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로 통행금지와 레스토랑 영업금지 등의 정부 조치로 포장식품시장 큰 폭으로 성장 -
- 건강, 웰빙과 관련된 프리미엄 포장식품 수요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자료: Pixabay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포장식품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였다. 쌀, 육가공식품, 유아식과 같은 전통적인 분야는 물론 즉석식품, 시리얼, 수프 등 다양한 제품들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였다.
쿠웨이트 포장식품 시장 현황
2020년 2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쿠웨이트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서 포장식품에 대한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2020년 3월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록다운(Lockdown) 조치가 처음 발효됐고 많은 사람이 공급에 대한 불안과 외식이 불가능해진 현실적인 이유로 식료품, 특히 유통기한이 긴 포장식품에 대한 사재기를 시작했다. 이에 따른 반사익으로 포장식품 시장은 2020년 상반기 동안 꾸준한 성장을 달성했다.
쿠웨이트 소비시장은 프리미엄 브랜드와 고가 제품을 선호하는 자국민 중심의 고소득 그룹과 중저가 제품을 선호하는 저소득 외국인 그룹으로 양분된다. 코로나19 이후 큰 타격을 받은 저소득 외국인 그룹보다는 고소득 중산층 그룹의 구매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졌고 포장식품 시장 또한 이러한 소비자들을 타깃으로 한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다.
주요 분야별 포장식품
2015~2020년 분야별 포장식품 시장 규모
자료: Euromonitor
Euromonitor에서 작성한 쿠웨이트 포장식품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쿠웨이트 포장식품 시장의 전체 규모는 9억9000만 KD(약 33억 달러)이며, 특히 2020년에는 전년대비 5.9% 증가한 높은 성장률을 달성하였다. 품목별로는 특히 쌀 및 면류(10.5%), 소스류(8.7%), 육류 및 해산물 가공식품(8.7%) 등의 제품들의 성장이 두드러졌고, 5년 평균 성장률로는 즉석식품(6.2%), 유아식(7.9%), 과자류(8.3%) 등의 제품들이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1) 즉석식품(Ready Meal)
아직 시장규모는 크지 않으나 매년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다. 냉동피자, 파스타를 비롯해 중동 전통 음식인 마크부스(Machboos 혹은 Bahraini) 등의 제품이 인기가 높으며 태국식 카레나 간단한 냉장 초밥, 샐러드와 같이 다양한 신규 제품군들도 점차 인기를 얻고 있다.
냉동이나 냉장보관이 필요한 제품이나 유통기한이 엄격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제품이 많아 주로 대형 슈퍼마켓 등에서 판매가 되고 있으며, 가격대는 같은 품목의 배달 식품에 비해 다소 저렴한 수준이다.
즉석식품군의 핵심 소비층은 보다 편리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식사를 찾는 젊은 소비자이다. 특히 근래에 웰빙이나 다이어트에 대해 관심이 높기 때문에 샐러드와 같이 건강을 고려한 즉석식품들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2021년에도 즉석식품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간편한 식사를 선호하고 다이어트에 관심을 가지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니즈에 부합하는 즉석식품이 빠르게 시장 규모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브랜드 및 제품 종류 또한 더욱 다양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수프(Soup)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이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고 록다운 등의 조치로 집에서 식사할 일이 많아지면서 수프의 수요 또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수프는 쿠웨이트에서 에피타이저나 간식 등으로 널리 이용되는 식품이며 가격이 합리적인 점, 쉽고 간편하게 요리가 가능한 점, 그리고 온가족이 함께 먹을 수 있는 대용량 조리에 유리하다는 점 등의 장점이 있어 특히 인기가 높다.
레토르트 수프와 분말 스프 모두 간식이나 에피타이저로 널리 이용되며, 대단히 특별한 맛의 수프 보다는 일반적이고 어느정도 맛이 예측 가능한 치킨 수프, 토마토 수프, 채식 수프 등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다.
