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아티아] Virovitica 치즈 공장, 상업 운영 위한 투자자 대기 중
방금
□ [크로아티아] Virovitica 치즈 공장, 상업 운영 위한 투자자 대기 중 ㅇ 550만 유로 규모의 Virovitica 지역 우유 가공 공장, 2021년 완공 후 상업 가동 보류 -2022년 생산 허가 완료, 하지만 현재까지 생산 미개시 -프로젝트 명칭: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in Dairy (일명 'Sirana') -소유주: Virovitica-Podravina County, 운영 주체: Technology and Innovation Center ㅇ 초기 운영 시도 및 계약 실패 사례 -지역 생산자 협동조합 'Milky Way'에 운영권 부여 → 3개월 후 미가동으로 계약 해지 -슬로베니아 투자자 유치 → 수입 우유 사용으로 계약 해지 -현재 기계 및 시설 유지 위해 상근 직원 1명 배치 -최근 3개월 간 추가 직원 2명 채용, 일부 우유 가공 제품 연구개발 진행 ㅇ 기술혁신센터 주도 연구개발 활동 -우유에 꿀, 과일, 허브, 씨앗 등을 결합한 독창적 치즈 개발 -원재료: 지역 가족농장 생산 우유 사용 -분석: 센터 및 치즈공장의 실험 장비 활용해 물리화학적 분석 수행 ㅇ 상업화 계획 및 투자자 유치 -치즈 공장 전체 용량: 하루 최대 1만 리터 우유 가공 가능 -현재는 일부 용량만 연구 목적 사용 중 -상업 운영을 위한 투자자 공개 모집 공고 진행 중 -투자자에 기술혁신센터 노하우 공유 여부는 선택사항 -공장 가동 아닌 연구 개발 단계이며 고품질 제품 개발 위해 전문 지식과 시간이 필요 -생산 개시 목적은 지역 낙농가가 유통 우유 외에 부가가치 제품을 직접 생산하도록 유도하는 것 -장기적 안목의 전략이며, 센터는 레시피, 분석, 시장 진입 지원 제공 준비 완료 *기사원문 링크 : https://lidermedia.hr/tvrtke-i-trzista/viroviticka-sirana-ceka-investitora-za-komercijalno-koristenje-pogona-162207 (2025.03.23) 원문 출처 : 코트라
[크로아티아] 최대 위생자재 유통기업 Fero-Term, 물류 및 유통망 확대
방금
□ [크로아티아] Fero-Term, 물류 및 유통망 확대…경쟁사 인수 가능성도 ㅇ Fero-Term, 슈베니크 지역 Podi 산업지구에 3000만 유로 규모 물류센터 건설 중 -부지 면적 72,000㎡, 건물 면적 20,000㎡ -이 중 7,000㎡는 자동화 창고, 21,800개 팔레트 수용 가능, 높이 26m -2,000톤 강철 사용, 동유럽 최대 자동 창고 중 하나 -완공 시점: 2025년 5월 예정, 가을 개소 계획 -신규 고용 인원: 80명 ㅇ 자그레브 Jankomir 지역에 FT Park 쇼핑센터도 건설 중 -총면적: 33,000㎡, 이 중 Fero-Term 전시장이 2,000㎡ -나머지 8,000㎡는 임대 예정, 가족 시설 포함 -2024년 말까지 완공 예정이었으나 현재 공사 진행 중 ㅇ 기타 투자 및 유통망 -스플리트 인근 Kaštel Šućurac에 5,000㎡ 규모 신규 판매센터 개설 -전체 부지 면적: 13,500㎡ -2018년 슬로베니아 류블랴나에 지점 개설 이후 해외 진출 없음 -전국 판매센터 수: 25개 -기존 물류센터: Donji Stupnik에 위치한 19,000㎡ 규모 -전체 유통 및 판매 면적: 27,000㎡ 이상 ㅇ 기업 운영 및 시장 지위 -창업주 Tomislav Gudeljević, 유통·물류·제품군 확장에 적극 관여 -위생용품, 타일, 냉난방 기기 외에도 목재 커버 등 제품 다각화 -중국 등과의 물류 경로도 체계적으로 운영 -업계 관계자들, 제품 품질·협업 태도 긍정 평가 -2018년 이후 해외 확장 없음, 대신 경쟁사 인수 가능성 제기 ㅇ 시장 현황 -Fero-Term, 크로아티아 및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 최대 위생자재 유통기업 -2023년 크로아티아 위생설비 유통 시장 총매출: 3억 5,880만 유로 -전년 대비 2,600만 유로 증가(7.8%) -Fero-Term 단독 매출: 1,800만 유로 *기사원문 링크 : https://lidermedia.hr/tvrtke-i-trzista/nije-iskljuceno-da-fero-term-baci-oko-na-neku-konkurentsku-kompaniju-162190 (2025.03.22) 원문 출처 : 코트라
[크로아티아] Brownfield 투자 여전히 지지부진, 전국 곳곳에 방치된 부동산 산재
방금
□ [크로아티아] Brownfield 투자 여전히 지지부진, 전국 곳곳에 방치된 부동산 산재 ㅇ 전역에 방치된 폐공장, 호텔, 군사시설 등 Brownfield 부동산 문제 지속 -지방 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투자자 유치 노력 중이나 실질적 성과 미비 -전쟁 피해, 지진 피해 외에 산업 구조 변화, 인구 감소, 국유지 정리 실패 등이 원인 ㅇ 2018년 개설된 Brownfield 부지 등록부, 2023년 개편 이후에도 실효성 부족 -총 522곳 등재: 실현 완료 13곳, 부분 실현 77곳, 미실현 432곳 -등록은 자발적이며 전체 실태를 반영하지 못함 -연안 지역에만 약 1,000개 부지 존재 추정 ㅇ 복원비용 과다 및 제도 미비로 민간투자 유치 어려움 -오염토 정화 기준 및 법제도 부재로 비용 산정도 불투명 -위험물질 포함 가능성으로 토양 제거 및 처리 부담 큼 - 관련 인프라 부족으로 복원 과정 자체에 제약 ㅇ 대표적 사례: Dugi Rat 소재 'Dalmacija' 제철소 -2000년 폐쇄, 2009년 철거, 토양 및 해양 슬래그 오염 우려 -약 1.7백만 입방미터 슬래그 바다 투기 추정 ㅇ 성공 사례도 존재, 지역별 격차 뚜렷 - Zagreb: Paromlin 프로젝트(시립 도서관 및 문화센터 조성) 총 투자액 9,450만 유로 유럽투자은행 대출 3,000만 유로 포함, EU 메커니즘 자금 활용 Gredelj, Zagrepčanka, Sljeme Sesvete, Main Station 등 추가 부지 개발 계획 - Rijeka: Rikard Benčić 산업단지 문화지구 전환 현대미술관(MMSU), Rijeka 시립박물관, 아동 문화센터, 시립도서관 입주 총 투자액 2,100만 유로, 일부 프로젝트 EU 기금 지원 후속 사업으로 Exportdrvo 창고, Teatrino 극장 리노베이션 예정 ㅇ 전국적으로는 Brownfield 재활성화율 20% 이하, 완료는 2.5% 불과 - 미해결 소유권 문제, 용도 갈등, 고비용 구조로 대다수 부지 방치 지속 - Rijeka, Zagreb 사례 외엔 전국적으로 표준화된 규정 및 절차 부족 ㅇ 전문가 의견 -오염도 등급 및 용도별 기준 부재로 투자 위축 - Notodden(노르웨이 제철소) 사례처럼, 정화 비용이 수백만 유로 이상 소요될 수 있어 투자 기피 ㅇ 정책적 대응 필요 -지역 정부 지원 위한 현황 분석 및 활용방안 매뉴얼 개발 - Brownfield 부지의 도시 재생 활용 가능성 모색 필요 - 국가 차원의 명확한 규제 및 지원 체계 마련 시급 *기사원문 링크 : https://lidermedia.hr/biznis-i-politika/brownfield-investicije-i-dalje-ostaju-trn-u-oku-lijepe-nase-162196 (2025.03.22) 원문 출처 : 코트라