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한컵
내 강의실
내 멘토링
포인트
설정
로그아웃
나가기
저장안함
창업정보
아이템 & 프로젝트
팀
피플
창업교육
창업툴
게시판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닫기
로그인
구독 모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회원 구독 기능은 구독 모듈이 설치후 이용 가능합니다.
확인
자세히
Kotra
작성글
댓글
추천한 글
[오만] PPP 기반 재활센터 ‘Al Taafi Suhar Centre’ 개발 계약체결
방금
ㅁ 프로젝트 개요 ㅇ 운영 주체: Al Salwa Care and Health Services LLC (Neem Projects(오만) + Solace Asia(말레이시아) JV) ㅇ 프로젝트 방식: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ㅇ 역할: 설계, 건설, 금융, 운영 및 유지보수(Design, Build, Finance, Operation and Maintenance, DBFOM) ㅁ 프로젝트 특징 ㅇ 오만 최초의 사회 부문 PPP 사업이자 약물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세계 최초의 PPP 프로젝트 ㅇ 입원·외래·사후관리 서비스 포함 ㅇ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기여 - SDG3: 모든 연령층의 건강한 삶 보장 및 복지 증진 - SDG17: 목표 달성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 원문기사링크: https://www.omanobserver.om/article/1167351/business/omani-malaysian-jv-wins-suhar-drug-rehab-ppp-project 원문 출처 : 코트라
[오만] 오만 영해 통과 선박의 자동식별장치(AIS) 상시 작동 의무화 조치 시행
방금
ㅁ 주요 내용 ㅇ 오만 교통·통신·정보기술부(MOTCIT), 선박 자동식별장치(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AIS) 상시 운영 의무화 ㅇ 대상: 상업용 선박 및 전통 목선(dhow) 포함, 오만 영해를 통과하는 모든 선박 ㅇ 불이행 시 법적제재 경고 * 원문기사링크: https://www.omanobserver.om/article/1167353/business/automatic-ship-identification-mandatory-in-omans-waters 원문 출처 : 코트라
[크로아티아] OECD 가입 지연, 핵심 개혁과 도전 과제 직면
방금
□ [크로아티아] OECD 가입 지연, 핵심 개혁과 도전 과제 직면 ㅇ OECD 가입 과정, 무역위원회 투표 연기로 지연 - 미국-EU 간 관세 갈등으로 인해 절차가 지연된 것으로 추정 - 정부 측은 "기술적인 연기"라고 해명하며, 미국과의 양자 관계와 무관하다고 발표 - OECD 가입 협의 25개 위원회 중 19개 위원회와 논의를 완료 - 환경위원회 및 무역위원회의 공식 의견 채택만 남은 상태 ㅇ OECD 가입 경쟁국 현황 - 현재 OECD 가입 협상을 진행 중인 국가는 크로아티아 외 6개국 - EU 회원국: 불가리아, 루마니아 - 남미 국가: 브라질, 아르헨티나, 페루 - 아시아 국가: 인도네시아, 태국 - 정부는 크로아티아가 이들 국가 중 가입 조건 충족 면에서 가장 앞서 있다고 주장 ㅇ 개혁 추진 필요성 대두 - 2026년까지 가입 완료 목표 유지, 2025년 9월 국가 평가 예정 - 선거 일정으로 인해 개혁 속도가 둔화된 점이 주요 문제 ㅇ 핵심 개혁 과제 - 국유기업 운영 효율성 및 투명성 확보를 위한 법안 마련 - 급여 체계 개편 및 배당금 지급 전략 수립 - 국유기업 성과 지표(KPI) 설정을 통한 경영 관리 강화 - 국유기업 관리 구조 전문화, 이사회 구성의 독립성 증대 - 감독 이사회 멤버 선발 시 공개 채용 또는 전문 헤드헌팅 도입 추진 ㅇ OECD 가입 시 기대 효과 - 경제 발전 및 국제 통합 촉진 - OECD 회원국과 경험 및 모범 사례 공유 기회 확보 - 글로벌 경제 및 사회 문제 논의 참여 가능 - 외국인 투자 유치 및 경제 안정성 제고 - OECD 가입으로 시장 경제 원칙 준수 및 투자 신뢰도 증가 - 기업 거버넌스, 금융시장, 투명성 기준 강화로 기업 경쟁력 향상 - 국제 무역 및 투자 환경 개선 - 글로벌 표준 및 규정 준수로 무역 장벽 완화 및 해외 진출 기회 증가 - 소비자에게 더 나은 품질과 다양한 선택 제공 - 행정 효율성 및 반부패 개혁 촉진 - 정부 및 기업의 투명성 및 책임성을 높여 부패 척결 기대 ㅇ 가입 지연에도 개혁 속도 가속화 필요 - OECD 가입은 크로아티아의 국제적 위상 강화를 위한 중요한 기회 - 공공 행정 개혁 및 반부패 정책이 실질적으로 시행될 경우 가입 가능성 높아질 전망 *기사원문 링크 : OECD Croatia - Delayed entry (2025.03.08) 원문 출처 : 코트라
[크로아티아] 국방부, Leopard 전차 도입 및 국방산업 강화 계획 발표
방금
□ [크로아티아] 국방부, Leopard 전차 도입 및 국방산업 강화 계획 발표 ㅇ 크로아티아, 국방산업 강화 및 탄약 생산 프로젝트 추진 - 장기적인 자급자족을 위한 자체 기술 및 생산 역량 강화 강조 - 소구경 및 대구경 탄약 생산을 위한 프로젝트 개발 중, 두 개의 다른 기업이 참여 - 소구경 탄약 생산을 위한 부지 및 기본 계획 수립 완료 - 대구경(122mm, 155mm) 탄약 생산을 위한 투자자와 협상 진행 중 - 계획된 투자 규모, 고용 인원 및 연간 생산량(수백만 발 규모) 이미 정의됨 ㅇ 크로아티아, NATO 기준에 맞춰 국방예산 증액 - 2025년 국방예산 GDP 대비 2% 수준 도달, NATO 가이드라인 충족 - 향후 NATO가 3~3.5% 수준으로 국방비 증액을 요구할 가능성, 몇 년 내 이 수준에 도달할 계획 - 모든 부문에서 전력 강화를 통해 현대전의 도전에 대비 ㅇ 유럽기금을 활용한 국방산업 투자 확대 - 사이버 방어 시스템, 드론 및 무인기 개발을 포함한 자체 방위 기술 개발 추진 - 해외 기술 도입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기술 개발 및 현대전 기술 적용 계획 -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얻은 경험을 국방 기술 개발에 반영 ㅇ 국내 기업 및 학계와의 협력 강화 - 국내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크로아티아 내 연구기관 및 기업과 협력 - 국방 분야의 혁신 개발을 위해 학계와의 협력이 필수적 ㅇ Leopard 전차 도입으로 동유럽식 무기체계 탈피 - 기존 M-84 전차는 NATO 표준에 맞지 않는 구경 사용 - 독일제 Leopard 전차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현대적인 전차 중 하나, 점진적으로 M-84를 대체할 예정 - 전차 전력 현대화뿐만 아니라 장갑차 추가 도입 및 군 물류 역량 개선도 계획 중 *기사원문 링크 : Anušić: Leopard is one of the most modern tanks in the world, it will replace the eastern ones - Index.hr (2025.03.07) 원문 출처 : 코트라
[크로아티아] 네덜란드 M&A 기업 Marktlink, 자그레브에 첫 사무소 개설
방금
□ [크로아티아] 네덜란드 M&A 기업 Marktlink, 자그레브에 첫 사무소 개설 ㅇ 자그레브 사무소는 Marktlink의 유럽 내 19번째 지점 - 기업 인수·합병(M&A) 및 자금 조달 솔루션 제공 ㅇ 자그레브 사무소 책임자로 Dino Bendeković 선임 - 25년 이상 M&A 및 사모펀드(Private Equity) 분야 경험 보유 - 미국 및 유럽, 특히 CEE(중동유럽) 지역에서 산업, 서비스, 관광, 의료, 유통, ICT, 운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 Boston University Questrom School of Business에서 MBA 취득 - Grant Thornton Northern Adriatic에서 9년간 M&A 책임자 역임 후 Marktlink 합류 ㅇ Marktlink, 아드리아해 지역 M&A 시장 성장 가능성 주목 - 크로아티아 및 아드리아해 