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ernal_image

- 중국 웨딩업계, 2022년 약 4조위안 규모로 성장할 것 -

- 온라인, 개성화, 원스톱 서비스가 트렌드  -

 

 

 

중국은 14억이 넘는 인구를 가진 국가로, 그 중 약 2.4억명의 싱글남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결혼까지 가는 커플은 매년 줄어들고 있으나 웨딩업계의 시장 규모는 반비례하여 지속해서 성장하며 2020년 기준 중국의 결혼식을 위한 평균 소비액은 17.4만 위안에 다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로 미루어볼 때 중국의 웨딩업계 시장 규모는 2022년 약 4조 위안을 초과하여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결혼 준비간 세부적인 부분에서도 소비자의 수요가 개성화, 다양화되며 이러한 수요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가 추세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 웨딩업계 현황

 

중국은 약 14.4억 명 거주하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나라이며, 그 중 약 2.4억명이 아직 싱글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신혼부부 수는 매년 줄어들고 있는데, 2020년 중국 신혼부부 수는 813.10만 커플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2.2% 하락하였으며, 2014년부터 7년간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4-2020년 중국 결혼 인구 변화(만 건)

external_image

자료 : 첸잔경제연구소

 

그러나 이러한 결혼 커플 수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중국 웨딩업계의 시장규모는 반비례하여 성장하고 있다. 이는 중국 전체 국민 소득의 증가에 따른 소비 수준의 상승에 따른 건당 결혼 비용의 증가가 결혼 건수에 따른 하락보다 더 높기 때문이다. 중국 웨딩업계 시장 규모는 2020년 전년 동기 대비 소폭 하락한 약 1조 4천억 위안으로, 이는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2017-2020년 중국 웨딩업계 시장 규모(억 위안)

external_image

자료 : 첸잔경제연구소

 

코로나 19 로 인한 영향이 많이 줄어든 중국이기에 향후 중국 웨딩업계는 2017-2019년과 같이 성장 추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이며, 2022년에는 약 4조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웨딩업계 트렌드 - 온라인, 개성화, 원스톱 서비스

 

코로나19와 더불어 인터넷+, 디지털 경제의 발전의 영향은 웨딩업계 역시 피해갈 수 없었다. 특히 결혼 준비 기간 식장, 드레스, 혼수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Iimedia research 사의 조사에 따르면, 결혼 준비자의 약 94%가 온라인을 통해 결혼 전 과정에 필요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위챗을 통한 정보 획득이 약 57%로 가장 높았고, 결혼 준비 관련 사이트/APP, 온라인 스트리밍 사이트가 그 뒤를 이었다.


결혼 준비 시 온·오프라인 이용 비중 및 이용 경로

 external_image

자료 : iimedia research

 

이러한 웨딩업계 수요의 온라인 전환은 비단 사용자쪽의 이득이 아닌 공급자 측면에서의 이득이기도 하다. 온라인을 통한 홍보/광고는 물론 마케팅 전략,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 새로운 채널이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드레스, 혼수 등 직접 눈으로 보거나 착용해봐야하는 필수품들이 있기에 오프라인의 비중이 크게 줄어들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혼을 준비하는 커플들이 많은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면서, 중국의 결혼식 문화 역시 변화하고 있다. 그 중 특히 결혼식의 개성화가 두드러지는데, 개인의 취향에 맞춰 결혼 준비 간 비중을 다르게 두고 소비하고 있는 것이다.