수프는 쿠웨이트인의 식당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라마단 기간에 수요가 크다. 2021년에도 양호한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쿠웨이트 경제 회복 등과 맞물려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3) 씨리얼(Breakfast Cereal)
코로나19로 인하여 가정에서 재택근무를 하거나 온라인 수업을 듣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이전보다 집에서 아침식사를 하게 되는 빈도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아침식사용 씨리얼에 대한 수요 역시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21년 역시 꾸준한 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것으로 전망된다.
씨리얼 제품의 주요 소비층은 어린이 및 청소년들이었으나 근래 건강을 강조한 Nestlé Fitness 플레이크와 같은 아침 식사용 씨리얼 제품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됨에 따라 건강에 관심이 높은 전 연령대의 소비자들과 체중 조절에 관심이 많은 다이어터들로 소비층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4) 구운 빵류(Baked Goods)
일반적인 빵류뿐만 아니라 케익, 햄버거 및 핫도그 번, 샌드위치 등을 모두 포함하는 품목군이다. 구운 빵류 제품들은 주로 차나 커피 등과 함께 오후 간식으로 많이 이용되며, 플랫브레드(Flat Bread), 페스츄리(Pastry), 파타야(Fatayer), 자타르(Za’atar) 등의 제품이 많이 많이 이용된다. 코로나19로 인해 가정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간식에 대한 수요도 높아졌고 이에 따라 구운 빵류 제품에 대한 판매 또한 증가하였다.
가정에서 손님을 대접하거나 사무실에서 비즈니스 회의를 할 때 그리고 디와니아(Diwaniya) 등의 사교모임에서도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구운 빵류는 Sultan Center, LuLu Hypermarket, City Centre 등 대형 마트의 베이커리 코너나 일반 슈퍼마켓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주요 제조사로는 Kuwait Flower Mills & Bakeries Co(SAK), Almarai Co Ltd, Americana Group 등이 있다.
포장식품 시장 전망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포장식품 시장은 당분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유가 상승과 팬데믹 이후 경제회복에 힘입어 쿠웨이트 경제상황이 개선될 경우 소비심리 또한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따라 향후에는 프리미엄 제품군에 대한 수요가 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건강과 다이어트, 그리고 웰빙에 대한 쿠웨이트 사람들의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트렌드가 포장식품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건강한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을 타깃으로 한 건강 및 웰빙 관련 제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또한 운동과 관련된 포장식품 시장 역시 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사점
쿠웨이트 포장식품 시장은 코로나19 반사익으로 인해 2020년 이후 큰 폭의 성장을 달성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에도 직장 여성들의 비중이 높아지고, 1~2인 가구가 늘어나는 사회적 추세로 인해 간편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포장식품에 대한 수요와 관심은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춘 건강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HMR 제품이나 아직 시장이 형성되지는 않았지만 밀키트 등의 제품 역시 장기적으로 유망할 것으로 전망된다.
쿠웨이트 포장식품 시장에 진출한 한국 제품들도 있으나 아직까지는 품목군이 제한적이고 제품이 다양하지 못하다. 불닭볶음면으로 대표되는 한국산 누들 제품들이 가장 인기가 높으며, 초코파이 등의 과자류 역시 비교적 쉽게 찾아볼 수 있다. BTS 등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고 평판도 좋아 한국산 포장식품 수입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누들류, 아이스크림류, 스낵 및 과자류 등의 품목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된다.
쿠웨이트 수출을 위해서는 쿠웨이트 현지 기업과 에이전트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현지 대형유통망(Sultan Center, LuLu Hypermarket, City Centre 등)과 직접 공급계약을 체결하거나 현지 소매점에 제품을 납품할 수 있는 현지 식품기업과 에이전트 계약을 체결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며, 육류 또는 가금류 제품의 수출을 위해서는 할랄인증이 필수적이다.
자료: Euromonitor, Pixabay, Trademap,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