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확산 이후 말레이시아 유아용품 시장 성장세 둔화 -
- 위생에 민감한 유아용 세면도구, 식기 등의 판매는 호조세 -
말레이시아 출생률
말레이시아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연간 출생 수)
자료 : macrotrends
매년 낮아지는 출산율이 말레이시아의 중요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2020년 말레이시아 조출생률(인구 1,000명에 대한 연간 출생 수)은 전년 대비 1.04%가 감소한 16.4명을 기록했는데, 이 수치는 1971년에 기록한 33.3명에 비해 약 50% 감소한 결과다. 말레이시아의 출산율은 1950년 이후 매년 하락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50년 조출생률은 11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4월 국가인구가족개발위원회(LPPKN)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말레이시아 내 베이비붐이 예상된다고 발표했고, 유아용품 업계는 신규 수요 창출의 가능성에 대해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최근 말레이시아 통계청(DOSM)은 작년 이후 말레이시아의 신생아 수는 예상보다 많지 않으며, 출산율 하락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30년 전에 60세 이상 인구가 총 인구의 15%를 넘을 것이라고 밝혔다.
말레이시아 유아용품 시장 트렌드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0년 말레이시아 유아용품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3.1% 성장했다. 작년 코로나19의 대유행의 영향으로 말레이시아 소매업계는 20년만에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으며, 유아용품 업계 또한 큰 피해를 받아 저조한 연간 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아용품 품목의 판매 부진 속에서 유아용 세면도구와 같이 위생 관련 품목의 판매량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말레이시아 유아용품 시장 연간 성장률
자료 : 유로모니터
HKTDC Research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소비자는 유아용품을 구매할 때 말레이시아 로컬 브랜드보다 해외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말레이시아 유아용품 산업 관계자 L씨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유아용품 소비자는 가격에 민감한 동시에 제품 브랜드에 대해 매우 의식하는 편이다. 따라서 해외 제조사가 현지 소비자의 호응을 얻기 위해서는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견고하게 구축할 필요가 있다. Avent, Dr. Brown’s, Pigeon, MAM, NUK 등의 유아용품 브랜드는 오래전부터 말레이시아 시장에 투자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 결과 대중적인 브랜드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최근에는 친환경 성분으로 제조된 유아용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코로나19 발발 이후 실업률 증가와 가처분 소득 감소 등의 요인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 소비자는 자녀의 건강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도시에 거주하는 가정을 중심으로 이런 소비 트렌드가 형성되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유해성분이 없는 친환경 유아용품이 소비자의 관심을 받고 있다.
품목별 교역 동향
① 유아용 젖병
유아용 젖병(HS Code: 392490) 수출입 동향
(단위: 만달러)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수입액 |
1473 |
1770 |
3063 |
4920 |
4414 |
수출액 |
3428 |
4540 |
4235 |
4821 |
4582 |
자료 : Global Trade Atlas
말레이시아의 유아용 젖병(HS Code: 392490) 수입액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으나, 2020년 소폭 감소했다. 2020년 동 품목의 최대 수입국은 중국으로, 말레이시아 수입 시장에서 점유율 82.7%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태국과 인도네시아가 시장점유율 3.4%와 2.6%를 기록하며 각각 2위와 3위에 위치했다. 한편, 말레이시아의 유아용 젖병 최대 수출국은 일본과 싱가포르다.
② 유아용 식판
유아용 식판(HS Code: 392410) 수출입 동향
(단위: 만달러)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수입액 |
2493 |
2441 |
2755 |
3751 |
3368 |
수출액 |
6160 |
5777 |
6287 |
5194 |
5275 |
자료 : Global Trade Atlas
말레이시아 유아용 식판(HS Code: 392410)의 수입액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2020년에 전년 대비 10.2% 감소했다. 2020년 유아용 식판의 최대 수입국은 중국으로, 시장점유율 61.2%를 기록했다. 2020년 유아용 식판 수입 시장에서 점유율 2위를 기록한 국가는 인도네시아로 점유율 11.2%를 차지했고, 3위를 기록한 태국은 점유율 10.1%를 차지했다. 한편, 2020년 말레이시아의 총 수출액은 약 5274만 달러였으며, 최대 수출국은 싱가포르와 미국이다.
③ 수유용 젖꼭지
수유용 젖꼭지(HS Code: 401490) 수출입 동향
(단위: 만달러)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수입액 |
495 |
527 |
532 |
542 |
446 |
수출액 |
1927 |
1924 |
1963 |
1932 |
1992 |
자료 : Global Trade Atlas
2020년 말레이시아의 수유용 젖꼭지(HS Code: 401490) 수입액은 전년 대비 17.7%가 감소한 445만 달러를 기록했다. 말레이시아 수유용 젖꼭지 수입 시장의 상위 3개국은 인도네시아, 중국, 벨기에 순으로 각 국가의 2020년 수입시장 점유율은 각각 33.4%, 23.4%, 15.4%를 차지했다. 2020년 말레이시아의 총 수출액은 약 1992만달러를 기록했으며, 최대 수출국은 미국이다.
