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ernal_image

- '디지털 방글라데시' 전략하에 강력한 ICT 산업 발전 계획 추진 -

- ICT 관련 FDI 환영, 전폭적인 인센티브 제공, 삼성 R&D 센터 진출 -




ICT 산업 관련 조직


방글라데시의 전반적인 정보통신기술(ICT) 정책수립 및 집행은 '국가 ICT TASK FORCE'에서 추진되는데 총리가 수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과학정보통신부가 주무 부처이며, BCC(Bangladesh Computer Council)가 국가 전역에 걸쳐 각종 ICT 사업을 육성하고 있다.


그리고 민간에는 전국 ICT 관련 기업들이 소속된 BASIS(Bangladesh Association of Software and Information Services)가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회원사는 1,000개사가 넘는다.


ICT 관련 주요 정부 인프라


Union Digital Center(UDCs)라는 디지털센터가 전국에 6,000개 정도 있는데, 이것은 정부의 각종 서비스나 정보를 원스톱 서비스로 국민에게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현재까지 3억6천만 건 이상의 서비스를 국민들에게 제공했다고 홍보하고 있다.


UDC 전경 및 제공 서비스 현황

 ​

 자료: UDC


National Portal은 전 국민이 쉽게 인터넷을 통해 정부의 각종 서비스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하는 인터넷 포털 서비스다. 중앙 정부부처에서 최 하위 단위 까지 4만6000개 이상의 모든 정부, 공공기관이 연결돼 있으며 500만 건 이상의 콘텐츠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이 포털은 종이 없는 사무실 역할에 아주 중요한 기여를 하기도 한다. 방글라데시는 아직 여러가지 산업이나 분야에서 최빈국일 정도로 개발이 안된 상황이지만 정부의 이러한 ICT 관련 서비스나 인식은 매우 높다는 것을 이러한 ICT 공공 인프라에서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National Portal 초기 화면

자료: National Portal


EkSheba Citizen은 일반 국민이 개인 신분을 이용해 정부의 각종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정부의 원스톱 서비스 통합 플랫폼이다. 정부의 2,800개 이상의 대민 서비스를 분석하고 분류해 이 플랫폼을 통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Eksheba Sarkar는 또 다른 정부의 통합 플랫폼으로 정부 공무원들이 이용하는 시스템인데 공무원들은 동 플랫폼을 이용해 각 부처 간 연결되고 국민들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  


ICT 산업 현황 및 투자 유치 노력


현재 방글라데시 ICT 산업의 시장 규모는 2008년 2,600만 달러에서 현재 10억 달러 정도로 성장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Digital Bangladesh 정책하에 매우 공격적인 정책을 추진해 현재 방글라데시 ICT 산업은 다른 어떤 산업보다 선진화되고 있으며 주요 실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전국의 80% 이상이 광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체 인구 1억6천만 명을 능가하는 핸드폰 가입자 수를 자랑한다. 그리고 1억 명에 육박하는 인터넷 가입자와 최근에는 인공위성까지 쏘아 올려 명실상부하게 첨단 ICT 국가로의 길을 차근 차근 밟아가고 있다.


방글라데시 ICT 산업 현황



 자료: BTRC, UNOOSA


이러한 하드웨어적인 자원 이외에도 ICT 산업 인력이 풍부한데 어느 정도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한 중급, 하급 정도의 ICT 인력은 임금도 인도보다 40% 낮고 영어도 잘하고 특히 전체 인구1억6000만 명의 64%가 18~35세의 젊은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큰 장점으로 간주된다. 삼성도 현재 소프트웨어 개발 등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다카 시내에 삼성 R&D 센터를 운영하고 있는데 개발자 500명 정도를 채용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ICT 분야 외국인 직접투자를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이 분야에 대한 인센티브는 다른 분야에 비해 특히 파격적이다.


