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단 정부는 저성장 기조를 극복하고 미래 성장 기대치를 높이기 위해 2022년 6월에 왕실 주도로 자국 정치·경제·행정 현대화, 고용 창출, 중산층 확대 등 내용을 담은 「경제 현대화 비전(Economic Modernization Vision)」을 발표했다. 이번 정책 추진을 통해 요르단은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실현하고 에너지, 제조업 등 산업 인프라를 확충하고자 한다. 요르단 정부는 정책 발표의 후속 조치로 2022년 12월에 경제 현대화 비전의 향후 3개년 실행 프로그램을 입안하여 내각의 승인을 얻었다. 그 주요 내용과 우리 기업에 갖는 함의를 알아본다.
요르단 경제 당면과제
요르단은 2000년대에는 연평균 GDP 성장률이 6.5%에 달했으나 2011년 이후 130만 명의 시리아 난민을 수용하면서 공공 재정 및 보건, 교육, 교통, 물과 같은 기본 정부 서비스에 심각한 균열을 겪었다. 이로 인해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경제 성장률은 2.1% 수준으로 떨어졌다.
또한 요르단 정부는 만성적인 재정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재정적자는 2012년에 GDP의 8.1% 수준까지 도달한 후, 조세 제도 개혁 등 다양한 금융 개혁을 통해 2018년에 GDP의 2.4%까지 감소했지만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에는 GDP의 7%까지 상승했다. 국제기구 및 우방국들의 보조금, 현금 등 지원을 통해 2022년 상반기에는 재정적자 수준을 5% 수준으로 낮췄다.
<요르단 재정적자 규모>
(단위: US$ 백만, GDP 대비 %)
연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잠정) |
적자규모 |
1,028 |
1,495 |
3,082 |
2,444 |
1,197 |
GDP 대비 비중 |
2.4 |
3.3 |
7.0 |
5.3 |
5.2 |
[자료: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웹사이트]
요르단 정부부채는 2011년부터 2022년까지 GDP의 평균 74.7%를 기록했으며, 2020년 정부부채는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을 위한 긴급 지출로 인해 GDP의 84.5%에 달했다. 2021년 정부부채는 코로나19 대응 사업 지속, 경기 위축에 따른 조세 수입 하락, 요르단 전력청(NEPCO)의 대출 할부금 상환 등으로 인해 88.6%까지 증가했다.
<요르단 정부부채 추이(사회보장투자기금 제외)>
(단위: US$ 백만, GDP 대비 %)
연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잠정) |
부채규모 |
32,320 |
33,840 |
37,428 |
40,625 |
41,186 |
GDP 대비 비중 |
75.1 |
75.0 |
84.5 |
88.6 |
84.2 |
[자료: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웹사이트]
요르단의 무역수지는 지난 20년간 GDP 대비 연평균 33% 수준의 적자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인 2020년에 수출 감소보다 수입 감소가 더 커지면서 무역적자 규모는 GDP 대비 21% 수준으로 낮아졌으나, 2022년 상반기 무역수지 적자는 전년 동기대비 34.6% 증가한 71.2억 달러에 달했다.
통화 부문은 타 부문 대비 견실한 성장을 보였다. 2010년 말 130억 달러였던 외환보유고는 2020년 말에 159억 달러, 2021년 말에는 180억 달러까지 증가했고, 은행예금은 2010년 말 318억 달러에서 연평균 5.6% 증가하여 2020년 말에는 520억 달러까지 증가했다. 단, 2022년에 요르단 중앙은행이 총 7차례에 걸쳐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2022년 초 2.5%였던 금리는 2022년 말 6.5%까지 상승했다. 따라서 2023년 세계 경제의 향방에 따라 소규모 대외개방경제인 요르단 경제는 금리 상승으로 인한 경제 위축에 직면할 수 있다.
이 같은 상황을 종합하여 요르단 정부는 2023~2025년 3개년 간 주요 경제지표에 대한 달성 목표를 아래 표와 같이 설정했다. 단, 동 목표는 ①국내 투자 및 외국인 투자의 유지 또는 증가, ②3년간 자본지출 수준 유지, ③금융 개혁 지속 실시, ④3년간 수출 성장, ⑤글로벌 공급망 및 세계 에너지/식품 가격의 안정 등의 요인을 전제하고 있다.
