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상상담회, 웨비나, 제품 시연회 등 주요 지원 사업을 온라인에서 구현-
- 기회의 시장인 인도시장 진출 방안으로 다양한 온라인 사업 활용 필요 -
인도 시장의 기회 요인
(1) 세계 5대 경제규모와 증가하는 중산층
세계 5대 경제대국인 인도의 경제규모가 2030년에는 세계 4위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경제성장에 따른 소비규모도 증가 추세이다. IBEF와 인도 상공회의소 보고서를 종합해보면 인도 소비지출 및 소매시장 규모는 2019년 9,500억 달러 규모였으나, 2026년까지 약 2배에 가까운 1조 7,500억 달러 규모로 성장을 전망하며, 주력 소비층인 중산층의 확장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글로벌 경영 컨설팅업체 Bain&Company는 인도 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산층이 2030년 기준 약 1.6억 명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 점차 확산되는 한류
2000년 대 초반 북동부 지역 중심으로 시작된 한류가 인도 내에서 조금씩 확대되고 있다. 팬클럽 동호회 및 관련 각종 SNS사이트 통계에 기반한 KOTRA의 추정에 따르면 인도 내 열혈 한류팬은 최소 약 27만 명 이상으로 파악되며, 한류를 이끄는 주요 배우 혹은 가수의 팬덤이나 SNS를 활용하는 한류 인플루언서들까지 고려한다면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류확산과 더불어 한류팬을 중심으로 한 한국제품의 관심도 상승하고 있다.
(3) 인도-중국 국경충돌 이후 반중정서 확대로 중국제품 수입 대체국 모색
2020년 6월 인-중 국경지역인 인도 북부 라다크 지역에서 발생한 무력충돌로 인해 반중정서가 격화되면서, 인도정부는 중국제품을 중심으로 하는 타이어, TV 등의 수입 제한 및 냉매를 포함한 에어컨 등을 수입 금지하면서 중국산 수입을 강하게 제재하고 있다. 또한 지난 5월 모디총리가 발표한 자주인도(Self-Reliant India) 정책을 기반으로 장기적인 자국산 대체 방안을 추진하면서, 중국산을 수입하고 있던 바이어들은 대체 수입국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인도는 지난 11월 최종 서명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중국의 자국 경제영토를 개방하지 않으려는 뜻을 분명히 하였다.
(4) 언택트 소비 트렌드 확대
코로나19의 여파로 인도 소비자들은 온라인 중심의 생활방식에 익숙해지고 있다. 조사업체 닐슨(Nielsen)에 따르면 본격적인 봉쇄 조치가 시행된 4월 이후 모바일 사용시간이 일일 평균 5시간 이상으로 늘었고 인터넷 사용량도 4배 급증하였다. 온라인 식료품점, 온라인 약국 등이 더욱 주목받으면서 현지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Amazon, Shopclues, Nykaa 에 입점된 한국제품들의 노출이 늘어나게 되면서 온라인 유통망을 통한 한국기업들의 진출이 예상된다.
KOTRA 수출지원사업을 통해 본 소비재 수입 동향
코로나19 이전에 오프라인으로 추진했던 무역사절단, 바이어 방한 수출상담회 등의 사업들이 코로나19로 인해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KOTRA 뉴델리 무역관은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월부터 관련 사업의 온라인화를 준비, 화상상담회, 대형유통망 입점사업, SNS 및 현지 인플루언서 활용 디지털마케팅 등 온라인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우수 소비재기업의 수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이 중에서 한-인도 경제협력 대전 (Korea Fair in India)은 2019년의 오프라인 형태를 탈피, 온라인으로 진행함으로써 우리 기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했다.
2020 한-인도 경제협력 대전 (Korea Fair in India) 개요 및 주요 행사
행사명 |
2020 한-인도 경제협력 대전 (Korea Fair in India) |
개최일시 |
10.5(월) - 10.30(금) (4주) |
추진 방법 |
화상상담회, 부대행사 등 모든 프로그램을 온라인에서 구현 * 홈페이지 : www.onlinekorea.org/kfi(서남아지역본부에서 구축한 온라인플랫폼) 유튜브, 각종 SNS 등을 적극 활용하여 소비자 및 바이어 참여도 제고 |
개최규모 |
한국기업 50개사, 바이어 100개사, 일반소비자 500명 |
주요 품목 |
소비재 특화제품 * 화장품 등 뷰티제품, 각종 생활용품, 아이디어 상품, 식품류 등 |
협업기관 |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주인도대한민국대사관, 주인도한국문화원, 한국관광공사 뉴델리지사 |
(1) 온라인 수출상담회
‘2020 한-인도 경제협력 대전 (Korea Fair in India)’을 통해 소비재 특화 국내기업 50개사와 서남아시아 관할 무역관 유망 바이어 100개사가 참가해 4주간 온라인 수출상담회를 진행했다.