④ 유아용 식기
유아용 식기(HS Code: 821599) 수출입 동향
(단위: 만달러)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수입액 |
366 |
346 |
458 |
428 |
653 |
수출액 |
48 |
28 |
46 |
35 |
280 |
자료 : Global Trade Atlas
2020년 말레이시아의 유아용 식기(HS Code: 821599)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52.5%가 증가한 약 653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0년 유아용 식기 시장의 수입 시장의 최대 수입국은 중국으로, 시장점유율 95.4%를 기록했다. 2020년 말레이시아의 최대 수출국은 미국으로, 총 수출액의 87.8%를 미국에 수출했다.
對한국 수입동향
對한국 유아용품 수입 동향
(단위: 만달러)
품목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유아용 젖병 (HS Code: 392490) |
29.6 |
51.2 |
40.4 |
26.9 |
66.6 |
유아용 식판 (HS Code: 392410) |
159.2 |
177.4 |
66.2 |
68.7 |
65.5 |
수유용 젖꼭지 (HS Code: 401490) |
1.5 |
4.8 |
4.5 |
0.5 |
2.7 |
유아용 식기 (HS Code: 821599) |
2.3 |
0.6 |
1.8 |
0.5 |
- |
자료 : Global Trade Atlas
2020년 말레이시아가 대한민국에서 수입한 유아용품 중에서 수입액이 제일 많은 품목은 유아용 젖병(HS Code: 392490)이다. 2020년 한국산 유아용 젖병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147.4% 증가한 약 67만 달러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2020년 말레이시아 유아용 젖병 수입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6위를 차지했다.
2020년 한국산 유아용 식판(HS Code: 392410)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4.6% 감소한 약 66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산 유아용 식판의 수입액은 2018년에 대폭 하락한 이후 예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2020년 말레이시아 유아용 식판 수입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5위를 차지했다.
2020년 한국산 수유용 젖꼭지(HS Code: 401490)의 수입액은 2만7천 달러를 기록했으며, 대한민국은 시장점유율 11위를 차지했다. 한편, 작년에 말레이시아로 수입 신고된 유아용 식기(HS Code: 821599)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 동향
말레이시아 유아용품 시장 내 주요 기업 및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유아용품 주요 기업 및 제품
기업명 |
브랜드명 |
설립 국가 |
제품사진 |
Anakku Baby Products Sdn Bhd |
Anakku |
말레이시아 |
|
Comotomo, Inc. |
Comotomo |
미국 |
|
Philips Group |
Philips Avent |
영국 |
|
Handi-Craft Company |
Dr. Brown’s |
미국 |
|
Pigeon Group |
Pigeon |
일본 |
|
MAPA |
NUK |
독일 |
|
MAM |
MAM |
오스트리아 |
|
Puku |
Puku |
대만 |
|
Dorel Inc. Industries |
Bebe Confort |
프랑스 |
|
자료 : 기업 홈페이지
품목별 수입관세 및 판매세
유아용품 품목별 수입관세 및 판매세
(단위 : %)
품목 |
수입 관세 |
한아세안 FTA 관세 |
판매세(SST) |
유아용 젖병 (HS Code: 392490) |
0 |
0 |
0 |
유아용 식판 (HS Code: 392410) |
20 |
0 |
10 |
수유용 젖꼭지 (HS Code: 401490) |
0-10 |
0 |
0 |
유아용 식기 (HS Code: 821599) |
25 |
0 |
10 |
자료 : Customs Duty Order 2017, Sales Tax Order 2018
말레이시아 유아용품의 수입관세는 품목별로 상이하다. Customs Duty Order 2017에 의거하여 유아용 젖병(HS Code: 392490) 0%, 유아용 식판(HS Code: 392410) 20%, 수유용 젖꼭지(HS Code: 401490) 10%, 유아용 식기(HS Code: 821599) 25%의 수입관세가 부과된다. 그러나 한·아세안 FTA를 적용하면 모든 품목의 관세는 0%가 된다.
Sales Tax Order 2018에 의거, 유아용 젖병(HS Code: 392490)과 수유용 젖꼭지(HS Code: 401490)의 판매세(SST)는 0%가 부과되며, 유아용 식판(HS Code: 392410)과 유아용 식기(HS Code: 821599)의 판매세(SST)는 10%가 부과된다.
시사점
작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말레이시아 유아용품 시장은 저조한 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인의 위생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유아용 세면도구나 식기 등 위생에 민감한 품목의 판매량과 교역량은 증가했다. 또한 자녀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유해성분이 없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말레이시아 시장 내 브랜드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구축한다면 여러 악재 속에서도 말레이시아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기회는 존재할 것이다.
자료 : Global Trade Atlas, 말레이시아 관세청, 말레이시아 통계청, Individual Brands & eCommerce, HKTDC Research, Marketing Magazine Malaysia, macrotrends, knoema, New Straits Times Malaysia 등 현지 언론 및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