지역,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가족 기업 중심 산업 구조 보유 - 서유럽과 동유럽을 연결하는 전략적 위치로 기업 확장 및 투자 유치에 유리한 환경 조성 - 크로아티아 및 아드리아해 지역의 M&A 시장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솔루션 제공 계획 ㅇ 향후 전망 및 기대 효과 - 아드리아해 지역은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에서 매우 매력적인 기회 제공 - M&A를 원하는 지역 기업들에게 전략적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 시장 변화 속에서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것" - 크로아티아 및 주변국 기업들의 M&A 거래 지원 강화 - 유럽 투자자들에게 크로아티아 및 아드리아해 지역의 성장 가능성을 강조 - 지역 내 기업의 확장 및 국제 시장 진출 기회 확대 *기사원문 링크 : Big market entry: Marktlink opens first office in the Adriatic region - Index.hr (2025.03.07) 원문 출처 : 코트라
[브라질] 정부, 주요식료품 수입관세 한시적 철폐
방금
□ 세부내용 ㅇ (배경) - 2024년 브라질 인플레이션율은 중앙은행의 목표인플레이션율 3±1.5% 범위를 넘어 4.9%를 기록하였으며, 2025년에도 5.65%로 빠른 물가 인상이 예상됨 - 2026년 대선에서 재선을 노리고 있는 룰라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작년 12월 35%에서 올해 2월 24%로 빠르게 악화됨 - 이와 같은 상황에서 룰라 대통령은 지지율 회복 및 경제 안정을 위해 각 부처 장관들에게 지속적으로 물가 안정 방안을 강구하도록 지시함 - 주정부에도 기본 생필품에 대한 세금을 철폐할 것을 요청하는 등 적극적인 물가안정 대책을 추진 중임 ㅇ (주요내용) - Geraldo Alckmin 부통령 겸 산업통상서비스부 장관은 6일 필수 식료품 9개에 대해 한시적으로 수입관세를 0%로 조정한다고 발표하였으며, 수일 내로 조치가 실시될 것이라고 밝힘 품목 기존세율 육류 10.8% 커피 9% 옥수수 7.2% 올리브유 9% 해바라기유 9% 정어리 32% 비스킷 16.2% 밀가루(파스타용) 14.4% 설탕 14% - 연방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각 주정부에도 식료품에 부과되는 州세 한시적 철폐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힘 *기사원문 링크 : https://www1.folha.uol.com.br/mercado/2025/03/governo-lula-zera-aliquota-de-importacao-para-carne-cafe-milho-e-outros-produtos.shtml?utm_source=newsletter&utm_medium=email&utm_campaign=newsfolha (2025.03.06) 원문 출처 : 코트라
[파라과이] 2025년 2월, 소고기 수출 최고 실적 기록
방금
□ [파라과이] 2025년 2월, 소고기 수출 최고 실적 기록 (03.06. 5 Dias) ○ 2025년 2월 수출량은 60650톤, 수익은 3억 3900만 달러,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 2021년 이후 매년 2월 평균 4.5% 성장 * 주요 수출국은 칠레, 대만, 미국 순이며, 2024년에는 35만 3017톤의 소고기를 59개국에 수출해 17억 7600만 달러 수익 창출한 바 있음 ○ 2025년 2월, 소 내장 수출량은 11508톤, 수출액은 2000만 달러로 역대 최고 수출 기록 * 기타 육류 수출 중 돼지고기 49.6% 증가, 닭고기 13.5% 증가 *원문 기사 링크: https://www.ultimahora.com/carne-bovina-tuvo-su-mejor-febrero-de-los-ultimos-5-anos 원문 출처 : 코트라
[탄자니아] 탄자니아 실링화 가치 하락 이유
방금
