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분기 베트남의 경제성장률은 3.32%를 기록했다. 베트남은 작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유발된 지정학적 리스크에너지 위기, 글로벌 경기침체의 기조속에도 인근국 대비 평균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해왔다. 이러한 베트남의 지속적인 성장세에는 외국인 투자자본이 큰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받는다. 이에 베트남 정부에서도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 및 국내 산업 발전을 중요 목표로 두고 있다.

 

그러나 최근 2~3년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 감소가 지속됨에 따라 향후 베트남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라는 부정적인 분석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베트남 당국 역시 현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여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인 상황이다.

 

최근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 동향

 

베트남은 2010년대 이후 빠른 경제성장과 함께 글로벌 기업들의 주요 제조 거점으로 떠올랐으며 늘어나는 외국인 투자는 베트남 경제발전의 중요한 동력 역할을 해왔다.


<2022년 베트남 외국인 투자 동향>

(단위: US$ 십만, 건)

구분

2022.1.1. ~ 12.20.

국가명

신규건수

신규투자금액

총투자금액

싱가포르

280

21,202

64,550

한국

416

11,189

48,790

일본

203

33,884

47,814

중국

283

13,565

25,180

홍콩

134

11,012

22,239

대만

86

5,128

13,516

미국

91

5,316

7,482

네덜란드

31

437

7,022

버진아일랜드

25

1,927

6,070

태국

37

1,101

1,989

말레이시아

38

93

1,852

기타

412

19,609

30,678

전체 합계

2,036

124,462

277,181

[자료: 베트남 기획투자부]

 

코로나 이후, 공급망 변화에 따른 탈 중국 기업 투자 수요 확대 등 요인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서서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1분기까지의 외국인 투자 추세로 볼 때 올해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 유입은 코로나 이전 수준의 약 60%대에 그칠 것으로 나타났다.

 

1) 주요국들의 대베트남 투자 감소 기조

 

베트남 기획투자부(MPI) 외국인 투자통계에 따르면, 매년 1분기 기준으로 보았을 때 20231분기(1~3)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액은 코로나 시기 때보다 더욱 낮은 약 5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8.8% 큰 폭 감소했다. 이 수치는 20191분기 투자유치액의 약 50% 수준에 불과하다.

 

<최근 5, 1분기별 전체 외국인 투자액 변동현황 >

(단위: US$ 백만, )

 [자료: 베트남 기획투자부 외국인 투자통계, 무역관 자체 분석]

 

특히, 20231분기 기간 주요 국가들의 대베트남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적게는 -22.4%(홍콩)에서 많게는 -70.4%(한국)까지 대폭 감소한 상황이다.

 

<20231분기(1~3) 간 주요국 투자현황>

(단위: US$ 십, 건, %)

구분

싱가포르

중국

대만

한국

홍콩

네덜란드

일본

2022.1Q

투자금액

22,893

8,938

3,237

16,068

5,816

6,272

5,924

프로젝트 수

138

127

67

414

53

8

108

2023.1Q

투자금액

16,865

5,517

4,774

4,744

4,511

3,772

3,194

프로젝트 수

172

178

97

344

76

17

157

증감률

투자금액

-26.3

-38.2

47.4

-70.4

-22.4

-39.8

-46.0

프로젝트 수

24.6

40.1

44.7

-16.9

43.4

112.5

45.3

[자료: 베트남 기획투자부 외국인 투자통계, 2023.3.20. 기준]

 

2) 제조업 분야 및 전력, 발전 등 인프라 분야 투자 감소가 큰 비중

 

20231~3월 제조업 분야의 외국인 투자 유치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5% 감소하였으며 프로젝트 수 또한 16.7% 감소하였다. 현재 가속화되는 미-중 무역분쟁 및 글로벌 공급망 변화 등 탈 중국 기업이 대거 베트남으로 생산기지를 옮길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기대보다 유입이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 최근 5년 외국인 제조업 분야 투자현황 >

(단위: US$ 십, 건, %) 

연도

프로젝트 수

투자금액

2019

4,436

245,618

2020

2,748

136,011

2021

1,795

181,209

2022

1,626

168,015

2022년 1-3(A)

341

53,002

2023년 1-3(B)

398

39,766

증감률(A:B)

16.7

-24.9

[자료: 베트남 기획투자부 외국인 투자통계, 2023.3.20. 기준]

 

무엇보다 과거 10억 달러 이상의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는 최근 보이지 않으며, 제조 분야 투자 중 1억 달러 이상 프로젝트(싱가포르 Fulian/ 휴대폰 부품 / 3억6000만 달러, 중국 Hainan Longi Green Energy / 태양광 패널 / 4억 달러) 등 뿐이고 중소형 프로젝트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과거와 다른 투자유입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 최근 5년 외국인 용수, 전력, 가스 제조 및 판매 분야 투자현황 >

