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2025-01-25 03:26:26
0 1

중국 해관총서(한국 관세청에 해당)37<20231-2월 중국의 수출입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32월 누적 중국의 수출입 총액은 6.18조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8% 감소했고 무역흑자는 8,103.2억 위안으로 동기 대비 16.2%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올해 2월까지 중국의 수출규모는 3.5조 위안으로 동기 대비 0.9% 증가했으며, 수입규모는 2.68조 위안으로 동기 대비 2.9% 감소했다. 작년 12월 초부터 방역 정책이 전면 해제된 것이 제조공장 조업회복에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20232월 누적 중국 수출입 현황>

(괄호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폭)

구분

수출입 총액

수출액

수입액

무역흑자

CNY 기준

6.18

(-0.8%)

3.5

(+0.9%)

2.68

(-2.9%)

8,103.2

(+16.2%)

USD 기준

8,957.2

(-8.3%)

5,063

(-6.8%)

3,894.2

(-10.2%)

1,168.8

(+6.8%)

[자료: 중국 해관총서]

 

중국 해관총서는 수출입 현황을 각각 위안화와 달러로 공시하였다. 작년 작년 4월부터 위안화달러 환율이 상승함에 따라 증감세 정도가 차이를 나타냈다.

 

올해 2월까지 중국 수출입이 보여준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일반무역 수출입 비중 증가

 

올해 2월까지 중국의 일반무역 수출입 규모는 4.01조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이는 중국 전체 수출입 규모의 64.9%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동기 대비 1.3% 늘어났다. 구체적으로 일반무역의 수출규모는 2.24조 위안(+3.1%), 수입규모는 1.77조 위안(-1.2%)을 기록했다.

 

한편 같은 기간 중국의 가공무역 수출입 규모는 1.16조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했으며 전체 수출입 비중에서 18.8%를 차지했다. 가공무역의 수출규모는 7,681.6억 위안(-6%), 수입규모는 3,958.7억 위안(-18.3%)을 기록했다.

 

또한 같은 기간 보세물류를 통한 수출입 규모는 7,785.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다. 보세물류를 통한 수출은 3,024.9억 위안(6.8%), 수입은 4760.6억 위안(5.6%)를 기록했다.

 

일반무역이나 가공무역 규모의 증가세가 더디거나 감소한 반면 보세물류를 통한 무역규모는 전년 대비 증가했음을 볼 수 있다.

 

2. ASEAN과의 교역 증가, EU미국일본과의 교역 감소

 

올해 2월까지 중국-ASEAN국가 간 수출입 규모는 9,519.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했다. ASEAN은 중국 대외무역 총액의 15.4%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 중 ASEAN향 수출액은 5,700억 위안(17.9%), ASEAN으로부터의 수입액은 3,819.3억 위안(0.9%)을 기록했다. 특히 ASEAN과의 무역흑자는 1,880.7억 위안으로 91.6%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EU는 중국의 2대 교역국(지역)이었으며 중국-EU 간 수출입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6% 하락한 8,510.9억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대외무역 총액의 13.8%에 해당한다. 이 중 EU향 수출액은 5,528.3억 위안(-5%)이었으며 EU로부터의 수입액은 2,982.6억 위안(2.1%)을 기록했다. 무역흑자는 2,545.7억 위안으로 12.1% 감소했다.

 

미국은 중국의 3대 교역국으로 양국의 수출입 규모는 동기 대비 10.6% 하락한 7,029.8억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대외무역 총액의 11.4%에 해당한다. 미국향 수출은 4,9841.1억 위안으로 15.2% 감소했으며,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088.7억 위안으로 2.8% 증가했다. 미국과의 무역흑자는 2,852.4억 위안으로 동기 대비 24.9% 감소했다.

 

일본은 중국의 4대 교역국으로 양국의 수출입 규모는 동기 대비 5.7%가 감소한 3,449.2억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중국 대외무역 총액의 5.6%를 차지하는 수치이다. 이 중 일본향 수출은 1,835.6억 위안으로 동기 대비 6.7% 증가했으며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1,613.6억 위안으로 동기 대비 16.8% 감소했다. 중국의 대일 무역흑자는 222억 위안으로 작년 같은 기간 218.4억 위안과 비슷했다.