<요르단 정부의 주요 경제지표별 목표>
지표명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실질 GDP 성장률 (%) |
-1.6 |
2.2 |
2.7 |
2.7 |
2.7 |
3.0 |
물가상승률(CPI) (%) |
0.3 |
1.4 |
4.4 |
3.8 |
2.9 |
2.5 |
1인당 GDP (US$ 백만) |
4,316 |
4,468 |
4,747 |
5,055 |
5,338 |
5,624 |
재정적자 (GDP 대비 %) |
-7.0 |
-5.3 |
-5.1 |
-5.2 |
-4.7 |
-4.4 |
정부부채(사회보장기금 제외, GDP대비 %) |
84.6 |
88.6 |
87.9 |
86.6 |
84.8 |
82.8 |
수출액 (FOB기준, US$ 백만) |
7,966 |
9,384 |
12,011 |
12,623 |
13,192 |
13,719 |
수입액 (FOB기준, US$ 백만) |
15,373 |
19,222 |
24,065 |
24,353 |
24,792 |
25,312 |
무역수지 (FOB기준, US$ 백만) |
-7,407 |
-9,838 |
-12,054 |
-11,730 |
-11,600 |
-11,593 |
경상수지(대외원조 제외, GDP 대비 %) |
-9.0 |
-11.9 |
-10.8 |
-8.8 |
-7.3 |
-5.6 |
순 외국인 직접 투자 (US$ 백만) |
736 |
608 |
849 |
1,106 |
1,271 |
1,542 |
주: 2022년은 예측치, 2023~2025년은 목표치
[자료: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웹사이트]
「경제 현대화 비전」 3개년 실행계획 개요
2022년 6월, 요르단 왕실 주도로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선포식이 열린 바 있다. 동 정책의 목표는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통한 요르단인의 삶의 질과 수준의 향상이다. 이를 위해 요르단 정부는 제조업, 농업·식품, 광업, 화학, 의약품, 의류·편직물, 운송·물류, 에너지, 물, 엔지니어링 등 국가 주요 산업에 걸쳐 향후 10년 간의 정책 목표를 정한 바 있다. (세부내용은 KOTRA NEWS 링크 "경제현대화 비전 발표" 참조)
)
2022년 12월, 요르단 내각은 경제 현대화 비전의 2023~2025년(3개년) 실행계획(executive program)을 승인했다. 이번 계획 수립을 위해 4개의 장관급 위원회 및 22개의 T/F가 구성된 바 있으며, 민간 부문이 자문 역할로 참가했다. 또한 2023~2025년 3개년 간 연도별, 분야별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담겼으며, 재원 조달 방안, 성과 측정을 위한 지표 및 성과 측정을 위한 전자 시스템 구현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경제 현대화 비전에 포함된 전체 380개 세부 프로젝트 중에서 183개가 이번 3개년 프로젝트에 포함되었으며, 각 프로젝트 이행을 위해 총 46건의 기존 법률 검토, 수정 및 신규 법률 입안 등이 추진된다.
요르단 정부는 정책 실행을 위해 2023년 9.5억 달러를 포함, 3년간 약 32.5억 달러의 예산을 집행할 계획이다. 총 필요예산 중 약 24.5%인 7.98억 달러는 대외원조로 충당하며, 8개 중점 추진 분야 중 ‘지속 가능한 자원’ 분야에 가장 많은 9.7억 달러를 배정했다.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추진 분야별 3개년 실행계획 개요>
(단위: US$ 백만)
추진 분야 |
주요 목표 |
프로젝트 수 |
예산 |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투자유치 |
매력적인 투자환경 마련 |
13 |
79.10 |
81.92 |
80.51 |
241.53 |
고부가 산업 |
차별화된 제품 개발, 지역 산업 중심지로 발돋움 |
63 |
128.53 |
149.72 |
166.67 |
444.92 |
미래 서비스 |
해외로의 서비스 수출 확대 |
30 |
73.45 |
124.29 |
129.94 |
327.68 |
관광 |
관광, 영화제작의 주요 목적지로서 입지 확립 |
6 |
112.99 |
117.23 |
128.53 |
358.76 |
리더십과 창의성 |
미래 사회의 수요에 맞는 인재 육성 |
43 |
194.92 |
223.16 |
268.36 |
686.44 |
지속 가능한 자원 |
요르단 천연자원의 활용 및 지속가능성 개선 |
12 |
285.31 |
324.86 |
361.58 |
971.75 |
친환경 요르단 |
녹색 경제로의 전환 |
7 |
46.61 |
48.02 |
29.66 |
124.29 |
