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2020-06-29 00:00:00
0 8


- 디저트 종류의 다양화, 고급화 추세 지속-

- 테이크아웃 중심에서 매장 취식 추세로 -

 

 

 

치열한 경쟁을 보이고 있는 중국 디저트 시장은 기존의 소수 제품의 전문 판매방식에서 다양한 종류의 디저트를 판매하는 다양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업계는 소비자의 소비 습관에 맞춰 제품, 포장, 디자인 등의 고급화 및 개성화 전략을 추진하며 중국 디저트 시장의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는 소비자로부터 큰 환영을 받고 있으며, 특히 주 고객인 20~30대를 겨냥한 화려한 제품 디자인과 매장 인테리어를 통해 SNS 인증 욕구를 불러 일으키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온라인 홍보 효과까지 덤으로 누리고 있다.

 

시장 특성 및 규모

 

중국 디저트 시장은 크게 베이커리와 현장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차(茶) 등의 음료(이하 음료업) 두가지 분류로 나뉘어져 있다. 베이커리의 경우 여러가지 종류의 케이크 및 빵, 중국식 디저트 등이 있으며, 현장 제조 음료의 경우 타피오카펄이 들어간 밀크티가 대표적이나 메뉴가 다양화되는 요즘에는 다양한 종류의 차, 과일주스 등이 더욱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커피의 경우 일반적으로 메뉴에는 존재하나 판매량이 크지 않다는 점이 한국과의 큰 차이로 볼 수 있다.

 

중국 베이커리 관련 제품(2013-2019)

(단위 : 억 위안)

 

자료 :  www.chyxx.com

 

2019년 중국의 베이커리 관련 제품의 매출액은 2,317.13억 위안에 달하며 전년동기대비 10.93%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이러한 성장세가 지속될 경우 2024년 판매액은 3,80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음료시장의 경우 2019년 판매액이 약 1,209억 위안을 기록하는 한편 관련 브랜드 종류 역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내 매장 수 역시 201725만개에서 201950만개로 2년간 두 배 가량 증가하며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 음료 관련 매장 수(2016-2019)

(단위 : 만개)

 

자료 :  www.chyxx.com

 

2019년 중국 요식업 중 디저트의 비중

(단위 : 억 위안,  %)

 

자료 :  www.chyxx.com, Meituan, KOTRA난징무역관 종합

 

이러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는 현재 중국 전체 요식업계에서 디저트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베이커리류는 4.93%, 음료류는 2.6%로 여전히 적기 때문이다. 현재의 성장 속도로 미루어 볼 때 디저트 류의 비중은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그 속도 역시 굉장히 빠를 것으로 보인다.

 

변화하는 소비패턴, 디저트 업계도 변화한다

 

기존 중국 디저트 업계는 보통 단일 제품의 전문 매장 위주로 브랜드마다 메뉴 구성, 포장 디자인 등에 있어 큰 차이점이 없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러한 제품 군의 단순함은 현재 특별함과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며 새로운 변화를 시도한 신규 브랜드들에 그 주도권을 내주고 있다.

 

중국 디저트 업계 대표 브랜드 매장 수 변화(2017 VS 2019)

(단위 : 위안)

사진

브랜드

설립 연도

가격

대표 제품

2017 매장 수

2019 매장 수


전통적 디저트 브랜드

 

Christine

1993

8-20

중국식 디저트,

648

476

 

GANSO

1993

10-30

중국식 디저트,

케이크

584

620



신규 디저트 브랜드

 

MANJI DESSERT

2006

18-60

냉동 디저트 ,

케이크 등

90

500

 

HEYTEA

2012


35-50

과일티,밀크티,

냉동 디저트 등

80

390

 

LELECHA

2016

45-55

밀크티, 수제 빵 등

10

120

자료 : KOTRA난징무역관 종합

 

기존 중국 디저트 업계의 대표 브랜드 중 하나인 Christine(克莉丝汀)은 중국 베이커리 브랜드 중 유일하게 천 개에 가까운 프랜차이즈 매장을 보유한 기업으로, 명실상부 업계의 선두주자였다. 그러나 계속해서 변화하는 소비패턴을 감지하지 못하며 2019년 경쟁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Christine 연 수입 및 순 손실 변화 (2013-2019)

(단위 : 억 위안)

 

자료 : Christine

 

2013년 Christine1,052개의 매장과 13.8억 위안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기업이었으나 7년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며 2019년 매장은 476, 영업이익은 5.49 억 위안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GANSO의 연간 영업이익 및 순이익 변화(2011-2019

(단위 : 억 위안)

 

자료 : GANSO

 

GANSO(元祖)는 Christine과 같은 해 설립된 중국의 고급 디저트 브랜드로 설립 이후 꾸준히 그 영업이익을 늘려가고 있다. 그러나 그 속내를 살펴보면 2019년 기준 케이크 류 매출액이 5.88억 위안으로 2018년의 6.19억 위안과 비교하면 전년동기대비 4.95% 감소하였으며, 간식 류 상품 판매량의 경우 20192831.5만개로 전년 동기대비 13.23% 감소하였고, 2011년부터 2019년까지의 영업이익 대비 순이익은 6.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뉴의 다양화, 고급화 추세

 

이렇듯 전통적인 디저트 브랜드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을 때 새로운 제품 구성을 통해 선택의 폭을 넓히는 한편, 현대적인 마케팅 방식으로 무장한 브랜드들이 등장하였다. 특히 음료 업계의 경우 기존의 밀크티 위주의 메뉴에서 차()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음료와 함께 케이크, 빵 종류의 베이커리 디저트를 판매하는 다양화 전략을 통해 소비자들을 사로잡았으며, 이러한 추세에 시장 규모 역시 급상승하며 2018년 기준 중국 음료 매장의 점포 수가 약 80% 가량 증가하는 성장세를 보였다.