 

3. 민영기업의 수출입 비중 50% 넘겨

 

올해 2월까지 중국 민영기업의 수출입 규모는 3.16조 위안으로 동기 대비 5.3% 증가했다. 이는 중국 대외무역 총액 중 51.2%에 해당하는 비중으로 동기 대비 3% 증가했다. 이 중 민영기업의 수출액은 2.14조 위안(6.5%), 수입액은 1.02조 위안(2.9%)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중국 국유기업의 수출입 규모는 1.05조 위안으로 동기 대비 5.3% 증가했다. 이 중 국영기업의 수출액은 2,889.3억 위안(11.1%), 수입은 7,596.1억 위안(3.3%)을 기록했다.

 

외상투자기업의 수출입 규모는 1.95조 위안으로 동기 대비 12.2% 감소했다. 이는 중국 대외무역 총액 중 31.6%에 해당한다. 외상투자기업의 수출액은 1.05조 위안(11.1%), 수입액은 8962.1억 위안(-13.4%)를 기록했다.

 

4. 전기기계 제품 수출 증가, 노동집약제품 수출 감소

 

올해 2월까지 중국의 수출품목 중 전기기계 제품이 차지하는 금액은 2.03조 위안으로 동기 대비 0.4% 증가했다. 전기기계 제품은 전체 중국 수출액의 58%를 차지했다. 자동데이터처리설비 및 관련 부품의 수출액은 1,837.2억 위안으로 26.7% 감소했으며, 휴대전화와 자동차의 수출액은 각각 1,633.5억 위안(10.5%), 968.3억 위안(78.9%)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자동차 수출이 크게 늘었다.

 

같은 기간 노동집약산업인 의류(부속품 포함), 방직품, 플라스틱 제품의 수출액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5%, 15.9%, 2.1% 감소한 1,498.9억 위안, 1,324.1억 위안, 992.5억 위안을 기록했다.

 

5. 철광석석탄 수입량 증가, 천연가스 수입액 증가

 

같은 기간 중국의 원자재 수입 현황은 다음 표와 같다.


<2023년 2월 누적 중국 원자재 수입현황> 

(각 품목 아래칸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폭)

원자재

수입량

()

평균가

(위안/)

철광석

1.94

733.4

+7.3%

-4.5%

석탄

6,064.2

947

+70.8%

-11.3%

석유 완제품

531.4

4,150.5

+14.4%

-11.6%

원유

8,406.4

4,058.5

-1.3%

+3.7%

천연가스

1,792.7

4,598

-9.4%

+8.4%

대두

1,617.3

4,645.7

+16.1%

+20.2%

플라스틱

(Plastic in primary shape)

481.4

1.07

-2.2%

-11.1%

구리(가공 전)

87.9

6.04

-9.3%

-5.5%

[자료: 중국 해관총서]

 

또한 같은 기간 중국이 수입한 전기기계 제품의 금액은 8,888.1억 위안으로 동기 대비 19.8% 감소했다. 이중 집적회로의 수입규모는 3,290.7억 위안(-24.9%), 675.8억 개(-26.5%)를 기록했다.

이외에도 자동차의 경우 수입규모는 494.7억 위안(-18.5%), 10.6만 대(-30.4%)를 기록했다.

 

요약

 

작년 12월부터 중국의 방역 정책이 대대적으로 해제되었다. 엄격한 방역 정책으로 인해 제조공장의 조업이 원활하지 않았던 것이 조업 회복에 힘입어 올해 2월까지 중국의 수출액은 동기 대비 다소 증가하였다. 반면 수입규모는 감소하여 무역흑자가 동기 대비 20% 가까이 늘어났다. 특히 반도체와 수입차의 수입이 크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중국은 ASEAN과의 교역규모는 늘어난 반면, 미국, EU, 일본과의 교역규모는 줄어들었다 또한 중국 전체 수출입에서 민영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으나 외국기업의 수출입 규모는 동기 대비 10% 이상 감소하였다.

 

원자재의 경우 원유, 천연가스, 구리, 플라스틱의 수입이 소폭 감소한 가운데 석탄의 수입은 크게 늘었고 대두, 석유 완제품, 철광석 등도 수입이

다소 증가하였다.


자료: 중국 해관총서, KOTRA 다롄무역관 정리

원문 출처 : 코트라

원문링크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70&pNttSn=200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