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2021-06-22 00:00:00
0 5

external_image

- ‘집콕 문화’로 소형 가전제품 시장 성장 가능성 ↑ -  

- 프리미엄, 스마트, 건강 관련 제품이 시장 성장 주도 -



 

中, 대형 가전제품 시장 예상 밖 하락세, 소형 가전제품 인기몰이 중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집에는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등이 집집마다 보급되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대형 가전제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보다 소형 가전제품 시장 성장 여지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중국에서 소형 가전제품의 인기는 왕홍(KOL, Key Opinion Leader)들의 온라인 추천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국 내 최대 지식공유 플랫폼인 즈후(知乎)에서는 ‘7000위안의 월급으로 어떻게 하면 일선 도시에서 퀄리티 있는 삶을 향유할 수 있는가?’, ‘어떤 물건을 사야 삶의 질과 행복감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가?’ 등 관련 이슈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많았다. 이런 주제에 대한 베스트 답변을 살펴보면 보통 자신들이 추천하는 생활용품 리스트들이 많이 보이는데, 이 중에는 전동칫솔, 전기솥, 제빵기, 착즙기, 커피 머신, 요거트 메이커 등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소형 가전제품들이 항상 포함되어 있다.


중국 가전제품 판매 채널은 다년간의 발전을 거쳐 현재 다원화된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WTO 이후 중국 소매업 시장이 대외적으로 한층 더 개방되면서 글로벌 유통 메이저들이 중국에 진출하기 시작하였고, 그에 따른 유통 채널의 위상도 점점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2020년 중국 소형 가전제품의 판매액은 566억 위안(약 9조 9200억 원)으로 전세계적인 코로나 바이러스 영향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11.3% 감소했다.

 

2015~2020년 중국 소형 가전제품 판매액 및 증감률

(단위: 억 위안, %)

 external_image

자료: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급성장하는 인터넷 시대에 전자상거래 내지 온라인 소매는 소형 가전제품 생산 기업에게 판매 채널을 넘어 업계 성장에 장기적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중국 가전제품 판매 채널은 공급 판매 협력사, 도매상, 전문 매장, 대형 체인점, 리저널 체인점, 전자상거래, 모바일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채널 변혁을 거쳐 왔는데, 특히 모바일 전자상거래의 부흥은 소비자들의 소비 습관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쳐 새로운 소비 성장 포인트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됐다.

 

2015~2020년 소형 가전제품 판매액 현황

(단위: 억 위안)

 external_image

자료: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2020년 상반기 중국 소형 가전제품 중 전기밥솥의 판매량이 제일 많았으며, 온라인 판매량과 오프라인 판매량은 각각 2517만 대, 705만 대를 기록하였다.

 

2020년 상반기 중국 소형 가전제품 판매량 현황

(단위: 십만 대)

external_image

자료: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소형 가전제품의 기술 발전은 현재 지속적으로 소비자들의 소비 욕구를 이끌어내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소형 가전제품의 교체 주기 역시 갈수록 빨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에서도 블렌더의 가격이 소형 가전제품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2020년 중국 블렌더의 온라인 판매가는 평균 488위안(약 8만 5천원)이었으며, 오프라인 판매가는 평균 1063위안(약 18만 6천원)이었다.

 

2020년 소형 가전제품 평균 판매가

(단위: 위안)

external_image

자료: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주요 기업

 

80后(빠링허우), 90后(지우링허우) 및 중산 계층의 소비자들이 주방 가전의 주 소비층으로 성장하였으며, 점차 웰빙과 삶의 질 향상을 더욱 추구하게 되었다. 이들은 트렌디하고 개성화 및 스마트화된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양생(养生)’과 관련된 제품에 관심이 많아 해당 제품들은 시장의 핫이슈 아이템으로 거듭났다. 현재 소형 가전제품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향유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동시에 개성화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을 제품 연구개발의 주안점으로 뒀다. 