□ 탄자니아 실링화 가치 하락 이유 ㅇ 2024년 말 탄자니아 실링화 강세 이후 2025년 초부터 다시 평가절하되어 2025년 2월말 기준, 달러 대비 실링화 환율은 2,611.786 TZS까지 하락 - 탄자니아 중앙은행(BoT)는 탄자니아 실링화의 평가절하 원인으로 △라마단과 중국 춘절을 앞두고 수입 수요 증가로 인한 미 달러 수요 급증 △ 산사태로 인한 소규모 광산업 위축 △ 연말 성수기 이후 관광업 둔화 및 △농산물 및 광물 수출 감소로 인한 외화 유입 감소를 꼽고 있음 * 2024년 10월 말 달러당 실링화 환율은 2,721.68TZS로 거래되었으며 이후 연말에는 평균 2,394.7558TZS까지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음 기사 원문 링크: https://www.thecitizen.co.tz/tanzania/news/national/why-tanzanian-shilling-is-losing-ground-to-us-dollar-after-brief-rally-4953914 원문 출처 : 코트라
[남아공] 1월 연간 물가상승률 3.2% 기록
방금
ㅇ 식품 및 연료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1월 연간 물가상승률 3.2% 기록, 지난 해 12월 연간 3.0%에서 소폭 상승한 수치 - 식품 및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도 현재 3.5%를 기록, 지난 해 2월 5.0%보다 낮아짐. ㅇ 물가가 중앙은행 목표 범위 3~6%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지만 당지는 금리 인하가 당분간 보류될 가능성 시사 - 반대로 낮은 인플레이션, 전기요금 상승 둔화, 중앙은행 경제 전망 조정 등 3월에 0.25bps 추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의견도 상존 * 자료: https://www.businesslive.co.za/bd/economy/2025-02-26-januarys-consumer-inflation-edges-higher-to-32/#:~:text=Consumer%20price%20index%20is%20in,cautiously%20with%20more%20rate%20cuts&text=SA's%20annual%20consumer%20price%20index,%2C%20consumer%20inflation%20accelerated%200.3%25. 원문 출처 : 코트라
[남아공] VAT 인상 여부에 따른 물가 금리 전망
방금
ㅇ VAT 인상이 소비자와 금리 정책에 미칠 영향을 두고 논란 지속 - 경제학자들은 VAT 인상 시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 경고 ㅇ 2025년 남아공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지만, 글로벌 경제 불안으로 단기적으로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 - 남아공은 지난 1월 0.25%p 인하해 현재 7.5%, 연말까지 50bps 인하 가능성 있음. ㅇ VAT 2%p 인상이 CPI 인플레이션을 약 1%p 증가시키고, GDP 성장률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도 시사 - 정부는 2%p VAT 인상을 철회했지만 0.75%p 인상 가능성은 남아 있으며 1%p 인상만으로도 금리 인상을 초래할 수 있음. ㅇ 한편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목표 범위를 2~5%로 낮추려는 움직임 감지 - 이 또한 추가적인 금리 인상 압박 요인이 될 수 있음. * 자료: https://businesstech.co.za/news/finance/815019/nightmare-for-interest-rates-in-south-africa/ 원문 출처 : 코트라
9
10
11
12
13
이달의 일정
Admin
Members
DEV
K스타트업
창업진흥원
기업마당
회사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