(단위: US$ 십, )

연도

프로젝트 수

투자금액

2019

79

10,101

2020

73

51,425

2021

64

57,117

2022

34

22,615

2022년 1-3

9

97

[자료: 베트남 기획투자부 외국인 투자통계, 2023.3.20. 기준]

 

용수, 전력, 가스제조 및 판매 등 인프라 투자에 대한 투자 역시 2022년 들어 큰 폭 감소하고 있으며 20231분기의 경우 관련 투자가 아주 미미했다. 관련하여, 지난 20224월 발표된 8차 국가전력 발전계획(PDP) 초안이후 현재까지 총리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투자자들의 기대에 빠르게 대처 하지 못한 정부 정책이 시장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인프라 투자가 최고조에 달했던 2020년은 인프라 분야 외국인 투자는 전체 투자의 약 18%에 달했으나 20231분기 동 분야 투자는 외국인 전체 투자의 0.2%에 불과한 상황으로 베트남 정부의 빠른 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3) 한국의 제조업 분야 진출 부진도 베트남 전체 투자 감소에 큰 영향


그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를 견인했던 제조업 투자가 지난 3개월간 총 80개 프로젝트 3억7000만 달러 (신규투자 19개 프로젝트, 4200만 달러) 투자에 그치는 등 2022년 이후 계속 부진을 보이고 있다. 이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미국으로의 공급망 이전, 신흥 유망 시장으로 여겨지는 인도의 성장, 글로벌 경기 악화에 따른 판매 물량 감소 및 고금리로 인한 해외 투자자금 조달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베트남 진출 한국 투자기업의 수출액은 베트남 전체 수출액의 약 30~35%, 전기·전자 산업 분야만 놓고 보았을 경우, 20~2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고용자 수는 약 70만 명에 달할 만큼 한국 투자기업의 베트남 내 경제활동은 베트남 경제·사회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기에 베트남 정부 역시 한국의 투자 감소에 우려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 최근 5년 한국의 대베트남 제조업 투자현황 >

(단위: US$ 십, 건, %)

연도

신규프로젝트

증액투자 프로젝트

M&A, 주식매입

총투자액

프로젝트 수

투자금액

프로젝트 수

투자금액

프로젝트 수

투자금액

2019년

375

23,281

285

15,679

643

6,187

45,149

2020년

196

9,494

212

7,713

373

3,071

20,279

2021년

132

6,236

181

29,746

170

1,865

37,849

2022년

102

7,940

219

27,482

121

5,660

41,081

2022년 1-3월(A)

10

211

50

13,284

29

350

13,845

2023년 1-3월(B)

19

421

42

3,192

19

90

3,704

증감률(A:B)

90.0

99.5

-16.0

-76.0

-34.5

-74.3

-73.2

[자료: 베트남 기획투자부 외국인 투자통계, 2023.3.20. 기준]

 

최근 베트남 내 외국인 투자 환경 변화와 정부의 해결 노력

 

1) 베트남 정부, 외국 투자기업(협회)의 목소리 무시 못해

 

319 하노이에서 베트남 총리 및 각 부처별 장관, 베트남 진출 외국 경제단체 등 200여 명이 참여하는 ‘2023 베트남 비즈니스포럼(VBF)’가 개최되었다. 이 곳에서 최근 이슈가 되는 기후협약 관련 이행 방안, 신재생 에너지 사업 관련 정부의 에너지 개발정책 확정 등의 문제에 대해 정부의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

 

또한, 각 국가 경제단체들은 기업들이 일반적으로 겪고 있는 노동허가·세금감면·통관 시스템·인력 양성 지원·소방법 및 환경법 등 각종 규제 강화/ 불합리한 행정처리 시스템 등 문제를 거론하며 정부에 해결을 요청하였다.

 

< 2023 베트남 비즈니스 포럼 전경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9643fa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0pixel, 세로 800pixel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최근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투자진출 감소 기조와 함께 기존 진출기업들은 좀 더 안정적인 활동을 이어 나가고자 투자환경 개선을 요구하고 있으며, 다양한 애로사항을 지적하였다. 베트남이 외국인에게 투자시장을 개방한 지 30여 년이 지났으나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해있는 상황인지라 정부 역시 외국인 투자자들의 탈 베트남을 방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모습을 보였다.