국내기업들은 무역관의 바이어 매칭을 통해 온라인 상담으로 바이에게 자사 제품을 소개하고 꾸준한 비대면 수출 협의와 무역관의 지원을 통해 샘플 발주 등 후속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
|
화상상담 장면 |
서남아 온라인 플랫폼(www.onlinekorea.org) |
(2) 인도 진출 정보 웨비나
기존에 오프라인으로 진행했던 것과 달리, 한국의 참가기업들과 인도 현지의 전문가를 연결, 온라인으로 인도진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사전간담회 및 웨비나를 진행했다.
연번 |
웨비나 주제 |
발 표 자 |
1 |
인도 시장동향 및 주요 이슈 |
KOTRA 서남아지역본부 김문영 본부장 |
2 |
인도 소비재시장 진출전략 및 현지 진출 성공사례 |
SK International 손영강 법인장 |
3 |
인도 대형유통망의 한국산 제품 구매 계획 |
Shopclues Mr. Anuraag Gambhir (Manager) |
4 |
인도 바이어의 한국산 제품 관심도 및 사업전략 |
Speaking Mindz Mr. Manu Seth (CEO) |
5 |
인도 진출 시 활용 가능한 한-인도 CEPA 안내 |
KOTRA 뉴델리무역관 CEPA 활용지원센터 윤소연 관세사 |
6 |
인도 지적재산권 침해 사례 및 IP-DESK센터 사업 안내 |
KOTRA 뉴델리무역관 IP-DESK 임수정 대리 |
7 |
참가기업 유의사항 |
KOTRA 뉴델리무역관 장명철 차장 |
(3) Shopclues 데이
인도 4대 온라인 유통망 중 하나인 샵클루즈 구매담당자 및 벤더사와 특별 B2B 화상상담회를 개최하여 기업들과 온라인 상담을 진행했다. 동 상담에서는 샵클루즈에서 직접 수입을 희망하는 제품에 대한 수출상담 및 현지 시장현황 안내, 인증 관련 정보 등을 공유하였다.
(4) K 유튜브 채널 내 참가기업 제품 홍보
오프라인으로 샘플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KOTRA 뉴델리 무역관은 제품 동영상을 제작해 유튜브 채널에 게재했다. 국내기업은 온라인을 통해 자세하게 제품설명을 할 수 있고, 바이어들은 관심 있는 제품의 영상을 모바일로 확인해 제품에 이해도를 높힐 수 있다.
* 유트브 링크 : www.youtube.com/channel/UCoeKSQMy0xRGyTmj2BznRBQ/featured
유튜브 채널 메인페이지 |
유튜브 채널 목록 |
(5) 서프라이즈 박스를 활용한 B2C 온라인 품평회
사전에 한국관광공사와 한국문화원과 협업하여, 인도 내 K팝 팬클럽, 수강생, 일반인 등 다양한 연령의 소비자들에게 참가기업의 샘플제품을 랜덤으로 발송, 서프라이즈 박스를 수취하게 하고, 사용후기 및 소감을 동영상으로 촬영, 이를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했다. 바이어는 최종 소비자의 실제 반응을 참고해 제품 수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
|
K-서포터즈 송부 영상 1 |
K-서포터즈 송부 영상 2 |
(6) 672만 인도 유투버이자 인플루언서 Pooja Luthra의 제품 리뷰
Pooja Luthra 리뷰영상 1 |
Pooja Luthra 리뷰영상 2 |
시사점
기회의 시장인 인도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KOTRA 뉴델리무역관은 계속해서 다양한 온라인 지원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기존 가격 중심 시장이었던 인도에서 중국산의 수입제재와 함께 최근 고품질의 중고가 제품의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면서, 한국산 소비재의 가능성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인도 바이어와 소비자가 한국의 우수 기술력과 품질을 인식하고 있는 만큼 인도 시장 진출 시 저렴한 중국산 대비 품질의 장점을 중심으로 협상하는 것도 방법이다.
행사에 참가한 바이어 A씨 역시 중국산 대체품을 모색하고 있었으며, “한국 제품의 경우 중국산 대비 고가이나 품질을 고려할 경우 가격경쟁력이 있다”며 “최근 바이어들 사이에서 저렴한 제품보다는 고기능, 고품질의 제품을 수입하려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A씨는 “단 한국기업의 경우 품질은 보장되나 인도 소비자들에게 홍보하기 위한 마케팅 등의 조치들이 아직 활발하지 않은 것 같다”는 의견도 밝혔다.
따라서, 한국기업들은 자사 제품 수출 상담 시, 인도 바이어 입장에서 동 제품을 수입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점, 수입 후 현지 마케팅 방법, 제품공급 외 지원 사항 제공 여부 등을 고려하여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KOTRA의 온라인 사업 뿐 아니라 다양한 온라인 마케팅 방식을 활용, 언택트 생활방식에 익숙한 인도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필요가 있다.
(참고) KOTRA 신규 사업 확인 링크 : https://www.kotra.or.kr/biz/schedule/allSchedule.do
자료 : 인도브랜드자산재단(IBEF), Bain&Company, 각종 현지 언론 보도 (Economic Times, Nielsen 등 ) 및 KOTRA 뉴델리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