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2022년 캄보디아 대외교역액은 전년대비 9.2% 증가한 약 524억2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각종 악재에도 불구하고 수출은 전년대비 16.4% 증가한 224억8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4.3% 증가한 299억42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무역수지 적자는 20.6% 감소한 74억5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5년 캄보디아 대외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https://stats.customs.gov.kh/en)]
2022 캄보디아 수출 현황
캄보디아 주요 수출 상대국은 미국, 베트남, 중국, 일본, 캐나다, 독일, 영국, 태국 등이다. 미국은 캄보디아 최대 수출 시장으로 2022년 캄보디아 총 수출의 39.9%를 차지했으며 베트남 9.6%, 중국 5.5%, 일본 5.2%, 캐나다 5.0%의 비중을 각각 차지하고 있다.
<2022 캄보디아 주요국별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
순위 |
국가명 |
수출액 |
증감률 |
비중 |
1 |
미국 |
8,968 |
19.7 |
39.9 |
2 |
베트남 |
2,168 |
9.2 |
9.6 |
3 |
중국 |
1,240 |
-17.9 |
5.5 |
4 |
일본 |
1,173 |
7.3 |
5.2 |
5 |
캐나다 |
1,120 |
17.4 |
5.0 |
6 |
독일 |
1,083 |
23.0 |
4.8 |
7 |
영국 |
886 |
21.1 |
3.9 |
8 |
태국 |
831 |
34.1 |
3.7 |
9 |
벨기에 |
642 |
26.3 |
2.9 |
10 |
네덜란드 |
552 |
25.2 |
2.5 |
11 |
스페인 |
474 |
39.0 |
2.1 |
12 |
프랑스 |
423 |
27.9 |
1.9 |
13 |
호주 |
379 |
84.6 |
1.7 |
14 |
이탈리아 |
332 |
30.7 |
1.5 |
15 |
한국 |
233 |
20.4 |
1.0 |
합 계 |
22,482 |
16.4 |
100.0 |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
캄보디아 주요 수출 품목은 의류, 핸드백 등 여행용품, 신발, 전기기기, 곡물, 자전거, 가구 및 침구, 과일 및 견과류, 고무 등이다. 캄보디아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의류·신발·여행용품의 2022년 수출액은 약 126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대비 수출액은 약 15% 증가했으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6.9%에서 56.2%로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HS Code 87류에 포함되는 자전거 수출은 전년대비 48% 증가한 9억66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주로 EU, 영국, 미국, 캐나다, 일본 등으로 수출되었다.
<2022 캄보디아 품목별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
순위 |
HS Code(chapter) 및 품목 |
수출액 |
증감률 |
비중 |
1 |
61- 편물 의류 |
6,367 |
9.4 |
28.3 |
2 |
62- 편물제외 의류 |
2,668 |
21.4 |
11.9 |
3 |
85- 전기기기 및 부품 |
2,668 |
84.8 |
8.9 |
4 |
42- 가죽제품·여행용구·핸드백 |
1,860 |
17.6 |
8.3 |
5 |
64- 신발류 |
1,737 |
24.8 |
7.7 |
6 |
10- 곡물 |
1,204 |
-3.7 |
5.4 |
7 |
87- 차량 및 부품(자전거 포함) |
1,030 |
49.3 |
4.6 |
8 |
94- 가구와 침구·매트리스 등 |
948 |
8.7 |
4.2 |
9 |
08- 과일 및 견과류 |
561 |
3.7 |
2.5 |
10 |
40- 고무와 그 제품 |
541 |
28.3 |
2.4 |
11 |
07- 식용 채소 및 뿌리 |
436 |
66.9 |
1.9 |
12 |
39- 플라스틱과 그 제품 |
395 |
-3.7 |
1.8 |
13 |
44- 목재와 그 제품 및 목탄 |
283 |
-14.5 |
1.3 |
14 |
71- 진주·귀석·귀금속 등 |
261 |
74.6 |
1.2 |
15 |
06- 살아있는 수목 및 기타 식물 |
252 |
1.3 |
1.1 |
합 계 |
22,482 |
16.4 |
100.0 |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
2022 캄보디아 수입 현황
2022년 캄보디아의 주요 수입 대상국은 중국,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등이며 한국은 9위를 기록했다. 대캄보디아 3대 수출국인 중국, 베트남, 태국이 캄보디아 총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1%에 육박할 정도로 이들 국가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 캄보디아 주요국별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
순위 |
국가명 |
수입액 |
증감률 |
비중 |
1 |
중국 |
10,445 |
7.9 |
34.9 |
2 |
베트남 |
3,967 |
26.2 |
13.2 |
3 |
태국 |
3,832 |
10.7 |
12.8 |
4 |
싱가포르 |
3,230 |
-36.6 |
10.8 |
5 |
대만 |
1,036 |
5.8 |
3.5 |
6 |
인도네시아 |
911 |
50.0 |
3.0 |
7 |
일본 |
774 |
21.0 |
2.6 |
8 |
홍콩 |
764 |
5.5 |
2.6 |
9 |
한국 |
545 |
-6.0 |
1.8 |
10 |
말레이시아 |
508 |
26.6 |
1.7 |
11 |
미국 |
312 |
-7.1 |
1.0 |
12 |
인도 |
243 |
31.4 |
0.8 |
13 |
라오스 |
208 |
31.6 |
0.7 |
14 |
독일 |
163 |
-0.8 |
0.5 |
15 |
호주 |
144 |
20.3 |
0.5 |
합계 |
29,941 |
4.3 |
100.0 |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
캄보디아 주요 수입품목은 연료, 섬유 및 직물, 차량 및 부품, 기계 및 부품, 플라스틱, 알루미늄, 종이류, 철강제품 등이다. 전체 수입 중 캄보디아 내 생산을 위한 각종 원부자재 관련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꽤 큰 편이다. 참고로, ITC Trade Map 등 세계 무역 통계를 보면 최근 캄보디아의 금(gold) 수입이 크게 늘어 2020년과 2021년 수입액이 각각 10억4500만 달러와 59억4000만 달러 이상을 기록했으나 캄보디아 관세청 무역통계에는 금을 제외한 무역 통계(non-gold trade)만 반영돼 있다.