 

베트남 정부는 외국 투자 기업의 안정적 기업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그 노력의 일환으로 두 가지 협의체를 운영 중이다. 또한, 해당 위원회와 포럼에서 건의된 외국 투자기업들의 의견은, 정부의 주요 해결 안건으로 총리에게 보고되고 있다.

 

<베트남 정부의 외국 투자 기업 활동 지원 협의체>

베트남 행정수속 개혁 위원회(Administrative Procedures Control Committee)

  · 2009년 설립, 전 분야의 행정수속 간편화 및 개혁을 위한 정부 조직

  · 베트남 주요 기관, 협회, 각 국가별 투자유치 기관 등 참여

  · 책임자: 총리실 장관

  · 개최시기: 2

 

베트남 비즈니스 포럼(Vietnam Business Forum)

  · 1997년에 조직, 베트남 정부와 주요 투자 국가별 경제단체와의 협의체

  · 유로참, 암참, 코참, 일본기업협회, 베트남 상공회의소,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등 국제기관 협회 및 전 분야 정부기관 참여

  · 책임자: 기획투자부장관

  · 개최시기: 2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2) 베트남 정부 2021~2030년 외국인 투자협력 전략 실행을 위한 액션 플랜 마련

 

과거 202262일 베트남 정부는 ‘2021~2030년 외국인 투자 협력전략(Decision 667/QD-TTg)을 공포한 바 있다. 또한 지난 328 베트남 내 각 행정기관(각부처 및 지방성정부)의 동 전력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액션 플랜을 마련하며, 외국인 투자 유치 및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에 돌입하였다.

 

< 외국인 투자 협력 전략 / 2022.6.2. >

목적

 ① 4차산업혁명의 첨단 기술과 현대적 경영 기업 도입, 고부가가치 및 GVC를 통한 FDI 유치

 ② FDI 부문의 자본, 기술, 경영 지식, 기업 문화를 활용한 시장 확장 및 경쟁력 향상

 ③ FDI 유치 및 활용 효율성 개선

 ④ 혁신센터 및 금융센터 설립

세부 목표

 ① FDI 관련 기존 정책 목표 달성을 통한 FDI 협력의 질과 효율성 제고

 ② 한국, 중국, 일본 및 아세안, 인도 등으로 부터의 FDI 유입 비율 2021~202570% 이상, 2026~203075% 이상*

 ③ 베트남 주재 기업 중 Fortune지 세계 500대 기업 수 50% 증가

 ④ 2030년까지 세계 기업환경평가 아세안 3대 국가, 세계 60대 국가로의 진입

9대 해법

 ① FDI 관련 기존 정책의 효과적 이행

 ② 투자환경 개선 및 경제의 질, 효율성 및 경쟁력 제고

 ③ 과학, 기술 및 혁신 생태계 개발

 ④ 외국인 투자유치 경쟁 강화를 위한 혁신

 ⑤ 지원산업 육성, 연계 및 확산

 ⑥ 외국인 투자협력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내부역량 제고 및 경쟁우위 활용

 ⑦ 국제 경제 통합의 효율성 및 국제 무대에서 베트남의 위상강화

 ⑧ 현대적이고 다양하며 진보적인 투자

 ⑨ 외국인 투자에 대한 국가 관리의 효율성 향상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 외국인 투자 협력 전략 실행을 위한 액션플랜 / 2023.3.28. >

실행부처

내용

실현시점

(보고시점)

기획투자부

공공조달법 프로젝트(개정)

2022-2023

공공조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재정

2023

벤처캐피털 관련 법 재정방안 보고

2023-2024

2030년까지 노동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국가 프로그램 이행 방안 개발

2023-2024

국가 생산성위원회 발족 사업

2023-2025

외국인 투자 기업 제공을 위한 베트남 기업 공급망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2023-2025

국가 재정 투입 해외 투자유치 활동 관리 시스템 구축

2023-2024

해외 투자유치 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 개발

2023-2024

국가혁신센터 및 지역, 지역혁신센터, 기업간 연계를 기반으로 한 창업, 혁신생태계 구축

상시

지역 및 거점 내 혁신 센터와 글로벌 센터와의 네크워크 연결

상시

재무부

의정서 No.02/2015/ND-CP(통관절차, 검사 및 감독에 관한 법령) 개정

2023

글로벌 최저한세에 관한 각 국가별 대응 정책 연구 및 베트남의 대응책 마련

2023

노동보훈사회부

해외 수출 노동자의 베트남 귀국 이후 근로현황 보고

2023-2024

베트남 인력의 해외 취업을 위한 장려정책 연구

2023-2024

대기업, 외국기업의 수요에 부합하는 인력 양성을 위한 협력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2023