삶의 질 |
요르단 국민의 삶의 질 향상 |
9 |
25.42 |
32.49 |
35.31 |
93.22 |
총 계 |
183 |
946.33 |
1101.69 |
1200.56 |
3248.59 |
[자료: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웹사이트]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3개년 실행계획 예산조달 계획>
(단위: US$ 백만)
구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일반예산 |
정부부처예산 |
501.41 |
564.97 |
635.59 |
1,701.98 |
정부 유관기관, 자기자금 조달 |
211.86 |
254.24 |
282.49 |
748.59 |
|
대외원조 |
233.05 |
282.49 |
282.49 |
798.02 |
|
총 계 |
946.33 |
1,101.69 |
1,200.56 |
3,248.59 |
[자료: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웹사이트]
주요 분야별 세부 실행계획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내 “고부가 산업” 및 “미래 서비스” 분야의 주요 추진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대부분의 분야에서 국가 차원의 DB 구축 및 전산화가 추진되며, 농업단지 조성, 국제 전시장 설치 등의 대형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고부가 산업”, “미래 서비스” 분야 주요 프로젝트>
구분 |
프로젝트 |
완료시기 |
관계기관 |
일반 |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지원기금 조성 |
2023 |
산업통상부 |
다양한 제조업 분야의 DB 구축 및 전략 개발 |
2025 |
||
재활용 분야 국내기업 설립 지원 및 규제환경 조성 |
2025 |
||
시스템 솔루션, 보안 시스템 등의 확장을 위한 F/S 추진 및 해당 F/S 결과 구현 |
2025 |
||
광업 |
광업 분야 투자 기회 증진을 위한 e-플랫폼 구축 |
2025 |
에너지광물자원부 |
2018년 천연자원법 제19호 개정 및 승인 |
2024 |
||
농업·식품 |
식량 안보를 위한 국가 DB 구축 |
2025 |
농림부 |
Jordan Valley 남부농업단지 조성 |
2025 |
||
빗물 수확기술 사용 확대 및 Badia 목초지 복구 |
2025 |
||
Al-Qatrana(50만톤), Al-Ghabawi(10만톤) 곡물 창고 건설 및 Juwaida Silos Complex 내 냉장창고(5천톤) 확장 |
2025 |
||
Tannoor 댐, Mujib 댐과 연계한 현대적 농업 비즈니스 모델 구축 |
2025 |
||
콜드체인 및 농업 분야에서 태양광에너지 등 청정에너지 사용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 도입 |
2025 |
||
운송·물류 |
항구 운영 능력 향상을 위한 곡물 하역 시스템 설치 |
2024 |
아카바개발공사 |
퀸알리아 공항에 항공화물 센터 건립을 위한 F/S 추진 |
2024 |
요르단 공항회사 |
|
Hijaz 철도 복구를 위한 F/S 추진 |
2024 |
헤자즈 철도 |
|
국가 철도망 구축사업 1단계(암만-아카바 구간) 기반시설 구축 |
2025 |
교통부 |
|
Mafraq 지역에 물류 서비스 센터 설립 |
2025 |
Al Mafraq 개발 회사 |
|
Sultani 지역에 밀수 방지 및 통관 센터 건립 |
2025 |
요르단 세관 |
|
의료 |
약국 관리시스템을 포함한 요르단 보건 분야 전산시스템 구축 |
2025 |
보건부 |
생명공학 의약품, 바이오시밀러의 생산 및 계약 촉진 |
2025 |
산업통상부 |
|
무역 |
전자상거래 스타트업을 위한 비즈니스 액셀러레이터 설치 |
2023 |
산업통상부 |
Marj Al-Hamam 지역에 국제 전시장 개발 |
2025 |
||
이라크 경제도시 사업 착수 |
2024 |
||
ICT |
5G 통신 패키지 도입 |
2025 |
디지털경제부 |
[자료: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웹사이트]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내 “지속 가능한 자원”, “친환경 요르단”, “삶의 질” 분야의 주요 추진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수소 부문 개발을 포함한 청정에너지원의 탐사와 활용, 인근국과의 에너지 연결 등이 주로 다루어 졌다. 물, 폐기물, 도시개발 등 분야에서도 구체적인 프로젝트들이 포진했다.