<2022 캄보디아 품목별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
순위 |
HS Code(chapter) 및 품목 |
수입액 |
증감률 |
비중 |
1 |
27- 광물연료 |
3,667 |
52.6 |
12.2 |
2 |
60- 편직물 |
2,891 |
-2.1 |
9.7 |
3 |
87- 차량 및 부품 |
2,374 |
20.7 |
7.9 |
4 |
84- 기계류 및 부품 |
1,468 |
6.4 |
4.9 |
5 |
85- 전기기기 및 부품 |
1,464 |
23.0 |
4.9 |
6 |
39- 플라스틱 및 그 제품 |
1,216 |
4.5 |
4.1 |
7 |
55- 인조스테이플섬유 |
1,199 |
7.2 |
4.0 |
8 |
76- 알루미늄과 그 제품 |
780 |
45.7 |
2.6 |
9 |
48- 종이·제지용 펄프 등 |
617 |
-2.0 |
2.1 |
10 |
73- 철강 제품 |
608 |
7.6 |
2.0 |
11 |
38- 화학공업 생산품 |
593 |
40.9 |
2.0 |
12 |
52- 면 |
507 |
-5.9 |
1.7 |
13 |
23- 조제 사료 |
414 |
23.2 |
1.4 |
14 |
40- 고무 및 그 제품 |
373 |
39.3 |
1.2 |
15 |
72- 철강 |
359 |
23.1 |
1.2 |
합계 |
29,941 |
4.3 |
100.0 |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
한국의 대캄보디아 교역 동향
한국과 캄보디아 간 교역은 꾸준히 증가해 2019년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과 2021년 감소했다가 2022년 다시 10억5100만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2022년 한국의 대캄보디아 수출은 전년대비 2.9% 증가한 6억4200만 달러를, 수입은 19.7% 증가한 4억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참고로, 한-캄보디아 교역 규모의 경우 한국무역협회와 캄보디아 관세청 무역통계 간에 상당한 편차가 존재한다.
<최근 5년 한국의 대캄보디아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연도 |
수출 |
수입 |
수지 |
교역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2018년 |
660 |
9.4 |
314 |
20.3 |
346 |
974 |
2019년 |
697 |
5.5 |
336 |
6.8 |
361 |
1,033 |
2020년 |
567 |
-18.6 |
318 |
-5.3 |
249 |
885 |
2021년 |
624 |
10.0 |
342 |
7.4 |
282 |
966 |
2022년 |
642 |
2.9 |
409 |
19.7 |
233 |
1,051 |
[자료: 한국무역협회 K-stat 무역통계]
한국의 대캄보디아 주요 수출 품목은 음료, 섬유 및 직물, 가죽, 차량, 화장품, 의약품 등이다. 대캄보디아 수출 효자 상품으로 알려져 있는 박카스를 포함한 음료가 2022년에도 11.6%의 비중으로 수출 1위 품목 자리를 유지했다. 음료 외에 낙농품, 라면류 등의 가공식품도 수출 상위 20대 품목에 포함됐다. 승용차 수출은 2021년 대비 70.8% 증가한 반면 화물자동차 수출은 41.9% 감소했다. 의약품 수출이 60% 이상 대폭 감소한 것은 효과적인 방역정책으로 코로나19 상황이 크게 개선되고 관련 제한 조치가 폐지되어 관련 제품 수요가 약화되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겠다.
