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아티아] OECD 가입 지연, 핵심 개혁과 도전 과제 직면
방금
□ [크로아티아] OECD 가입 지연, 핵심 개혁과 도전 과제 직면 ㅇ OECD 가입 과정, 무역위원회 투표 연기로 지연 - 미국-EU 간 관세 갈등으로 인해 절차가 지연된 것으로 추정 - 정부 측은 "기술적인 연기"라고 해명하며, 미국과의 양자 관계와 무관하다고 발표 - OECD 가입 협의 25개 위원회 중 19개 위원회와 논의를 완료 - 환경위원회 및 무역위원회의 공식 의견 채택만 남은 상태 ㅇ OECD 가입 경쟁국 현황 - 현재 OECD 가입 협상을 진행 중인 국가는 크로아티아 외 6개국 - EU 회원국: 불가리아, 루마니아 - 남미 국가: 브라질, 아르헨티나, 페루 - 아시아 국가: 인도네시아, 태국 - 정부는 크로아티아가 이들 국가 중 가입 조건 충족 면에서 가장 앞서 있다고 주장 ㅇ 개혁 추진 필요성 대두 - 2026년까지 가입 완료 목표 유지, 2025년 9월 국가 평가 예정 - 선거 일정으로 인해 개혁 속도가 둔화된 점이 주요 문제 ㅇ 핵심 개혁 과제 - 국유기업 운영 효율성 및 투명성 확보를 위한 법안 마련 - 급여 체계 개편 및 배당금 지급 전략 수립 - 국유기업 성과 지표(KPI) 설정을 통한 경영 관리 강화 - 국유기업 관리 구조 전문화, 이사회 구성의 독립성 증대 - 감독 이사회 멤버 선발 시 공개 채용 또는 전문 헤드헌팅 도입 추진 ㅇ OECD 가입 시 기대 효과 - 경제 발전 및 국제 통합 촉진 - OECD 회원국과 경험 및 모범 사례 공유 기회 확보 - 글로벌 경제 및 사회 문제 논의 참여 가능 - 외국인 투자 유치 및 경제 안정성 제고 - OECD 가입으로 시장 경제 원칙 준수 및 투자 신뢰도 증가 - 기업 거버넌스, 금융시장, 투명성 기준 강화로 기업 경쟁력 향상 - 국제 무역 및 투자 환경 개선 - 글로벌 표준 및 규정 준수로 무역 장벽 완화 및 해외 진출 기회 증가 - 소비자에게 더 나은 품질과 다양한 선택 제공 - 행정 효율성 및 반부패 개혁 촉진 - 정부 및 기업의 투명성 및 책임성을 높여 부패 척결 기대 ㅇ 가입 지연에도 개혁 속도 가속화 필요 - OECD 가입은 크로아티아의 국제적 위상 강화를 위한 중요한 기회 - 공공 행정 개혁 및 반부패 정책이 실질적으로 시행될 경우 가입 가능성 높아질 전망 *기사원문 링크 : OECD Croatia - Delayed entry (2025.03.08) 원문 출처 : 코트라
[크로아티아] 국방부, Leopard 전차 도입 및 국방산업 강화 계획 발표
방금
□ [크로아티아] 국방부, Leopard 전차 도입 및 국방산업 강화 계획 발표 ㅇ 크로아티아, 국방산업 강화 및 탄약 생산 프로젝트 추진 - 장기적인 자급자족을 위한 자체 기술 및 생산 역량 강화 강조 - 소구경 및 대구경 탄약 생산을 위한 프로젝트 개발 중, 두 개의 다른 기업이 참여 - 소구경 탄약 생산을 위한 부지 및 기본 계획 수립 완료 - 대구경(122mm, 155mm) 탄약 생산을 위한 투자자와 협상 진행 중 - 계획된 투자 규모, 고용 인원 및 연간 생산량(수백만 발 규모) 이미 정의됨 ㅇ 크로아티아, NATO 기준에 맞춰 국방예산 증액 - 2025년 국방예산 GDP 대비 2% 수준 도달, NATO 가이드라인 충족 - 향후 NATO가 3~3.5% 수준으로 국방비 증액을 요구할 가능성, 몇 년 내 이 수준에 도달할 계획 - 모든 부문에서 전력 강화를 통해 현대전의 도전에 대비 ㅇ 유럽기금을 활용한 국방산업 투자 확대 - 사이버 방어 시스템, 드론 및 무인기 개발을 포함한 자체 방위 기술 개발 추진 - 해외 기술 도입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기술 개발 및 현대전 기술 적용 계획 -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얻은 경험을 국방 기술 개발에 반영 ㅇ 국내 기업 및 학계와의 협력 강화 - 국내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크로아티아 내 연구기관 및 기업과 협력 - 국방 분야의 혁신 개발을 위해 학계와의 협력이 필수적 ㅇ Leopard 전차 도입으로 동유럽식 무기체계 탈피 - 기존 M-84 전차는 NATO 표준에 맞지 않는 구경 사용 - 독일제 Leopard 전차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현대적인 전차 중 하나, 점진적으로 M-84를 대체할 예정 - 전차 전력 현대화뿐만 아니라 장갑차 추가 도입 및 군 물류 역량 개선도 계획 중 *기사원문 링크 : Anušić: Leopard is one of the most modern tanks in the world, it will replace the eastern ones - Index.hr (2025.03.07) 원문 출처 : 코트라