 

결혼 준비 간 구매한 핵심 품목

external_image

자료 : Tencent

 

Tencent에서 발표한 <2021 웨딩업계 통찰 백서>에 따르면, 결혼 준비 간 필요한 핵심 품목인 예복, 식장, 혼수 외 품목 선택의 폭이 굉장히 넓으며 비중 역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각자의 취향과 개성에 맞게 결혼 준비 기간 다양한 선택을 통해 본인들의 개성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세부적인 측면에서도 다른 수요를 보이고 있는데, Strawberry Pie 사의 커플 예물, 예단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20~25세 사이의 커플은 결혼 반지, 목걸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6-30세 사이의 커플은 귀걸이, 팔찌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식 방식에서도 37.5%의 소비자들은 대형 결혼식을, 41.9%는 친인척 및 가까운 지인만을 부르는 스몰웨딩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다양한 방면에서 각기 다른 선택으로 각자의 개성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재 결혼적령기에 다다른 95년 이후 출생자들은 소득 수준의 상승, 결혼 관념의 변화 등 여러가지 사유로 인해 결혼식에 대한 개념 역시 기성 세대와 많이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세련되고 개성 넘치는 한편 편리함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세대로서, 웨딩에도 이러한 성향이 많이 반영되고 있는 것이다. 웨딩업계 역시 이러한 세대를 겨냥하여 최근 '웨딩 원스톱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원스톱 서비스는 말 그대로 프로포즈부터 실제 결혼식까지 크고 작은 사항들을 모두 한 곳에서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결혼적령기의 젊은 남녀들은 보통 직장 등 일상생활의 압박과 스트레스 때문에 식장 예약, 메이크업, 주례, 웨딩카, 촬영 등 선택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잡한 부분들을 한꺼번에 빠르게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이들의 개성적인 요구들 역시 수용이 가능하기에 원스톱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대도시에서 더욱 두드러지는데, 상하이, 톈진 등은 이미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련 기업의 비중이 30% 가까이 다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도 베이징, 상하이, 항저우, 톈진 4개 지역에서 열린 가을 웨딩 박람회의 데이터에 따르면, 95년생 이후 출생자들의 결혼 준비에서 4성급 이상 호텔을 선택하는 비중이 계속 낮아지고 이색적인 장소의 비중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웨딩업계 경쟁 동향

연번

브랜드명

로고

상품 특징

1

HUAHAIGE

(花海阁)

(huahaige.com)

external_image

-2008년 설립

-웨딩 기획, 제작, 실행 등 웨딩 서비스 전문 브랜드

2

ROYAL

(萝亚婚礼)

external_image

-2004년 설립

-웨딩 서비스 전문 

-신혼부부를 위한 고품질 원스톱 서비스 제공

3

BRIDE ELYSEE

(花嫁丽舍)

(huajialishe.com)

external_image

-2010년 설립

-혁신적인 결혼식 컨셉을 가진 웨딩 서비스 전문 브랜드

4

VILLAD’S ROMAN

(罗曼园)

(r-bride.net)

external_image

-2013년 설립

-영국식 예식 서비스 및 원스톱 서비스 전문 브랜드

5

MOCHA

(摩卡婚礼)

external_image

-2007년 설립

-결혼식 전반에 대한 1:1 원스톱 서비스 제공

자료 : Chinapp

 

전망 및 시사점

 

중국 소비자들의 소비 추세가 다양한 원인으로 변화하는 만큼, 웨딩업계에 대한 수요 역시 함께 변화하고 있다. 특히 관련 품목에 대한 개성화, 세분화 수요가 많으면서도 빠르고 편리한 방식을 선호하고 있어 이러한 소비자의 수요를 잘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로 온라인을 통해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경향이 많은 현 결혼적령기의 젊은 남녀들의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온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 수요 변화를 민감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짜야할 것으로 보인다. 결혼산업관찰의 CEO 정롱샹은 "단순히 규모도 크면서 모든걸 다 갖춘 원스톱 서비스는 허황된 꿈일 뿐이며, 소비자 중심의 전면적인 서비스가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아직까지 웨딩에 대해 중시하는 중국 소비자들은 결혼 준비에 들어가는 비용을 아까워하지 않으며, 본인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와 제품만 있다면 지갑을 여는 것에 인색하지 않은 만큼 다양한 부분에서 시장 진출의 기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 Tencent, iimedia research, strawberry pie, 첸잔경제연구소, Chinapp, KOTRA난징무역관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