<대캄보디아 주요 수출 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
수출품목 |
2021년 |
2022년 |
||||
금액 |
증감률 |
비중 |
금액 |
증감률 |
비중 |
||
1 |
음료 |
72,872 |
-1.1 |
11.7 |
74,265 |
1.9 |
11.6 |
2 |
편직물 |
71,424 |
6.9 |
11.4 |
69,950 |
-2.1 |
10.9 |
3 |
기타가죽 |
47,604 |
64.6 |
7.6 |
61,065 |
28.3 |
9.5 |
4 |
승용차 |
28,855 |
47.4 |
4.6 |
49,275 |
70.8 |
7.7 |
5 |
화물자동차 |
54,756 |
-11.7 |
8.8 |
31,839 |
-41.9 |
5.0 |
6 |
화장품 |
22,539 |
23.0 |
3.6 |
29,427 |
30.6 |
4.6 |
7 |
경유 |
0 |
0.0 |
0.0 |
25,281 |
0.0 |
3.9 |
8 |
기타의직물 |
25,203 |
82.1 |
4.0 |
24,662 |
-2.1 |
3.8 |
9 |
의약품 |
50,971 |
187.5 |
8.2 |
20,110 |
-60.5 |
3.1 |
10 |
기타섬유제품 |
24,162 |
-33.9 |
3.9 |
19,958 |
-17.4 |
3.1 |
11 |
알루미늄조가공품 |
13,129 |
-71.9 |
2.1 |
13,867 |
5.6 |
2.2 |
12 |
전선 |
8,340 |
-18.7 |
1.3 |
12,441 |
49.2 |
1.9 |
13 |
자동차부품 |
13,049 |
34.7 |
2.1 |
10,224 |
-21.6 |
1.6 |
14 |
낙농품 |
6,366 |
57.0 |
1.0 |
9,073 |
42.5 |
1.4 |
15 |
기타정밀화학제품 |
8,597 |
1169.6 |
1.4 |
8,858 |
3.0 |
1.4 |
16 |
평판디스플레이 |
6,876 |
11.9 |
1.1 |
8,543 |
24.2 |
1.3 |
17 |
기타플라스틱제품 |
6,171 |
-22.4 |
1.0 |
8,134 |
31.8 |
1.3 |
18 |
플리에스터직물 |
7,541 |
66.9 |
1.2 |
7,666 |
1.7 |
1.2 |
19 |
나일론직물 |
3,533 |
140.9 |
0.6 |
7,260 |
105.5 |
1.1 |
20 |
면류 |
6,730 |
3.9 |
1.1 |
7,260 |
7.9 |
1.1 |
합 계 |
623,848 |
10.0 |
100.0 |
642,034 |
2.9 |
100.0 |
[자료: 한국무역협회 K-stat 무역통계(MTI 4단위)]
대캄보디아 주요 수입 품목은 의류 및 액세서리, 신발, 가방, 제어용 케이블, 천연고무,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자전거 등이다. 대캄보디아 전체 수입 중 의류, 신발 가방 등의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70%에 육박할 정도로 매우 높다.
<대캄보디아 주요 수입 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
수입품목 |
2021년 |
2022년 |
||||
금액 |
증감률 |
비중 |
금액 |
증감률 |
비중 |
||
1 |
편직제의류 |
109,381 |
-9.6 |
32.0 |
124,439 |
13.8 |
30.4 |
2 |
신발 |
54,129 |
12.9 |
15.8 |
71,318 |
31.8 |
17.4 |
3 |
직물제의류 |
56,646 |
19.2 |
16.6 |
65,100 |
14.9 |
15.9 |
4 |
제어용케이블 |
36,160 |
-15.9 |
10.6 |
49,318 |
36.4 |
12.1 |
5 |
천연고무 |
18,447 |
280.5 |
5.4 |
26,128 |
41.6 |
6.4 |
6 |
가방 |
23,518 |
13.8 |
6.9 |
23,707 |
0.8 |
5.8 |
7 |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
9,648 |
145.6 |
2.8 |
11,967 |
24.0 |
2.9 |
8 |
자전거 |
3,086 |
50.7 |
0.9 |
5,879 |
90.5 |
1.4 |
9 |
의류악세서리 |
2,897 |
7.9 |
0.8 |
4,742 |
63.7 |
1.2 |
10 |
취미오락기구 |
3,902 |
-12.9 |
1.1 |
3,848 |
-1.4 |
0.9 |
합 계 |
341,515 |
7.4 |
100.0 |
408,891 |
19.7 |
100.0 |
[자료: 한국무역협회 K-stat 무역통계(MTI 4단위)]
2023년 캄보디아 대외교역 전망
캄보디아 상무부는 2022년 성과 검토 및 2023년 목표 설정을 위한 연례회의에서 코로나19 영향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에너지 및 식량 위기, 인플레이션 등 전 세계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 속에서도 2022년 캄보디아 상품 수출이 상당한 성장을 기록했다고 높이 평가했다. 또한 이런 좋은 성과는 캄보디아의 효과적인 코로나19 관리, 지속적인 개혁 노력, 수출 경쟁력 개선, 우호적인 비즈니스 및 투자 환경 등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상무부는 특히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캄보디아-중국 FTA, 한국-캄보디아 FTA 등의 자유무역협정 발효와 각종 관세특혜 등으로 시장이 다각화되어 지난해 대외교역과 수출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들은 각종 대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의 수출 품목 다변화 및 시장 다각화 노력, 자유무역협정 등을 바탕으로 올해 캄보디아 대외교역도 긍정적인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K-stat 무역통계, ITC Trademap, 프놈펜포스트, 크메르타임즈,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료 종합
원문링크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70&pNttSn=2002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