, Carrier, Von Hotpoint, Ramtons, Gree 등 다양하다. 대부분의 해외 제조사의 경우는 케냐내 독점 에이전트를 확보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이들 에이전트는 설치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업체를 통해서 유통하거나 에이전트가 수입 및 설치, 유지보수까지 하는 곳도 있어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하기도 한다. Von Hotpoint, Ramtons등의 케냐 가전브랜드 제품들은 OEM 방식으로 중국에서 제조하여 공급하고 있다.

유통구조

external_image

자료: 나이로비 무역관

 

수입관세 수출 인증은?

 

(수입관세) Hs코드별 수입 관세는 아래와 같다.

  

Hs 코드

841510

8415.20

8415.81

841582

841583

841590

세율

25%/unit

25%/unit

25%/unit

25%/unit

25%/unit

10%/kg

 

그 밖의 세금에는 부과세 14% (코로나19202171일까지 14% 인하, 이후에는 기존16% 부과), 철도개발세(RDL) 2%, 수입신고세(IDF): 3.5%가 있다.

 

(인증서) 케냐 표준청이 수출전 사전검사(Pre-Export Verification of Conformity, PVoC) 대행 에이전트로 한국 내에 지정한 검사기관을 통해서 수출 적합인증서(Certificate of Conformity) 받아야 한다 한국에는 Intertek, Cotecna, SGS 사전 선적 검사를 대행하고 있다.

- Intertek 웹사이트http://www.intertek.co.kr/

- Cotecna 웹사이트https://www.cotecna.kr/

       - SGS 웹사이트https://www.sgsgroup.kr/

 

현지 수입상이 말하는 케냐 에어컨 시장은?

 

케냐의 에어컨디셔 수입 및 보급상인 HYPER-COOL air-condition사의 조이스 완구(Joyce Wangu)씨와 인터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케냐의 실내 에어컨 시장을 어떻게 보는가?
답: 케냐의 수요는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수요는 주요 도시에 건설되는 새로운 현대식 주택에 의해 주도된다. 이 건물들은 청정에너지의 환경규정을 준수해야 하므로 에어컨을 설치해야 한다. 또한 호텔 산업도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이들 건물에서는 실내 공기 냉각 장치가 필수적이다. 또한 슈퍼마켓과 같은 일용소비재(FMCG) 소매점이 증가함에 따라, 그들은 그들의 상품을 보존하기 위해 에어컨 시설이 필요하다.

 

ㅇ 케냐에서는 어떤 에어컨이 인기가 있는가?
답: 최고의 에어컨은 LG, 삼성 등 주요 기성 브랜드지만 이들 브랜드는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가격이 매우 비싸다. 따라서 슈퍼마켓이나 호텔과 같은 대부분의 구매자들은 가격이 저렴한 중국산 OEM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다. 하지만 케냐는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편이어서 한번 신뢰한 제품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구매하는 편이므로 굳이 가격과 타협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ㅇ 대부분의 에어컨 수입업체들은 어느 나라에서 제품을 주로 수입하는가?

답: 중소 규모의 무역상들은 UAE, 인도, 중국에서 수입하며, 상업용 제품 취급상들은 미국과 한국에서 한다. 이는 장기적으로 A/S나 부품공급, 바이어 신뢰도들이 제품 구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ㅇ 한국 기업들의 케냐 에어컨 시장 공략방법은?
답: 대부분의 수입업자들이 한국제품의 품질을 알고 있지만 가격에 민감하고 최소 주문 기준이 높아 수입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최소주문수량에 유동성을 발휘해야 한다. 아니면 복수의 에이전트를 두어 주문을 통합하여 최소 주문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이런 현지 판촉을 위해서는 역시 현지에 인지도가 있는 수입상이나 에이전트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이 경우 A/S 능력이 있는 지 여부도 중요하다. 한국 제품이 비싸더라도 내구성이 떨어지는 중국 제품에 실망한 일부 수입업자들은 여전히 한국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시사점

 

케냐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현대적인 건물 및 대형 쇼핑몰의 증가로 상업용 에어컨의 수요가 증가세를 보여왔다. 특히 케냐의 호텔 산업이 호황을 이루면서 에어컨 수요를 견인하였다. 그러나 코로나19발병으로 케냐의 관광산업이 마비되면서 호텔개발이 지연되거나 미뤄지고 있어 2020년 에어컨 수입도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에 다시 수요 반등세가 될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시장진출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케냐의 에어컨 수입을 보면 에어컨 부품에 대한 수입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만큼 제대로된 제품 선호도가 증가 기존 설치한 에어컨의 유지보수에 대한 부품의 수요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에어컨도 저가의 중국 및 중국OEM제품이 많이 들어오는 추세로 가격경쟁력도 필수적이며, 유지보수가 꼭 필요한 제품이기때문에 A/S 제공과 안정적으로 부품 조달이 잘 되어야 할 것이다.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Hotel Chain Development Pipelines in Africa 2020, 현지 유통업체 인터뷰, Jumia 온라인 쇼핑몰 제조사 홈페이지, 현지 일간지 종합, KOTRA 나이로비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