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G, IoT, 인공지능 등 스마트 기술 접목한 스마트 욕실(卫浴) 진화 중 -
- 소비수준 향상, 도시화 정책 등 시장 확대에 트렌디한 기능, 디자인으로 대응 필요 -
최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이 결합된 “욕실(卫浴)* 스마트화”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지난해 IFA(국제가전박람회)와 CES(세계가전전시회) 등 주요 가전제품 국제 전시회에서 다수 글로벌 기업들이 스마트 욕실(卫浴) 관련 제품을 대거 선보였다. 그 중에서도 하이얼(海尔) 등 중국 브랜드는 스마트 변기, 스마트 거울, 스마트 욕조 등의 혁신 제품과 상호 연동 시스템을 통해 미래 화장실·욕실의 모습을 완벽히 구현하며 큰 이목을 끌었다. 중국의 욕실(卫浴) 산업이 도시화 정책, 화장실 개혁, 4차 산업 발전 등 외적 환경 변화와 관련 기업들의 지속적인 기술혁신으로 본격적인 성장 단계를 맞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 욕실(卫浴) : 중국에서는 화장실(卫生间)과 욕실(浴室)을 포괄하는 의미로 ‘위욕(卫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동 게시글에서는 편의상 ‘욕실(卫浴)’로 통일 표기
중국 욕실(卫浴) 산업 발전 현황
중국의 욕실(卫浴) 관련 산업은 신 주택 건설, 농촌 개혁 정책 등 중국 정부의 도시화 정책의 일환으로 화장실 보급 관련 개혁이 이루어지며 동반 성장하였다.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에 따르면 중국 정부에서는 <전국 화장실 건설관리 3개년 행동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신축 공공 화장실을 4.7만개 이상 건설하고 1.7만개를 리모델링할 계획을 밝혔으며 화장실 혁명에 따른 잠재 시장 확대 건수를 총 1174만 건으로 추산했다. 또한 주택 리모델링 인테리어 건 수는 2018년 1404.1만 건이었으며 2019년 1575만 건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욕실(卫浴) 인테리어 변혁에 대한 수요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5-2020년 중국 욕실(卫浴) 인테리어 건 수 및 증감 예측치
(단위 : 만 건, %)
자료 :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최근 중국의 욕실(卫浴) 인테리어는 기존 형태와는 다른 새로운 방식인 일체형 조립식(Unit Bathroom, 整体卫浴)의 설치 방법이 보급되고 있다. 욕조, 변기, 세면대 등을 하나의 배수 시스템으로 연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인테리어 방식으로 설치와 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전첨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발표에 따르면 중국 일체형 욕실(卫浴) 시장 규모는 2016년도 12.15억 위안에 불과하였으나 2018년도 47.23억 위안으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2020년도에는 126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된다. 도시화와 욕실(卫浴)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전환이 인테리어 산업의 선진화를 가져왔고,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현대식 인테리어의 도입을 가속화한 것이다. 또한 일체형 욕실(卫浴) 인테리어는 통합으로 운영되는 스마트 욕실(卫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전 단계로도 볼 수 있어 잠재시장 확보에도 용이하다.
2016-2021년 중국 일체형 욕실(卫浴) 시장 규모 및 예측
(단위 : 억 위안)
자료 : 전첨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또한 일체형 욕실(卫浴) 인테리어는 일반 주택뿐만 아니라 숙박업소 등 대형 주거 시설에도 설치되어 다양한 주거시장 공략이 가능하다. 주로 일체형 욕실(卫浴) 인테리어가 적용되는 곳은 저가형 호텔(经济型酒店)로 주택 시장보다 시장규모가 크며 수요 또한 매우 높다. 2018년 기준 주택의 잠재시장이 11.46억 위안 수준이나 저가형 호텔의 잠재시장은 29.95억 위안으로, 2025년에는 142.89억 위안까지 증가하며 주택 시장 규모를 훨씬 앞지를 것으로 예상된다.
2017-2025년 중국 일체형 일체형 욕실(卫浴) 적용 주택 및 호텔 잠재시장
(단위 : 억 위안)
자료 : 화경정보망(华经情报网)
중국 스마트 욕실(卫浴) 최근 트렌드
중국의 스마트 욕실(卫浴)의 개념은 2015년도에 부상한 이후 지속적으로 주요 가전 브랜드의 주요 컨셉으로 자리 잡아 왔다. 스마트 욕실(卫浴)의 핵심은 IoT와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동 제어, 안면인식, 유도, 터치 등의 기능이 통합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에 있다. 대표적인 예로 빅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목욕 패턴 정보를 수집하여 정해진 시간에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제어 기능이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수질을 관리하고 자동 환기를 통해 온도 습도를 관리하는 등 위생관리 방면으로도 다양한 기능들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다.
