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웠던 연초 예상과 달리 하반기 영국 경제는 순항 중이다. 치솟던 에너지 요금이 서서히 안정되고 재정긴축으로 우려되던 재정건정성이 회복되면서 IMF는 영국의 2023년 경제성장률을 -0.3%에서 0.4%로 0.7%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여전히 살인적인 물가 수준은 서민 경제를 위협하고 있으며 금리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기업활동가 투자가 위축돼 2024년 경기침체가 올 거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2022-2023년 영국 경제성장률 추이>
[자료: GOV.uk]
여느 경제가 그렇듯이 영국 또한 불안 요인이 많지만 연초 예상했던 악재들이 해소되고 재정건전성이 회복되면서 한결 나아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점을 지난 인플레이션, 그러나 소비자 부담은 여전
2022년 말부터 시작된 에너지 위기는 그야말로 영국을 강타했다.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 상승은 에너지 요금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영국의 물가 수준을 살인적으로 올렸다. PwC는 지난해 발간한 보고서에서 2023년 에너지 요금이 동결되지 않으면 물가상승률이 17%까지 이를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다행히 하반기 에너지 도매 가격이 하락하면서 그 예상은 현실화되지 않았다. 더하여 에너지 규제기관인 Ofgem은 에너지 요금 상한선을 연간 3280파운드(한화 약 530만원)에서 2074파운드(한화 약 340만원)로 낮추어 소비자가 실질적으로 부담하는 금액도 400파운드(한화 약 65만 원) 이상 줄었다.
[자료: BBC]
가장 큰 문제가 해결됐음에도 물가는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2023년 4월 발표자료에 따르면 영국의 인플레이션은 8.7%로, 이전 10%를 웃돌던 2022년보다 다소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정부 타깃인 2%보다 세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영국 소비자 물가 지수, 2015=100>
(단위: %)
주: 1) CPIH(Consumer Prices Index including owner occupiers’ housing costs) : 주거비 포함 소비자 물가지수
2) OOH(Owner occupiers’ housing costs) : 주거비
[자료: 영국 통계청]
물가상승이 이어지는 원인은 복합적이나 무엇보다 현재 고물가를 이끄는 대표적인 원인은 식료품 가격 상승이다. 영국의 전통 음식인 피시앤칩스를 예로 들어보자. 피시앤칩스에 주로 사용되는 대구 한 박스의 가격은 올해 80% 가량 올랐다. 거기다 감자 한 자루 가격도 60% 가까이 올라 결과적으로 같은 음식을 먹고 소비자가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19% 가량 올랐다. 피시앤칩스 뿐만 아니다. 대표적인 서민음식인 햄버거와 케밥도 각각 17%, 14%씩 올라 외식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자영업자의 부담 또한 마찬가지다. 올라간 식재료비를 모두 소비자에게 전가하면 소비자가 가게에 찾아오지 않으니 가격을 섣불리 올리지도 못하고 동시에 온전히 식재료비 상승을 감당하자니 가게 유지가 안되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놀라운 것은 식료품 자체의 가격은 낮아졌다는 점이다. 러-우 사태로 교란됐던 공급망이 일정 부분 안정되면서 곡물 및 유제품의 가격은 20% 하락했고 설탕을 제외한 대부분의 식료품 가격이 하락했다. 식료품 고유의 가격은 낮아졌음에도 영국 내 식료품 가격이 계속해서 올라가는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외부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말했다. 에너지 위기로 인한 비용 증가 및 기후 변화, 인건비 상승 등이 식료품 가격 상승을 설명한다. 일각에서는 브렉시트로 인한 교역 장벽이 식료품 가격을 올렸다 주장했다.
정부는 고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 인상, 규제 완화 등 여러 조치를 내놓았다. 치솟은 인플레이션은 해당 조치들의 효과가 가시화되는 2024년 말 영란은행 목표인 2%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한 번 올라간 임금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듯, 한 번 올라간 식료품 가격 또한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완화되더라도 식료품 가격은 여전히 높아 서민들의 생활비 부담은 계속될 수 있다.
영국 장기금리 미국 추월, 계속해서 올라가는 기준금리
영국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쭉 저금리 기조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2021년 말부터 고물가를 잡기 위한 통화긴축정책이 이어지면서 금리가 서서히 상승하기 시작했다. 2023년 5월 영국의 기준 금리는 4.5%이며 앞으로도 금리 상승 기조가 계속될 전망이다.
<2020-2023년 영국 기준금리>
시기 |
2020.6 |
2021.6 |
2022.6 |
2023.6 |
기준금리 |
0.1 |
0.1 |
1 |
4.5 |
[자료: BoE]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영국의 10년채 장기금리가 14년만에 처음으로 미국을 역전했다는 것이다. 2023년 3월부터 영국의 장기금리(5월, 4.18%)는 미국의 장기금리(5월, 3.64%)를 상회한다. 이는 영국은 고물가가 지속되는 반면 미국의 물가 수준은 시장 예상보다 소폭 하회하면서 물가 우려가 다소 완화되었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게다가 지난 5월 영란은행 발표에 따르면, 4분기 영국의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5.1%로 이전(3.9%)보다 상향돼 미국보다 물가가 빠르게 상승 중이다.