<“지속 가능한 자원”, “친환경 요르단”, “삶의 질” 분야 주요 프로젝트>
추진 분야 |
프로젝트 |
완료시기 |
관계기관 |
에너지 |
그린수소·그린암모니아 생산사업 경제성 검토 |
2024 |
에너지광물자원부 |
스마트 그리드로의 전환 |
2025 |
||
Hamza 유전 개발 |
2025 |
||
Al-Risha 가스전 개발 |
2025 |
||
석유, 가스, 오일셰일 탐사사업 투자기회 관련 DB 구축 |
2023 |
||
연 3만건 이상의 가정용 태양발전 시스템 설치 및 33개 지자체에 태양광 발전기 설치 |
2025 |
JREEEF |
|
아카바항에 LNG 육상 재기화 장치 설치 |
2025 |
아카바 개발공사 |
|
액화석유가스 저장사업 |
2025 |
||
요르단-이라크 전력망 연계사업 |
2024 |
요르단 전력회사 |
|
요르단-이집트 연결 전력용량 증강(1,100MW까지) |
2024 |
||
자르카 정유소 4차 확장 |
지속 |
요르단 석유정제회사 |
|
물 |
물 손실률을 연간 2%까지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 실행 |
2025 |
수자원부 |
수원과 직결된 급수 네트워크 확장 |
2025 |
||
아카바 담수화 및 암만으로의 수송사업 착수 |
2023 |
||
수처리장 주변에 농업 프로젝트 구현 |
2025 |
||
폐기물 관리 |
고형 폐기물 관리 및 폐기처에서의 분류 작업 구현 |
2025 |
암만 시 |
농업용 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 |
2023 |
환경부 |
|
녹색성장 |
2023~2032년 10년 동안 천만 그루의 나무 식재 |
지속 |
농림부 |
도시개발 |
BRT 버스 암만~자르카 구간 준공 |
2023 |
암만 시 |
대중교통 서비스 향상을 위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 구현 |
2025 |
||
국가 대중교통 전산모델 ‘VISUM’ 개발 |
2023 |
||
암만 BRT 버스 2단계 구현 |
2025 |
[자료: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웹사이트]
향후 추진되는 프로젝트 중 민·관 합동으로 진행되는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의 총 투자 규모는 아래와 같다. 이 프로젝트 중 일부는 완료되는데 3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요르단 인프라 프로젝트 투자규모>
(단위: US$ 백만)
프로젝트명 |
투자규모 |
그린수소 및 그린 암모니아 생산 |
5,650 |
아카바-암만 담수화 및 운송 |
4,237 |
국가 철도 네트워크 (1단계 암만-아카바) |
2,684 |
유료 도료 건설 |
565 |
아카바 컨테이너 항 개발 및 복구 |
424 |
의과대학 및 종합병원 설립 (사우디-요르단 기금 지원) |
410 |
킹 후세인 국경지대 다리(Crossing Bridge) 화물 및 여객지 건설 |
318 |
BRT 암만-자르카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축 |
198 |
아카바 킹 후세인 국제공항 관리 및 운영 |
71 |
요르단-이집트 전력 연결용량 증강 (1,100MW) |
56 |
요르단-사우디 전력 상호 연결 |
55 |
요르단-이라크 전력 상호 연결 |
42 |
아카바 신항구 내 다목적항 관리 및 운영 |
14 |
[자료: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웹사이트]
평가 및 시사점
이번 「요르단 경제 현대화 비전」 3개년 실행 계획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부터 추진되어 온 「요르단 경제우선 프로그램(Jordan Economic Priorities Programme) 2021-2023」의 뒤를 잇는 포괄적 경제개발 정책이다. 이번 3개년 실행 계획에는 그린수소·그린암모니아 생산(56억 달러), 아카바 담수화 및 운송(42억 달러), 국가 철도 네트워크 연결(29억 달러) 등 대형 프로젝트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요르단-이라크, 요르단-사우디 전력망 연결 및 요르단-이집트 전력연결 용량 증강이 가시화됨에 따라 전력기자재 기업의 진출도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분야별 국가 DB 구축, 보안 시스템 확대, 5G 도입, 스마트 교통 시스템 구현 등 요르단 전반의 디지털화 추진에 따라 국내 ICT 기업의 사업 기회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내기업은 인프라 프로젝트의 단계별 추진에 따른 신규 입찰 공고에도 관심을 가진 필요가 있다.
자료: Jordan Economic Modernization Vision Executive Program, Jordan Times, Jordan News및 KOTRA 암만무역관 자체 보유자료
원문링크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70&pNttSn=20008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