 ICT 분야 투자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

자료: 정보통신부


그리고 주목할 만한 공공 ICT 인프라로 전국에 16개의 Hi Tech Park와 7개의 Technology Park, 12 IT Training & Incubation Center, 그리고 Tier 4 Data Center를 구축해 ICT 산업을 지원하고 있다. 2018년 인공위성 발사에 이어 이제 2023년까지 5G시대를 본격적으로 열 준비를 하고 있다.


정부의 주요 ICT 산업 육성 및 개발 구상


우선 ICT 관련 수출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 현재 3억 달러 조금 넘는 수출 규모를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해 전 세계에 나가 있는 방글라데시 대사관에 전문가를 채용해 ICT DESK를 구축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소프트웨어 수출, ITES(Information Technology Enabled Services) 즉 콜센터, 웹 콘텐츠 개발, 네트워크 컨설턴시, Back office management 등 다양한 ICT 관련 수출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2030년까지 해외 10개 국가에 ICE DESK를 설치할 구상이다.


그리고 특히 공공보건분야에 최고 수준의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고  IT 기반의 Personalized Medicine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는데, 이 계획의 40%는 2030년까지, 그리고 2041년까지 6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원격 진료 등도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며 교통 불편, 낙후지역 등을 중심으로 현재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기도 하다.


아직까지 농업 인구가 대부분인 방글라데시 여건상 농업과 식품 안전도 중요한 분야로 인식돼 농업 생산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고 통합 농업기술 제공 서비스, 지리 및 기상 정보 제공 서비스 등 2030년까지 관련 시스템을 완성할 계획이다.


기타 키오스크(Kiosk) 기반의 디지탈 서비스센터,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인터넷 이용료 인하 등도 추진하고 있다. 전국 도로 및 교량, 페리 등에 대한 자동 수수료 징수 시스템을 통해 차량 정차 없이 과금되도록 시스템을 갖춰 나갈 계획이다. 이 과금 시스템은 2030년까지 80%, 그리고 2041년까지 100%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2023년까지 5G 시스템을 본격 도입해 2030년에는 전국 일반 가입자에게까지 본격적인 5G시스템을 공급할 계획이다.


DataSoft사 사장 Mr. Mahboob Zaman은 "이웃 나라 인도가 소프트웨어 개발, 콜센터 등 ICT 수출 규모에서 세계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데 반해 인종, 문화, 사회시스템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유사성을 가진 방글라데시는 주목 받지 못하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ICT 산업 육성 정책과 방글라데시인들의 잠재적인 ICT 개발 능력이 접목되면 향후 폭발적인 ICT 산업 성장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시사점


방글라데시는 그동안 정치적인 불안정 등으로 특정 산업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나 육성이 불가능했다. 그러나 최근 10년 이상 정치적인 안정 속에 ICT 산업에 대한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 그 성과도 속속 나오고 있다.


물론 ICT 관련 부처의 집중적인 지원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타 정부 부처의 비효율적인 요인으로 인해 전체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지만 현 실권자 중 한명인 총리의 아들이 ICT 보좌관이라는 것만 보더라도 앞으로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실제로 삼성 R&D센터도 다카에 설립돼 운영되고 있으며 500명 정도의 직원이 고용돼 있는데 연구원 개개인의 자질은 우수하게 평가받을 정도로 각종 인프라 측면에서는 장점이 분명히 있다. 


향후, 소프트웨어 개발, 콜센터, 웹서비스 개발 등도 유망한 분야이며, 특히 정부에서 서두르고 있는 5G 통신망 시대를 겨냥한 관련 통신기기 및 광케이블 산업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방글라데시 전자 정부 마스터 플랜을 한국의 KOICA에서 수립해 주었으며 전국 1만 개 수준의 Digital Lab(정보통신 교육센터) 구축사업을 우리나라가 수출입은행 차관 사업 형태로 지원하고 있는 바, 향후 추가적인 각종 정부 발주 ICT사업에도 관심이 필요하다.



자료: 정보통신부, BTRC, Daily Star, KOTRA 다카 무역관 보유자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