산업무역부

2026~2035년 부품소재산업 발전 전략 수립

2023-2025

외국 투자기업과의 효과적인 협력을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에 대한 각 정책, 조치 필요사항 조사

2023

국가 전력망 공급 수요를 초과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의 자가 발전 시설 건설 허가를 위한 방법 연구 조사

2023-2024

국가 전력망과 연결되는 민간 송, 배전 건설, 설치 허가에 대한 연구 보고

2023-2024

2030 2050까지의 베트남 제조, 가공분야 선제 발전 전략 수립

2023-2025

교육부

외국 교육기관 유치를 위한 투자환경 조성 및 국제 교육 특구 조성을 위한 정책 개발 연구

2023-2025

FDI 기업과 베트남 고등 교육기관 간의 연구 및 훈련 협력 촉진

상시

교육분야 효과적인 투자 촉진을 위한 투자 및 협력, 국제화에 관한 심층적 지식, 기술 훈련

상시

환경자원부

선진국 및 국제 기준에 부합하기 위한 환경분야 관련 국가 기술규정 조사, 수정, 검토 실시

상시

지방 투자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및 개발투자 방법 안내 및 협력

상시

과학기술부

중고장비, 기계 및 생산라인 수입 행정절차 간소화를 위해 총리 결정 No.18/2019/QD-TTg(기계, 장비, 생산라인 수입 관련 규정) 수정 및 보완

2022-2023

베트남 기업을 위한 기술이전 및 합작 촉진을 위한 정책 수립 연구

2023

정보통신부

글로벌 테크기업 유치 및 디지털 혁신 분야 투자 장려를 위한 솔루션 및 지원정책 연구 보고

2023-2024

테크기업 투자자의 수요(4차산업 혁명 및 5G, AI, 반도체)에 부합하는 산업단지, 정보통신 단지 및 하이테크 단지 인프라 구축을 위한 평가, 조사 실시

2023

글로벌 테크기업 유치를 위한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정보통신 산업단지 개발 구축을 위한 연구

2023

2021~2030년 기간, 베트남 정부의 정보통신분야 발전 및 투자유치를 위한 홍보 강화

상시

베트남 기업의 AI, 블록체인, 빅데이터, IoT 등 신기술 기반 제품 생산 참여를 위한 방안 마련

2023-2024

교통운송부

외국인 투자유치가 필요한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상세 프로젝트 프로필 작성

2023-2024

공안부

투자이전, 인수, 합병, 돈세탁 목적 지하경제 활용, 탈세 등 행위 척결 등 경제 안보 보장을 위한 조치 시행

상시

외교부

고위급 공무원의 외교활동 및 경제 외교 수행을 통한 투자촉진 활동 강과

상시

베트남 투자환경에 대한 국제 평가에 대한 모니터링 및 연구 실시

상시

글로벌 대기업의 투자전략 업데이트 및 기획투자부와 협력 대응 솔루션 연구 및 방안 마련

상시

외교적 민감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 및 처리 방안 마련

 

지방성정부

투자 부진, 지연 비효율적 운영 프로젝트 발굴 및 프로젝트 사업권 회수, 기타 투자자에 이전하기 위한 투자기금 조성을 위한 조사 실시

상시

지방 경쟁력 지수 향상을 위한 연간 계획 수립

매년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대규모 프로젝트 유치를 위한 투자지원 패키지 개발 및 마련

상시

개발 계획 및 투자유치 전략과 연계하여 지역별 브랜드 및 이미지 구축

상시

주: 동 액션플랜은 기획투자부 관할 하에 실시되며, 매년 총리에게 실행 결과 보고됨.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시사점


베트남은 최근 코로나 및 공급망 변화, -중 무역분쟁 위기 등에도 연평균 6% 대 이상의 높은 경제 성장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국가 경제, 산업에서 외국 투자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 외국인 투자 기업을 기반으로 성장을 이루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또한 아직 자국 기업들의 대외 진출 경쟁력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내수 시장의 지배력을 통한 성장이 대부분인지라 외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유입을 통한 경제발전 유지가 절실한 입장이다.


한편 최근(’22년 말 ~ ‘23년 초) 베트남의 대외 수출액이 감소하는 등 거시적으로도 경고등이 켜진 상황에서, 베트남 정부가 외국인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마냥 묵인할 수는 없게 되었다. 지속적인 외국 투자기업과의 협력 및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조치는, 현지에서도 베트남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좋은 전략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추후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환경 개선노력을 주의깊게 볼 필요가 있다.



공동작성: 김경돈

자료: 베트남 기획투자부, 베트남 통계청, vietnam plus, vov.vn 등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원문 출처 : 코트라

원문링크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70&pNttSn=201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