브랜드

회사명

개요

external_image

메이디

(Midea)

메이디그룹주식유한회사

(美的集有限公司)

- 1968년 설립

- 가전제품 제조업 위주의 대형 종합성 기업 그룹

- 산하에 Midea, Little Swan, Welling, Wahin, Annto, GMCC 10여 개의 브랜드 보유

external_image

수보얼

(Supor)

저장수보얼주식유한회사

(浙江苏泊尔股份有限公司)

- 1998년 설립

- 취사도구 및 주방, 욕실 관련 가전제품의 연구개발, 제조, 판매 담당

- 취사도구, 전기포트, 약탕기, 인덕션, 전기밥솥, 전기 전골냄비, 스마트 압력 밥솥, 착즙기, 쿠커, 가스레인지, 환풍기, 살균기 등 제품 보유

external_image

지우양

(Joyoung)

지우양주식유한회사

(九阳股份有限公司)

- 1994년 설립

- 건강식 음식 제조 기기 연구개발 및 생산, 판매 담당

- 두유 제조기, 국수기, 착즙기, 전기 압력밥솥, 인덕션, 믹서기, 쿠커, 전기포트, 전기밥솥, 환풍기, 정수기 등 다양한 계열의 제품 보유

로얄스타

(Royalstar)

허페이롱스다소형가전유한공사

(合肥荣事达小家电有限公司)

- 2004년 설립

- 주로 가전제품(스마트 가구)을 취급

- 주방 가전 제품, 생활 기기, 퍼스널 케어 기기, 자동차 용품, 스마트 로봇 등의 제품 보유

external_image

샤오슝 전기

(Bear)

광둥샤오슝전기주식유한회사

(广东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 2006년 설립

- 소형 가전제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담당

- 요거트 메이커, 전기 도시락, 가습기, 계란찜기, 콩나물 재배기 등이 핵심 제품

external_image

돈림

(Donlim)

광둥신바오전기주식유한회사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 1995년 설립

- 자체브랜드 ‘DONGLIM’ 보유

- 전기포트, 믹서기, 커피 머신, 토스터, 제빵기 등 소형 가전제품 및 관련 부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담당

자료: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바이두 백과(百度百科), 각 업체 홈페이지

 

메이디(Midea)는 일찍이 80년대부터 중국 소형 가전제품 시장에 진입하기 시작했으며, 수보얼(Supor), 지우양(Joyoung) 등의 브랜드도 비교적 빠르게 시장에 진입하여 선제적으로 유통 채널을 구축함과 동시에 규모 면에서 우위를 점하였기에, 전통적인 소형 가전제품 시장에서 소비자들은 상기 브랜드들에 대해 비교적 높은 브랜드 충성도를 보여줬으며, 이로 인해 중국 소형 가전제품 시장은 과점적 구도를 이루고 있다. 현재 메이디, 수보얼, 지우양 등 세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 합은 무려 91%에 달한다. 세부적인 관점에서, 지우양은 두유 제조기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 약 70%를 차지하여 우세를 보이고 있으며, 메이디는 인덕션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 약 47%를 차지하여 다른 브랜드에 비해 우세를 점하고 있다.

 

전통 가전제품 시장 경쟁 구도 비교

(단위: %)

external_image

 자료: 중국가정용전자기기협회(中国家用电器协会), 화징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업계 주요 법률 및 정책 

 

시간

배포기관

문건명

상관 내용

2019 4

중국 가정용

전자기기 협회

<중국 가정용 전자기기 협회 단체 표준 관리 방법>

가전 산업의 과학적 진보와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신기술∙신산업∙신업태∙신모델의 발전을 도모함. 또한, 가전 산업의 경제 효과, 사회 효과, 생태 효율을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함.

20162

국무원

<중국인민공화국

인증 승인 조례>

중국인민공화국 경내에서 인증 및 승인 활동에 종사하려면 반드시 본 조례를 준수해야 함.

20161

국가질검총국

(국가품질검사소)

<결함 소비품 리콜 관리 방법>

소비품에 결함이 있는 경우, 생산자는 반드시 본 방법에 따라 리콜을 실시해야 함. 소비품 목록에는 가정용 전자기기를 포함함.

20143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소비자권익보호법(2013 개정판)>

소비자의 합법적인 권익을 보호하고 사회 경제 질서를 수호하며 사회주의 시장 경제의 건강한 발전을 촉진시키고, 인터넷 등 판매 경로에 대한 규범화를 진행.

