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2025-01-25 05:00:10
0 4

케냐 수출자유지역(Export Processing Zone) 개요

 

케냐 정부는 외국인 투자유치 및 수출 산업 활성화를 위해 1990년 수출자유지역법(EPZ Act CAP517)을 제정하고 산업통상부 산하에 수출자유지역청(Export Processing Zones Authority, EPZA)을 신설했다.

 

현재 총 14(Athi River, Nairobi, Mombasa, Kilifi, Malindi, Voi, Kimwarer ) 수출자유지역이 운영되고 있으며 그중 아티리버, 나이로비, 몸바사 수출자유지역이 활성화돼 있다. 주요 혜택으로는 10년간 법인소득세, 비거주자 대상 배당금, 기타 송금에 대한 원천징수세 면제, △ 신규 투자에 대해 자 세액 100% 공제, △ 법률문서에 대한 인지세 영구 면제 등이 있다.

 

코로나19, 대선에 따른 불확실성 상승으로 주춤했던 수출 및 고용실적, 올해부터 회복세 기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직격탄을 맞은 케냐의 수출 및 고용실적은 2020년 큰 감소세를 보였다. 아티리버 수출자유지역에 위치한 일부 의류 생산기업들은 2020년에서 2022년 사이 대규모 인력 조정 및 근무시간 단축을 감행해 대규모 시위가 일어나기도 했다. 주춤했던 수출 실적과 고용인력 수는 2021년에 들어서며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수출자유지역청에 따르면 2022(2021/2022 회계연도) 수출 실적은 약 78000만 달러로 예상되고 신규 고용인력은 약 1만2800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반면, 2022년 최근 투자유치 실적은 여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목표치를 하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022년 수출자유지역 외국인 투자유치액은 약 35000만 달러로 예상돼 전년도 53000만 달러보다 감소했으며, 목표치인 62000만 달러에 한참 못 미칠 것으로 보인다. 같은 해 치러진 케냐 대선으로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투자가 감소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보이며, 올해부터는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출자유지역을 활용한 케냐 정부의 고용 창출 및 투자유치 노력

 

윌리엄 루토 대통령은 청년 일자리 창출과 비즈니스 생태계 활성화를  책목표 중 하나로 강조하고 있으며, 기업 투자유치 및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해 특정 산업 분야(원예, 식품가공, 섬유 및 의류, 가죽, 공예품)에 맞춤형 시설지원 및 4개월 임대료 면제 혜택 제공 등의 적극적인 인센티브를 제시하고 있다.

 

신정부의 기대에 부응하여 올해 들어 대규모 고용 및 투자 소식도 전해지고 있는데, 노르웨이의 Norfund(노르웨이 정부의 개발도상국 투자기금)는 수출자유지역에 입주한 섬유 제조기업(Balaji Group)25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해 추후 직접고용과 간접고용이 각 6000명씩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밖에 수출자유지역 내에 입주한 스리랑카 기업(주로 커피산업, 섬유·의류 산업 영위) 수출자유지역과 나이로비 시내에 나무 백만 그루를 기부하고 2만 명 신규 채용 계획을 발표하는 등 신정부의 정책 기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수출자유지역에 입주한 스리랑카 기업의 나무심기 행사>

 [자료: The Star]


아티리버 수출자유지역 투자유치실장 인터뷰

 

Moses Kipkebut 아티리버 수출자유지역 투자유치실장은 KOTRA 나이로비 무역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아티리버 수출지유지역은 공단 내에 섬유산업 허브를 구축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예산 확보 방안 및 인센티브 제공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또한 아티리버역에서 수출자유지역을 잇는 철로가 구축되면 컨테이너 운송과 통관이 한 번에 진행될 수 있어 기업의 편의도가 매우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지만 투자자본 조달에 어려움이 있다”며 아쉬움을 보였다.

 

<아티리버 수출자유지역 본부>

 

[자료: 수출자유지역청]


시사점

 

루토 신정부가 주춤했던 경제지표를 개선하겠다는 목표로 중소기업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투자 유치 및 고용 창출을 강조하고 있으나 현재 수출자유지역에서 제공하는 혜택이 기업을 끌어들일 만큼 매력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일부 산업 분야의 경우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이 관찰되고 있고 경제특구(SEZ) 또한 지속적으로 구축되고 있어 관련 모니터링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섬유 및 의류 산업과 농식품 가공 분야는 수출 규모 확대를 주도하는 분야로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동향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2018~2021 케냐 수출자유지역 주요 성과>

(단위: 개, 명, 백만 케냐 실링, %)

지표

2018

2019

2020

2021

성장률

공보된 수출자유지역 수

72

74

76

82

7.9

참여기업 수

136

137

138

145

5.2

고용인력 수(케냐 국적)

57,099

60,390

56,293

66,053

17.3

고용인력 수(기타 국적)

644

665

647

801

23.8

총판매액

77,270

77,189

81,207

98,867

23.8

수출액

72,390

68,572

74,360

90,249

21.4

국내 판매액

2,217

4,417

4,124

4,746

15.1

수입액

34,229

39,840

37,504

48,317

28.8

투자총액

105,066

107,877

116,974

124,490

6.4

[자료: Export Processing Zones Authority]

 


자료: 케냐 산업통상부, 케냐 수출자유지역청, 케냐 통계청, Business Daily, The, Star, KOTRA 나이로비 무역관 자료 종합

원문 출처 : 코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