 

이러한 중국 내 음료 브랜드들은 메뉴를 다양화 하는 과정에서 고급화 전략을 함께 구사하며 음료들의 품질을 높였으며, 이 과정에서 음료 포장 뿐만 아니라 매장의 인테리어 역시 심미적 요소를 가미하여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 잡았다. 이러한 고급화 전략을 통해 자연스럽게 기존 브랜드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냉장 식품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 및 더 좋은 원재료 사용에 따른 비용 상승 부분을 감당할 수 있게 해주는 원동력이 되었다. 또한 높아진 음료 가격은 역설적으로 최근의 소비 패턴인 '작은 사치', '소소한 사치'의 소비추세와 맞물려 성공적인 마케팅 요소가 되었다.


 러러차(乐乐茶) 매장

 

 자료 : 러러차(乐乐茶)


최근 인기를 끌고있는 대표적인 음료 브랜드인 러러차(乐乐茶)는 '유럽식 소프트 브래드 +과일치즈밀크티'라는 신선한 조합으로 20199.6억 위안의 영업이익을 기록하였다. 러러차의 소프트 브래드의 경우 23종이 넘는 다양한 종류 및 예쁜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으며, 음료의 경우 평일 기준 약 1,600, 주말 평균 약 2,500잔을 판매하고 있다. 이는 월 기준 160~180만 위안의 매출액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음료업 브랜드 외 베이커리 브랜드에서도 이러한 새로운 조합을 통해 꾸준히 매출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도 있다. 계절성 음료 및 디저트를 통해 기존 제품과의 조합을 완성시켜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은 85℃가 그 주인공이다.

 

85Daily Cafe

 

자료 : 85Daily Cafe

 

85℃는 중국에서 최초로 '베이커리+음료' 디저트 조합을 내세운 브랜드로, 이러한 마케팅 방식은 85℃가 여전히 중국 내 가장 인기있는 베이커리 브랜드로 굳게 자리매김하게 한 원동력이다. 현재 180여종의 메뉴를 가지고 있는 85℃ 는 전국에 600개가 넘는 매장을 운영 중이며, 2019년에는 20억 위안이 넘는 영업이익을 거두기도 하였다.

 

테이크아웃에서 매장 내 취식으로

 

202분기 중국 소비자의 디저트 구매 방식 및 구매 대기시간

자료 : iimedia Research

 

2020년 2분기 중국 소비자들의 디저트 구매방식을 살펴보면 64%가 넘는 소비자가 현장에서 구매한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현장 구매에서 현장 취식으로 이어지는 중국의 특성 상 전체의 절반이 넘는 소비자가 현장 취식을 선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눈 여겨 볼 점은 구매 대기시간으로, 전체의 30%가 넘는 소비자가 20~30분 가량의 대기시간을 감수한다는 점이다.

 

소비자들이 이러한 대기시간을 감수하는 데에는 단순히 메뉴의 맛 뿐만이 아닌 다른 이유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카페화된 음료업 브랜드의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현재 이러한 디저트 류 식품의 주된 소비군인 '지우링허우 세대(90년생 세대)'는 단순히 음료를 소비한다기보다는 매장의 디자인 및 분위기까지도 소비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에서 예쁜 카페를 찾아다니는 SNS 사용자들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다. 그 중 이러한 소비패턴을 가장 잘 포착하여 영업에 반영하고 있는 브랜드는 시차(HEYTEA, 喜茶)이다.

 

시차 매장 전경

 

자료 : HEYTEA

 

시차는 이러한 미감을 만족시키는 인테리어 및 참신한 종류의 디저트 판매에 성공하여 2019년 35 억 위안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하였으며, 그 기간 동안 베이징, 상하이 등 1선 도시를 포함하여 총 220개의 신규 매장을 오픈 하는 등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사점 및 전망

 

중국 소비자들은 디저트 류 브랜드에 대해 충성도가 낮으며, 새로운 메뉴 및 조합에 큰 호기심을 보이는 소비패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을 잡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메뉴 개발과 더불어 특색 있는 조합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기존 배달 혹은 테이크아웃이 대부분이었던 음료업의 경우, 매장의 카페화와 함께 매장 취식의 트렌드로 바뀌고 있으며, SNS를 잘 활용하는 20~30대가 주소비 계층인 디저트류 특성상 매장 및 품목 자체의 디자인 역시 소비자 선택의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다.

 

커피보다 차(茶)류를 즐기는 중국 소비자들의 특성상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유행을 따르는 젊은 세대들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현재 인기를 끌고있는 브랜드들 역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대응해야 할 것이다.

 


자료 : HEYTEA, iimedia Research, 러러차(乐乐茶), 85Daily Cafe, GANSO, Christine, www.chyxx.com, Meituan, KOTRA난징무역관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