또한 최근에는 엔터테인먼트가 접목된 제품이 잇달아 출시되면서 욕실이 단순한 목욕 공간이 아닌 문화 향유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블루투스 스피커가 장착된 샤워기로 언제든 음악을 즐길 수 있으며 스마트 욕조는 오존 살균 가능, 안마기능, 탈취 기능이 있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스마트 거울에는 뉴스, 날씨와 각종 엔터테인먼트 시청이 가능한 영상과 음향이 재생되며 그날의 피부상태 분석 등 건강관리 기능까지 더해져 많은 소비자들로부터 각광을 받고 있다.
스마트 욕실 구성
자료 : 하이얼(海尔)
스마트 욕실(卫浴) 용품은 3~4선 도시의 확대에 따라 소비자 수요가 커지고 있어 거대한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보고망(中国报告网)에 따르면 2018년 중국의 도시화율은 59.8%이며 2020년도에 60%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했다. 도시화에 따라 신규 주택이 건설이 확대되고 있으며 80년대, 90년대 이후 출생세대가 주요 소비자로 부상하면서 스마트 홈 트렌드를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양상이 나타날 전망이다. 중국 가정 중 10%에만 스마트 욕실(卫浴)이 보급되어도 전국 수요량이 5,282만 건 이상이 될 정도로 큰 폭의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중국 스마트 욕실(卫浴) 산업 경쟁동향 및 주요 브랜드
중국 욕실(卫浴) 산업은 다양한 외국 브랜드와 주요 로컬 브랜드가 경쟁하고 있다.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에 따르면 2017년도 1~2월 기간 집계된 중국 욕실(卫浴) 산업의 외자 투자 비중은 91.6%, 내자 투자 비중은 8.4%로 외국 자본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았다. 하지만 2019년도 외자 투자 비율이 79.7%로 하락하고 내자 투자 비중이 20.3%로 확대, 로컬 브랜드의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다.
2017-2019년 중국 욕실(卫浴) 산업 내자 외자 투자 비중
(단위 : %)
자료 :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2018년도 기준 브랜드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상위 5개 기업 점유율이 45.6%로 주요 브랜드가 독점하기보다는 다수의 브랜드들의 경쟁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보인다. Kohler(미국), Toto(일본) 등의 주요 외국 브랜드는 90년대 중국 시장에 진입하여 우수한 디자인과 성능을 인정받으며 프리미엄 시장을 구성하고 있으며 호텔, 프리미엄 아파트 등의 숙박시설 뿐만 아니라 최근 신흥 도시 주택 시장도 공략하고 있다. 하이얼(海尔) 등 글로벌 브랜드를 제외한 로컬 브랜드인 Hegeii(恒洁)、Arrow(箭牌), Monarch(帝王) 또한 자체 브랜드 개발과 보급을 통해 인지도를 확대하는 추세로, 고급 및 중저가 시장 모두에 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8년 중국 욕실(卫浴) 산업 브랜드 점유율 (단위 : %)