[크로아티아] 네덜란드 M&A 기업 Marktlink, 자그레브에 첫 사무소 개설
방금
□ [크로아티아] 네덜란드 M&A 기업 Marktlink, 자그레브에 첫 사무소 개설 ㅇ 자그레브 사무소는 Marktlink의 유럽 내 19번째 지점 - 기업 인수·합병(M&A) 및 자금 조달 솔루션 제공 ㅇ 자그레브 사무소 책임자로 Dino Bendeković 선임 - 25년 이상 M&A 및 사모펀드(Private Equity) 분야 경험 보유 - 미국 및 유럽, 특히 CEE(중동유럽) 지역에서 산업, 서비스, 관광, 의료, 유통, ICT, 운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 Boston University Questrom School of Business에서 MBA 취득 - Grant Thornton Northern Adriatic에서 9년간 M&A 책임자 역임 후 Marktlink 합류 ㅇ Marktlink, 아드리아해 지역 M&A 시장 성장 가능성 주목 - 크로아티아 및 아드리아해 지역,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가족 기업 중심 산업 구조 보유 - 서유럽과 동유럽을 연결하는 전략적 위치로 기업 확장 및 투자 유치에 유리한 환경 조성 - 크로아티아 및 아드리아해 지역의 M&A 시장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솔루션 제공 계획 ㅇ 향후 전망 및 기대 효과 - 아드리아해 지역은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에서 매우 매력적인 기회 제공 - M&A를 원하는 지역 기업들에게 전략적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 시장 변화 속에서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것" - 크로아티아 및 주변국 기업들의 M&A 거래 지원 강화 - 유럽 투자자들에게 크로아티아 및 아드리아해 지역의 성장 가능성을 강조 - 지역 내 기업의 확장 및 국제 시장 진출 기회 확대 *기사원문 링크 : Big market entry: Marktlink opens first office in the Adriatic region - Index.hr (2025.03.07) 원문 출처 : 코트라
[브라질] 정부, 주요식료품 수입관세 한시적 철폐
방금
□ 세부내용 ㅇ (배경) - 2024년 브라질 인플레이션율은 중앙은행의 목표인플레이션율 3±1.5% 범위를 넘어 4.9%를 기록하였으며, 2025년에도 5.65%로 빠른 물가 인상이 예상됨 - 2026년 대선에서 재선을 노리고 있는 룰라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작년 12월 35%에서 올해 2월 24%로 빠르게 악화됨 - 이와 같은 상황에서 룰라 대통령은 지지율 회복 및 경제 안정을 위해 각 부처 장관들에게 지속적으로 물가 안정 방안을 강구하도록 지시함 - 주정부에도 기본 생필품에 대한 세금을 철폐할 것을 요청하는 등 적극적인 물가안정 대책을 추진 중임 ㅇ (주요내용) - Geraldo Alckmin 부통령 겸 산업통상서비스부 장관은 6일 필수 식료품 9개에 대해 한시적으로 수입관세를 0%로 조정한다고 발표하였으며, 수일 내로 조치가 실시될 것이라고 밝힘 품목 기존세율 육류 10.8% 커피 9% 옥수수 7.2% 올리브유 9% 해바라기유 9% 정어리 32% 비스킷 16.2% 밀가루(파스타용) 14.4% 설탕 14% - 연방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각 주정부에도 식료품에 부과되는 州세 한시적 철폐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힘 *기사원문 링크 : https://www1.folha.uol.com.br/mercado/2025/03/governo-lula-zera-aliquota-de-importacao-para-carne-cafe-milho-e-outros-produtos.shtml?utm_source=newsletter&utm_medium=email&utm_campaign=newsfolha (2025.03.06) 원문 출처 : 코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