반대로 성장 전망에서는 영국이 우세하다. 영국 경제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서비스 산업이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양호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IMF와 영란은행이 2023년 영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마이너스에서 0.3-4% 수준으로 상향시킨 것도 이 때문이다. 반면 미국은 SVB 파산 등 경제불안 요인이 가중돼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되고 민간부문 신용 공급이 위축되는 등 불안정한 성장 전망을 보였다.
이처럼 영국은 경제가 성장할 것으로 예견되나 고물가가 지속되고 있어 금리 상승이 불가피한 반면, 미국은 경제가 주춤하는 동시에 물가는 다소 안정되고 있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기대의 차이가 미-영간 금리 역전현상을 발생시켰다.
고생 끝에 낙, 드러나는 긴축재정의 효과
2022년 11월 리시 수낙 내각은 전임 리즈 트러스 총리의 대규모 감세안을 철폐하고 재정적자 축소를 위한 재정전망보고서(Autumn Statement)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서 영국 정부는 에너지회사에 횡재세(Energy Profits Levy, EPL)를 부과하고 최고소득세율 적용 대상을 확대하는 등 세수를 증가시켜 재정건전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약 6개월이 지난 지금, 영국의 경제상황 변화, 정부 예산안, 영란은행 기준금리 전망 등을 종합한 결과 재정 건전성이 상당부분 호전된 것으로 평가된다. 당초 예상보다 경제가 성장했고 에너지 가격이 안정화되면서 정부의 보조금 지출 부담이 크게 경감됐다. 영국 예산책임청(OBR)에 따르면, 영국 정부부채비율은 2025년 정점에 도달한 후 점차 하향해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재정전망 보고서 주요 내용 요약>
에너지 부문 |
- 2023.4월, 연평균 가계 에너지 상한 조정(£2500→£3000) (단, 의료적 목적으로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 등 소외계층 구제 방안 마련 예정) - 2023년, 에너지회사 이익의 45%에 달하는 횡재세(Energy Profits Levy, EPL) 임시 부과 및 2028년 3월까지 전기·가스 업체 횡재세 10% 추가 부과 (25%→35%) |
생활 부문 |
- 2023년, 사회취약계층 £900, 연금수령자 £300, 장애인 £150 생활지원금 지급 - 2023.4월, 사회취약계층 지원금 인플레이션율에 맞춰 조정 예정 |
기업 부문 |
- £40b 규모의 에너지 기업 유동성 지원 제도 도입 - 셰일가스 생산을 위한 수압 파쇄 허용, 북해유전 채굴면허를 확대 보급하여 원유 및 가스 생산 추진 등 생산 규제 완화 |
세금 부문 |
- 2023년 4월 6일부, 최고소득세율(45%) 적용 대상 확대(연 £150,000→£125,000), 과세구간 고정 기간 연장 (기존 2026년→2028년 4월까지 고정) - 배당소득에 대한 비과세 수당 감소[기존 £2,000→£1,000(’23.4)→£500(’24.4)] - 양도소득세 비과세액 감소(기존 £12,300→£6,000(’23.4)→£3,000) - 온라인 판매세(Online Sales Tax, OST) 도입 철폐 |
의료 부문 |
- 향후 2년간 NHS 예산 각 £3.3b(한화 약 5조원) 증액 |
방위 부문 |
- GDP의 3%(최소 2%) 방위산업 지출 검토 |
[자료: GOV.uk]
영국의 경제 성장, 노동인구 확보가 핵심
여러 방면에서 긍정적인 신호가 나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 영국이 경제를 완벽히 회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노동시장 불균형이 해소돼야 한다. 현재 영국 경제가 나아가는 길목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은 바로 고용시장, 그중에서도 노동인구 부족이다.
노동인구가 부족해진 가장 큰 이유는 브렉시트 이후 EU 지역 해외노동자의 감소다. 과거 영국은 인접국으로부터 많은 노동인구가 들어와 탄탄한 고용시장을 자랑했다. 그러나 브렉시트 이후 이들의 유입이 어려워지면서 인력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졌다. 게다가 팬데믹 이후 비경제활동인구가 크게 늘어난 것도 인력난에 한 몫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조기은퇴자, 학업 인구, 장기요양 인구 등을 포함한다.
영국 정부는 인력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3월 비경제활동인구의 고용시장 재진입을 중점 추진과제로 선정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무상보육, 장기요양 보조금 지급 심사 강화 등 다양한 정책을 발표했다. 해당 정책으로 약 5만명의 노동령이 고용시장으로 진입할 것이 예상되나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상당시간 걸릴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수요 과다와 더불어 인플레이션까지 닥치면서 명목임금 또한 자연스럽게 상승하고 있다. 민간부문 임금 상승은 공공, 민간부문 일자리 간 임금 격차를 심화시켜 잦은 공공부문 파업으로 이어지고 있다.
시사점
에너지 위기가 완화되고 재정 건전성이 회복되면서 영국 경제에 볕이 들고 있다. 2023년 초 KOTRA 런던 무역관에서 발표한 영국 경제전망 보고서는 2024년 영국의 마이너스 성장을 예견했으나 지금과 같은 상황이 이어진다면 2024년 경제 성장과 함께 빠른 시기 내 팬데믹 이전 수준의 경제 규모를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GOV.uk, BBC, ofgem, BoE, The Guardians, IMF, 한국은행, KOTRA 런던 무역관 자료 종합
원문링크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70&pNttSn=20329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