자료 :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기존 욕실 브랜드들이 스마트 욕실(卫浴) 용품을 출시하는 추세로, 지속적인 혁신 발전을 추진하고 있는 Haier(海尔), Kohler(科勒), Midea(美的) 등이 대표적이다. 중국위욕망(中华卫浴网)에 따르면 생산성이 낮은 중소기업은 원자재 가격 상승, 기업 경영 악화, 제품 단일화에 따른 혁신 실패 등으로 스마트 욕실(卫浴) 산업에서 이탈한 경우가 다수 있다. 또한 2018년도부터 일체형 조립식 인테리어의 확장으로, 욕실 설계, 제품 설치, 애프터서비스까지 이르는 다양한 영역을 포괄해야 하므로 일반 위생도기 제조 기업이 스마트 욕실(卫浴) 산업 체인에 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실제로, 아직 주요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스마트 기술이 좌변기에 한정하여 적용되는 상황으로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 연구개발 및 주요 IT 기업과의 협력이 주요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주요 스마트 욕실(卫浴) 관련 브랜드
브랜드 명 |
국가 |
브랜드 소개 |
주요제품 사진 |
Haier(海尔) |
중국 |
- 칭다오에 본사를 둔 가전제품 전문 제조기업으로 최근 스마트 홈 시나리오 개발로 글로벌 시장점유율 상승, 2019년 매출 9% 성장하는 등 업계 선두 유지 - 2019년도 IFA(국제가전박람회에서 스마트 욕실(卫浴) 부문 혁신성과상을 수상 - 5G, IoT 기술이 적용된 에코시스템 구축하여 스마트 홈 분야 혁신 확대 추진 |
|
Kohler(科勒) |
미국 |
- 100년 넘는 역사를 가진 미국의 주방용품, 욕실용품 브랜드로 2002년에 상하이에 아시아태평양 본부를 설립, 중국 내 활발한 시장 확대 추진 - 2018년도 CES에서 아마존의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거울, 스마트 샤워 시스템 등 스마트 욕실(卫浴) 제품 발표로 주목, 이후 관련 제품 상용화하여 출시 |
|
Toto(东陶) |
일본 |
- 일본의 글로벌 위생도기 기업으로 세면대, 욕조, 변기 등이 주 품목이며 2013년 중국 위생도기 10대 브랜드로 선정 - 스마트 좌변기가 주 제품으로, 깔끔하고 모던한 디자인과 절수 효과를 높이는 기술을 강점으로 고급형 시장 공략, 2020년도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
|
Hegeii(恒洁) |
중국 |
- 1998년 광동성에서 설립된 목욕 제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서비를 제공하는 전문 브랜드로 국가급 특허 400건 및 중국 전역에 3,000여개 서비스망 보유 - 텐센트, 우거기술(优居科技)등 주요중국 IT 브랜드와 협력하여 스마트 욕실(卫浴) 제품 개발, 최근 스마트 더블Q 라인의 스마트 변기 제품을 출시하여 선호도 상승 |
|
Arrow(箭牌) |
중국 |
- 1994년 설립된 스마트홈 생활 솔루션을 제공하는 브랜드로, 각종 위생도기와 스마트 욕실(卫浴) 제품 생산 - 중국 전역 5,000여개 판매점 보유하고 있으며 온라인으로 전국 도시의 98%에 보급하고 있어 높은 국내 인지도를 자랑 |
|
Hansgrohe(汉斯格雅) |
독일 |
- 독일의 주방용품 브랜드로 욕실 제품 전문 브랜드 보유, 전 세계 34개 자회사를 운영 - 에코 스마트 절수 기능과 공기주입 기능이 있는 스마트 샤워기가 대표적인 인기 제품 |
|
자료 : 중결망(中洁网), 기업별 홈페이지
스마트 욕실(卫浴) 산업체인 및 유통 현황
스마트 욕실(卫浴) 제품은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단계로, 건설자재 시장, 가전제품 및 인테리어 전문 매장, 백화점,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최종 수요처는 신규 인테리어와 리모델링 시장이며 최근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인테리어를 진행하며 구매를 하는 경우도 있어 온라인 판매가 활발해지고 있다. 온라인으로 가격 비교를 진행하고 오프라인 체험을 통해 현장에서 거래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소비형태도 선호되고 있다.