자료: 관옌보고망(观研报告网)


시간

배포기관

문건명

상관 내용

2016 11

국무원

<제13차 5개년 국가

전략성 신흥 산업 발전 계획>

AI 기술의 발전은 차세대 정보기술(IT) 산업 발전의 주요 임무 중 하나로 확립됨. 스마트 가구, 스마트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가 활용될 수 있도록 추진 필요.

2016 3

국무원

<중화인민공화국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13 5개년 계획요강>

새로운 스마트 제조 모델을 육성∙보급하고 생산 방식의 유연화∙스마트화∙세밀화 추구. 스마트 제조 산업 연맹의 설립을 장려함. ‘녹색제조공정을 실시하고 제품의 전 라이프 사이클에 그린매니지먼트를 도입하여 궁극적으로 녹색제조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생산형 제조업에서 생산 서비스형 제조업으로의 전환을 꾀함. 또한, 제조업체의 서비스 체인 확대 및 서비스 가치 증가를 촉진

2013 8

국무원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산업의 가속화 발전에 대한 의견>

에너지 절약 제품의 시장 소비를 확대시키고 에너지 절약 제품에 대한 혜민 정책을 지속적으로 실시 및 연구하며, 보조금 방식을 채택하여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조명, 전자기기 등 제품의 시장 보급을 촉진.

2011 12

중국 가정용 전자기기 협회

<중국 가전용 전자기기 공업 제12 5개년 발전 계획의 건의>

기술혁신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는 주요 가전제품의 에너지 효율을 평균 15% 높이는 등 가전 산업 업그레이드의 키워드가 될 전망.

2009 7

국가질검총국

(국가품질검사소)

<강제성 제품 인증 규정(CCC 인증)>

강제성 제품 인증 리스트에 포함된 제품들은 반드시 국가가 지정한 인증 기관의 인증을 거쳐 합격해야 하며, 관련 인증서를 취득하고 인증 마크를 부착한 후에야 비로소 출고, 수입, 판매 및 영업소에서의 사용이 가능함.

자료: 관옌보고망(观研报告网), 뤠이관망(锐观网) 

 

발전추세 및 시사점

 

현지 전자제품 유통업체에 대한 인터뷰에 따르면, 대다수 핵심 소형 가전제품 부문에서 중국 제품의 비중이 그동안은 많지 않았다. 이는 그만큼 중국 제품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형 가전제품 시장 소비자의 저령화와 제품의 편의화에 따라 2021에는 중국 소형 가전제품의 시장 침투율이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소형 가전제품은 앞으로 더욱 인간 친화적, 스마트화 될 것이라 한다. 기술의 발전과 인공지능의 보편화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점점 더 많은 제품들이 스마트화되어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해주고 있다. 향후 소형 가전제품의 연구개발 방향성 역시 단순한 실용주의관점에서 벗어나 점차 개별화, 맞춤형 발전으로 진화하여 소비자의 개성을 살리는 것에 중점을 둘 것이다. 더불어, 인터넷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소형 가전제품에도 인터넷 기능의 모듈을 더욱 더 많이 탑재하여 와이파이 네트워크 제어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젊은 층들 소비 여력이 높아지고 주력 소비층이 바뀌면서 소형 가전제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했으며, 새로운 소형 가전제품에 대한 수요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으로 기존의 소형 가전제품에 대한 교체 수요가 크게 발생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구매 의사 역시 높은 가격, 높은 품질의 제품으로 점차 기울어지고 있다. 또한, 전기 쿠커, 전동 휘핑기, 전기 도시락, 토스터, 요거트 메이커, 가습기 등 혁신적인 가전제품들이 계속해서 출시되고 있다.

 

코로나 여파로 인해 소비자들은 점점 ‘집콕 문화’에 대해 반강제적으로 적응해가고 있는 상황 속에, 소형 가전제품의 다양한 기능들은 소비자들의 삶의 질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향후 제품을 얼마나 다원화 시킬 수 있는지 역시 기업들의 새로운 성장 키워드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중화망(中华网),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바이두백과(百度百科), 중국 가정용 전자기기 협회(中国家用电器协会), 화징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관옌보고망(观研报告网), 뤠이관망(锐观网),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각 업체 홈페이지 및 KOTRA 샤먼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