중국 스마트 욕실(卫浴) 용품 시장 유통경로
자료 : 중국보고망(中国报告网)
브랜드 대부분은 대리상을 통하여 유통하고 있는데, 개별 브랜드의 마케팅, 유통, 판매 과정을 전담하고 풍부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대리상 유통은 가장 선호되는 유통방식이다. 또한 이 경우 제조 기업이 별도 판매 채널 관리를 위한 비용을 투입할 필요가 없이 기술 수준 향상에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조 브랜드가 직접 판매채널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제조와 판매에서부터 사후 관리까지 통합적인 직접 관리가 가능해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더욱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최근 소비자들이 전문 인테리어 회사, 시공 기업, 건축자재 매장 등을 직접 방문하여 꼼꼼하게 제품을 선택하고 있어 전문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제조 브랜드의 자체 마케팅 전략이 효과를 얻고 있다. 오프라인 전시 및 체험을 통해서도 스마트 욕실(卫浴) 용품 홍보 및 판매를 진행하여 고객의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중국 욕실(卫浴) 산업 수출입 동향 및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확대 전망
중국오금주방위생(中国五金与厨卫)에 따르면 2018년도 중국 욕실(卫浴) 산업의 수출입 총액은 174.7억 달러로 전년 대비 0.4% 증가하였으며 그 중 수출이 165.81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0.05% 증가, 수입이 8.95억 달러로 전년대비 7.32% 증가하였다. 수입 총액이 증가한 제품은 안마기능이 있는 욕조, 샤워부스 장치, 스테인리스 샤워기로, 2017년도 대비 평균적으로 25% 이상 증가하였으며 구리 재질 샤워기, 일반 욕조와 변기 시트 등은 수입액이 하락하였다. 새로운 기능과 소재가 반영된 제품의 수입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8년도 중국 욕실(卫浴) 용품 수입 변화 추세
(단위 : 위안, %)
자료 : 중국오금주방위생(中国五金与厨卫)
가장 대표적인 욕실 용품인 위생도기(HS Code 6910.10)를 살펴보면, 최근 3년간 수입과 수출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주요 수입 국가는 태국, 독일, 베트남, 일본 순으로 주요 브랜드 보유국가(독일, 일본) 및 주요 생산기지(태국, 베트남)에 집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로컬 브랜드의 성장과 중국 OEM, ODM 생산을 통해 원가를 낮추는 해외 브랜드가 집중되면서 수출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수입과 수출 두 방면 모두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중국 위생도기 시장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중국 위생도기(HS CODE 6910.10) 최근 3년간 수출입규모
(단위: 천 달러, %)
연도 |
수입액(천 달러) |
증감률(%) |
수출액(천 달러) |
증감률(%) |
2017 |
65,452 |
70.1 |
4,734,990 |
35.4 |
2018 |
96,672 |
47.7 |
5,554,545 |
17.3 |
2019 |
104,927 |
8.5 |
7,945,746 |
43 |
자료 : 한국무역협회(KITA) (2020.05.21.)
또한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발달로 해외 브랜드 스마트 욕실(卫浴) 용품의 온라인 판매가 탄력을 받고 있다. 우과망(雨果网)에 따르면 2018년도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이용자 수는 전년 대비 34% 증가한 8850만 명이었으며 가장 많이 거래된 10대 제품 중 디지털 가전제품이 상위에 위치하였다. 해외 브랜드의 스마트 가전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층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접근성 향상으로 신규 소비자가 유입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시장에 진입하는 글로벌 브랜드 수가 확대되고 경쟁이 심화되면서 브랜드 파워를 갖추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생활수준 향상 및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선호도 상승으로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구매 방식을 선택하는 소비자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시사점 및 전망
중국의 소비자 생활수준 향상과 인식변화와 빠르게 발전하는 스마트 기술이 더해지면서 욕실(卫浴) 산업의 진화는 계속 될 것으로 예측된다. 여기에 중국 정부의 화장실 개혁, 도시화 정책 등이 뒷받침 되면서 관련시장도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체형 인테리어 전환 등 욕실(卫浴) 산업의 선진화와 스마트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어 선제적으로 트렌드를 파악, 진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겠다.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시장 수요를 반영한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제품을 출시하고 지속적인 혁신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스마트 욕실(卫浴)은 프리미엄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는 만큼 기능성과 디자인을 모두 갖춘 인체공학적 디자인의 제품 개발 등 차별화된 상품 가치가 확실히 나타나야 한다. 또한 시장진출 방식으로 현지 생산을 통해 원가 절감을 노릴 수 있는 OEM, ODM 등 다양한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성이 있다. 스마트 좌변기 전문 유통 바이어 Q사에 따르면 “중국산 로컬브랜드가 최근 외국 브랜드를 추격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경쟁력이 부족하며 주요 해외 브랜드는 국내에 생산기지와 대리점을 통해 활발히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며 해외 브랜드의 성장 가능성을 강조했다.
또한 스마트 욕실(卫浴) 용품은 전자제품, 위생도기, 사물인터넷 간의 융합이 중요한 만큼 IT 산업과의 협력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합 시스템과의 연동, 사후관리 서비스까지 종합적인 서비스 제공이 병행된다면 스마트 홈의 핵심 분야로 성장, 관련 산업체인의 확대에도 기여 할 것이다. 여기에 에너지 절약, 신소재 등의 친환경적 가치를 더 할 수 있다면 30~40대 핵심 소비층을 더욱 쉽게 공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 화경정보망(华经情报网), 전첨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중국보고망(中国报告网),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중결망(中洁网), 중국위욕망(中华卫浴网), 중국오금주방위생(中国五金与厨卫), 우과망(雨果网), 한국무역협회(KITA) 및 KOTRA 톈진무역관 의견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